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3건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트롤 어선에서 어획후 투기된 어류의 생존율 끌그물로부터 탈출한 소형어류의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원관리형 어구어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조사로서, 트롤망에서 양망 후 투기되는 어류의 생존율을 조사하기 위한 시험조업이 한국 남해안 및 제주도 근해에서 이루어졌다. 트롤망의 끝자루를 탈출한 소형어류를 선내에 비치된 사육수조에 수용하여 시간대별로 생존지속 시간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트롤 어구로부터 어획된 어류를 선상에 비치된 사육수조에 넣어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살오징어, 한치, 갈치, 달고기, 삼치, 참조기 및 눈볼대등 대부분의 어종은 양망후 즉시 사망하였다. 2 두툽상어, 붕장, 가오리, 말쥐치, 부채새우 등은 수조내에서 장시간 생존하였으므로 이들 어종은 투기된 후에 생존할 확률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3. 탈출장치를 빠져나온 등가시치는 수조에 수용된지 6 시간 이내에 전부 사망하였으나,97% 의 두툽상어와 72% 의 붕장어는 72시간 이상 생존하였다. 4. 끝자루를 빠져나온 가오리는 수조에 수용된지 60시간 이내에 모두 사망하였으나, 25% 의 말쥐치와 문어는 72시간 이상 생존하였다. 5. 홍감팽의 경우 탈출장치와 끝자루를 빠져나온 개체간의 생존율을 비교해보면, 끝자루를 빠져나온 홍감팽은 72 시간 이내에 전부 사망하였으나, 탈출장치를 빠져나온 것의 8.3%는 72시간 이상 생존하는 것을 보여줌으로서, 탈출장치를 빠져나온 개체의 생존율이 다소 높은 것을 보여주었다. 6. 그러나 부채새우의 경우를 비교해 보면, 끝자루를 탈출한 새우의 생존율이 75%로서 탈출장치를 빠져나온 부채새우의 생존율 33% 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탈출후의 어종별 생존 특성에 대해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안희춘,양용수,박창두,조삼광,박해훈,정의철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상세보기 거문도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달고기( $Zeus$ $faber$ )의 식성거문도 연안해역에서 채집된 달고기( $Zeus$ $faber$ ) 462개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달고기의 표준체장(SL)은 7.8~40.2 cm 범위였다. 달고기의 위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달고기는 갈치 ($Trichiurus$ $lepturus$ ), 고등어 ($Scomber$ $japonicus$ ), 노랑벤자리($Callanthias$ $japonicus$ ), 전갱이($Trachurus$ $japonicus$ )와 같은 어류(Pisces)를 주로 섭식하는 어식성어류였으며, 어류 중에서 갈치를 가장 선호하였다. 어류 다음으로 두족류 (Cephalopoda), 새우류 (Macrura), 난바다곤쟁이류 (Euphausiacea)를 섭식하였지만 그 양은 많지 않았다. 체장 15 cm 이하의 개체에서는 어류와 두족류를 주로 섭식하였다. 두족류의 비율은 체장 증가에 따라 감소한 반면, 어류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어류는 체장 15 cm 이상의 개체에서는 위내용물 중 대부분을 차지하였다.안영수,박주면,예상진,정재묵,백근욱 한국어류학회 상세보기 한국 남해에서 출현하는 민달고기(Zenopsis nebulosa)의 위내용물 조성 이번 연구에 사용된 민달고기는 2021년 2월, 5월, 8월, 11월에 제주 근해를 포함한 남해 근해 20개 해구에서 저층 트롤을 이용하여 채집되었다. 전장범위는 10.1~50.2 cm로 나타났으며, 공복률은 45.8%였다. 민달고기의 주 먹이생물은 어류였고, 어류 중에서도 갈치, 전갱이, 깃비늘치 등을 섭식하였다. 어류 다음으로 중요한 먹이생물은 난바다곤쟁이류였다. 민달고기의 크기군별 먹이생물 조성 변화를 알아본 결과, <20.0 cm 크기군에서는 전갱이가 우점한 먹이생물이었다. 또한 20.0~25.0 cm 크기군에서는 갈치가, ≥25.0 cm 크기군에서는 깃비늘치가 우점한 먹이생물이었다. 민달고기의 크기군별 개체당 평균 먹이생물 습중량(mW/ST)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재익,강다연,김현지,이승종,백근욱 한국어류학회 상세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