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Effrenium voratum

Effrenium voratum (H.J.Jeong, S.Y.Lee, N.S.Kang & LaJeunesse) LaJeunesse & H.J.Jeong, 2018

분류체계 : Protista원생생물계 > Dinophyta와편모조식물문 > Dinophyceae > Suessiales > Symbiodiniaceae > Effrenium >
국내기록문헌 : Jeong HJ, Lee SY, Kang NS, Yoo YD, Lim AS, Lee MJ, Kim HS, Yih W, Yamashita H, LaJeunesse TC. 2014. Genetics and morphology characterize the dinoflagellate Symbiodinium voratum, n. sp.,(Dinophyceae) as the sole representative of Symbiodinium clade E. Journal of Eukaryotic Microbiology. 61: 75-94
  • 종설명(Description)

    •    E. voratum은 저온에 적응한 종으로, 10–12°C의 낮은 온도도 견딜 수 있고, 최대 성장은 22–28°C 및 300–700 μmol 광자 m−2 s−1에서 관찰됨[1]

    •   Effrenium voratum(에프레니움 보라튬)은 생활사에 따라 마스티고테(Mastigote), 코코이드(coccoid), 더블릿(doublet) 형태의 세포가 관찰되며, 특히 마스티고테 형태에서는 버섯 모양의 세포가 관찰되고, 핵이 상추에 위치합니다. 세포들의 평균 길이는 12μm, 평균 폭은 9.7μm이며, 고정된 세포는 살아있는 세포보다 다소 작습니다.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에서는 섭식 빨대, 종편모, 횡편모와 같은 구조물이 확인되며, 세포벽은 다양한 형태의 판과 가로 홈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상추구는 1.71 - 2.72μm 길이와 0.15 - 0.26μm 폭을 가지며, 세포벽에는 여러 형태의 판들이 존재합니다.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관찰한 결과, 세포 외면에는 광합성을 담당하는 많은 엽록체가 위치해 있으며, 세포 표면 근처에는 다양한 형태의 안점이 확인됩니다. 세포 내부에는 지질, 미토콘드리아, 핵 등의 중요한 미세구조가 관찰되며, 중심부에 위치한 피레노이드는 엽록체에 연결되어 있고, 전분 입자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형태적 형질에 가장 중요한 plate formula는 x, EAV(elongated amphiesmal vesicle), 5′, 5a, 8′′, 9s, 17–20c, 6′′′, 2′′′′, PE(peduncle)로 확인됩니다[1]

    •   광합성을 통해 독립영양을 하고, Heterosigma akashiwo와 같은 미소생물을 섭식하는 타가영양 특성을 보이는 혼합영양성 와편모류 임[2]

    •   제주, 독도 등[1]

    •   일본, 중국, 뉴질랜드, 미국 등[1]

    •   E. voratum 배양체가 폴리카보네이트(PC) 병에 담긴 f/2 배지에서 배양됩니다. 이 배양은 20°C의 온도에서, 광도는 20 μmol m-2 s-1이며, 14시간의 광주기와 10시간의 암주기에 걸쳐 이루어집니다

    •   에이코사펜타엔산(EPA)과 도코사헥사엔산(DHA)과 같은 장쇄 오메가-3 다중불포화지방산(PUFAs)의 비율이 높고, 이는 양식 사료 및 필수 오메가-3 PUFA 생산과 같은 상업적 용도로 사용될 후보가 될 수 있습니다[1]

    •   특허명: 신규한 미세조류 에프레니움 보라튬 MABIKLP88 및 그 용도
        등록번호: 10-2455445-0000

    • 참고문헌

      [1]. Kang, N. S., Kim, E. S., Lee, J. A., Kim, K. M., Kwak, M. S., Yoon, M., & Hong, J. W. (2020). First report of the dinoflagellate genus Effrenium in the east sea of Korea: morphological, genetic, and fatty acid characteristics. Sustainability, 12(9), 3928
      [2]. LaJeunesse, T.C.; Parkinson, E.J.; Gabrielson, P.W.; Jeong, H.J.; Reimer, J.D.; Voolstra, C.R.; Santos, S.R. Systematic revision of Symbiodiniaceae highlights the antiquity and diversity of coral endosymbionts. Curr. Biol. 2018, 28, 2570–2580

      • [담당자]국립해양생물자원관 : 문의 : 강남선 연구원(041-950-0848, kang3610@mabik.re.kr)
      • [자료 수정 날짜]2024-01-31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LSU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First Report of the Dinoflagellate Genus Effrenium in the East Sea of Korea: Morphological, Genetic, and Fatty Acid Characteristics

        Most species in the family Symbiodiniaceae are symbiotic partners to invertebrate and protist hosts, but a few live freely in water columns. Here, a free-living dinoflagellate was isolated from the waters off the Dokdo Islands in the East Sea of Korea.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es show this isolate belongs to Effrenium voratum. Prior to the present study, E. voratum had been reported to live in the waters in the temperate latitudes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the southwest Western Pacific, the eastern North Pacific, the eastern Atlantic, and the Mediterranean Sea.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highest latitude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where E. voratum has been reported. This report extends the known range of this dinoflagellate to the temperate waters of the western North Pacific Ocean. The sequence of the D1/D2 region of the large subunit ribosomal DNA (LSU rDNA) was identical to E. voratum found in Jeju Island, Korea, Tsushima Island, Japan, and Cook Strait, New Zealand, suggesting this species is cosmopolitan. However, it was different by 1 bp from those found in Blanes, Spain and Santa Barbara, USA. In the phylogenetic tree built on the basis of the LSU (D1-D2) rDNA region sequences, this dinoflagellate was clustered within a clade, including all the other E. voratum strain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like those of strains found in the waters of Jeju Island. This is the first report conducted on the fatty acid profile of fully characterized E. voratum. Importantly, the isolate possessed a high ratio of long-chain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s) such as eicosapentaenoic acid (EPA)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relative to total lipid. This dinoflagellate could be a candidate for commercial applications, such as aquaculture feed and essential omega-3 PUFA productions.

        Kang, Nam Seon,Kim, Eun Song,Lee, Jung A,Kim, Kyeong Mi,Kwak, Min Seok,Yoon, Moongeun,Hong, Ji Won MDPI AG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1건, 1/1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LP00000088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미생물배양체 Effrenium voratum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2016-09-07 재고량무관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