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갯금불초

갯금불초Wedelia prostrata Hemsl., 1888

분류체계 : Plantae식물계 > Angiospermae피자식물문 > Dicotyledoneae쌍자엽식물강 > Asterales국화목 > Asteraceae국화과 > Wedelia갯금불초속 >
  • 종설명(Description)

    •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8-10월에 피고, 열매는 9-12월에 익는다.

    •   전체에 거친 털이 난다. 줄기는 땅 위를 기고,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잎은 마주나며, 두껍고,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 길이 1.3-3.7cm, 너비 0.4-1.4cm, 양끝이 좁아지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 앞면은 윤기가 있으며, 양면에 짧고 거친 털이 난다. 잎자루는 길이 2-8mm이다. 꽃은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한 개씩 달리며, 노란색이다. 머리모양꽃은 지름 1.5-2.5cm이고, 꽃대는 길이 1.6-2.2cm이다. 모인꽃싸개는 반구형, 길이 5-6mm, 조각은 난형이며 한 줄로 붙고, 털이 있다. 혀모양꽃은 화관 끝이 2-3갈래로 얕게 갈라진다. 열매 수과다.

    •   인도차이나, 일본, 중국

    •   전남, 제주

    •   해안사구의 모래 유출 방지용으로 심을 수 있다.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2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갯방풍의 식물사회학적 생육구조에 관한 연구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growing symbiosis ratio(GSR) and growing structure of Glehnia littoralis community group by phytosociological method among seashore areas in Korea. The GSR of plant species growing with Glehnia littoralis in natural habitat were 71.7% of Calystegia soldanella, 68.4% of Ixeris repens and 64.3% of Carex kobomugi, respectively. The highest GSR plants among seashore areas were Ixeris repens in East , Ischaemum anthephoroides in West and Vitex rotundifolia in South, respectively. Vegetation types of Glehnia littoralis community group classified in East seashore were Carex kobomugi-Zoysia macrostachya community and Calystegia soldanella-Elymus mollis community, in West seashore were Calystegia soldanella-Carex kobomugi community, Imperato cylindricae-Viticetum rotundifoliae association and Ixeris repens-Elymus mollis community, and in South seashore were Ischaemum anthephoroides-Carex kobomugi community and Ixeris repens-Wedelia prostrata community, respectively. 김성민,신동일,송홍선,윤성탁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상세보기
        제주도 갯금불초(Wedelia prostrata Hemsl.) 자생지의 환경특성 본 연구는 산림청의 희귀식물 중 취약종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제주도에만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갯금불초의 자생지 환경을 조사하여 보전 및 복원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갯금불초의 자생지는 경사 $1-40^{circ}$의 해안사구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대부분 전사구를 중심으로 띠모양의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다. 식생분석결과 7개 지역의 19개 방형구 내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총 38분류군이었다. 중요치는 갯금불초가 44.77%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순비기나무(13.32%), 좀보리사초(6.75%), 갯메꽃(4.24%), 갯쑥부쟁이(2.54%), 사철쑥(2.43%) 등이 높은 값을 보여 이 분류군들이 갯금불초와 친화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종다양도는 평균 0.79로 산출되었으며, 우점도와 균등도는 각각 0.25와 0.67이었다. 토양분석결과 포장용수량은 4.51%, 유기물함량은 3.37%, pH는 8.17, 유효인산함량은 $1.33{mu}g/g$, 그리고 전기전도도는 $802.01{mu}s/cm$로 측정되었다. 김경아,한준수,천경식,유기억 한국환경생태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24건, 1/5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TP0000026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갯금불초
      Wedelia prostrata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2013-09-23
      MABIK TP0000027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갯금불초
      Wedelia prostrata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2013-09-23
      MABIK TP0000027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갯금불초
      Wedelia prostrata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2013-09-23
      MABIK TP0000027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갯금불초
      Wedelia prostrata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2013-09-23
      MABIK TP0000027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갯금불초
      Wedelia prostrata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2013-09-23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