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밤쏙Upogebia issaeffi (Balss, 1913)
조간대의 모래 또는 진흙바닥에 Y자 형태의 구멍을 파고 서식한다
[1]
이마뿔은 삼각형에 가깝고 가운데와 좌우의 홈은 강모로 덮여있다. 옆가장자리에는 4-5개의 가시가 있다. 갑각은 앞은 좁고 뒤로 갈수록 넓어진다. 이마는 3개의 삼각형으로 이루어져있고 가운데 것이 가장 돌출되어 있다. 제 1가슴다리는 크기가 서로 같고 발가락마디는 강모로 덮여있다. 수컷의 경우 발가락마디 윗가장자리의 바깥면 앞쪽에 1-3개의 작은 돌기들이 있고 1줄의 세로 융기에는 1줄의 미세 강모가 있다. 가운데 가장자리에는 9-17개의 둥근 돌기들이 1줄로 있고 그 아래로 5-8개의 과립들이 있다. 윗가장자리의 안쪽 면에는 12-16개의 둥근 돌기들이 1줄로 있고 가운데 가장자리에는 10-13개의 사선의 융기가 1줄로 있다. 암컷의 경우 발가락마디 윗가장자리의 바깥면 앞쪽에 1-4개의 작은 돌기들은 있지만 1줄의 미세 강모는 없다. 가운데 가장자리에는 3-10개의 둥근 돌기들이 1줄로 있고 그 아래로 3-4개의 과립들이 있다. 윗가장자리의 안쪽 면에는 9-13개의 둥근 돌기들이 1줄로 있고 가운데 가장자리에는 10-12개의 사선의 융기가 1줄로 있다. 자르는 면에는 2개의 무딘 이가 있거나 이들이 유합된 경우도 있다
[1]
태평양 (일본, 러시아)
[1]
경남 (남해군, 거제시)
[1]
해양수산자원으로 활용가능하며 쏙 (Upogebia major)과 함께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1]
출처
[1]. Hong, J.S., and Lee, C.L. 2014. First Record of Thalassinid Upogebia issaeffi (Balss, 1913)(Crustacea: Decapoda: Upogebiidae) in Korean Waters. Ocean Science Journal. 49(1): 73-82.
[2]. Hong, J.S., and Lee, C.L. 2014. First Record of Thalassinid Upogebia issaeffi (Balss, 1913)(Crustacea: Decapoda: Upogebiidae) in Korean Waters. Ocean Science Journal. 49(1): 73-82.
| 경제적가치 |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 3 | 2 | 2 | 3 | 3 |
| 생태적가치 |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 3 | 2 | 2 | 2 | 3 |
| 학술적가치 |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 3 | 3 | 2 | 3 | 3 |
NCBI (Upogebia issaeffi)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