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민새우

민새우Batepenaeopsis tenella (Spence Bate, 1888)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Arthropoda절지동물문 > Malacostraca연갑강 > Decapoda십각목 > Dendrobranchiata수상새아목 > Penaeoidea보리새우상과 > Batepenaeopsis > Batepenaeopsis tenella민새우 >
  • 종설명(Description)

    •   갑각의 최대 길이는 수컷 16.5mm, 암컷 19mm 가량이다. 몸에는 갈색의 반점이 산재되어있다. 배마디 각각의 뒷가장자리와 꼬리다리의 뒤쪽 절반부분에는 비교적 짙은 색이다. 꼬리다리 바깥다리의 바깥 가장자리는 노란색을 띤다. 이마뿔은 약간 볼록하고 짧아 작은더듬이자루의 중간부분까지 뻗어 있고 7~9개의 윗가시가 존재하나 갑각의 위에는 가시와 위윗가시도 없다. 갑각에는 더듬이윗가시와 간가시가 두드러지게 보이며 눈윗가시는 작고, 간홈은 확실하게 나타난다. 가로봉합선은 제3가슴다리의 기부 부분에 존재한다. 배마디에는 등중앙마루가 제4~6마디에 걸쳐있으며 꼬리마디는 제6배마디와 거의 같은 길이이고 옆가시는 존재하지 않는다. 제1, 2가슴다리에는 각각 밑마디가시가 존재한다.

    •   인도~서태평양

    •   전남, 경남, 제주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2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한국 거문도 주변 새우조망 어획된 새우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전라남도 여수시의 거문도, 초도, 손죽도 주변해역에서 1998년 11월부터 1999년 10월까지 12회 걸쳐 새우조망에 어획된 새우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을 조사하였다. 조사해역의 수심은 20∼80m이고, 이 해역의 저층 수온의 연중범위는 8.3∼21.3$^{circ}C$이며, 저질은 니질대 또는 사니질이었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새우류는 총 11과 26속 37종 702,681개체가 출현하고 우점종은 그라비새우 48.52%, 긴줄꼬마도화새우 21.83%, 민새우 11.25%, 대롱수염새우 7.24%로 나타났다. 꽃새우, 민새우, 그라비새우는 15개 전 정점에서 골고루 출현하였으며, 대롱수염새우, 산모양깔깔새우, 긴줄꼬마도화새우는 거문도 주변해역(C구역)에서 출현하였으며, 중하, 긴발딱총새우는 초도, 손죽도 주변해역(A, B구역)에서만 출현하였다. 군집구조를 나타내는 종다양도 지수, 균등도 지수, 우점도지수는 정점 13에서 0.73과 0.61로 다양성 지수와 균등도 지수 가장 높게 나타내었고, 정점 4에서 0.14, 0.11로 가장 낮은 다양성 지수와 균등도 지수를 나타내었다. 정점별 군집의 유사도에 의하면 같은 수역인 정점 1, 7에서 0.673으로 가장 유사하고, 유사도 0.25 수준에서 거문도수역 집단(정점 10, 11)과 초도, 손죽도수역집단(정점 1∼9)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택윤,김주일,고정락,차형기,이주희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상세보기
        진해만과 진주만에서 새우조망으로 어획된 수산자원의 계절변동 진해만과 진주만에서 새우조망을 이용하여 2010년 4월부터 11월까지 총 4회의 어업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기간 동안, 진해만에서는 총 116종이 어획되었고, 그 중 어류가 62종, 갑각류가 24종을 차지하였다. 진주만에서는 총 105종이 분류되었고, 그 중 어류가 56종, 갑각류가 31종 조사되었다. 진해만에서는 등가시치, 마루자주새우, 갯가재가 우점하였고, 진주만에서는 마루자주새우, 주둥치, 두점박이민꽃게 순으로 우점하였다. SOM을 이용한 군집유형화 결과, 진해만과 진주만의 군집구성이 계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그룹1에 묶여진 진주만 조사정점들은 민새우, 대하 등 갑각류와 주둥치 쥐노래미 등의 어류가 우점하였다. 4월 조사는 해역에 상관없이 모든 정점이 그룹2에 묶였는데 마루자주새우, 검은띠불가사리, 꼼치 등의 밀도가 높았다. 그룹3에 묶여진 진주만의 6월 조사정점들은 두점박이민꽃게를 포함한 다양한 갑각류와 도다리, 돛양태, 쉬쉬망둑 등의 다양한 어류가 우점하였다. 그룹4에 묶인 진해만의 6월~11월 조사정점에서는 등가시치, 흰베도라치 등의 어류가 우점하였다. 우점종인 마루자주새우는 6월까지 포란개체가 많이 어획되었고, 등가시치와 주둥치는 조사기간 동안 대부분 소형개체가 출현하였다. 이는 본 해역이 수산생물의 산란장 및 성육장으로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송미영,김주일,김성태,이종희,이재봉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195건, 1/39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CR0001004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민새우
      Batepenaeopsis tenella
      대한민국 전라남도 고흥군 2011-04-26
      MABIK CR0001005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민새우
      Batepenaeopsis tenella
      대한민국 경상남도 거제시 거제면 2011-05-28
      MABIK CR0001036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민새우
      Batepenaeopsis tenella
      대한민국 서해 2011-04-21
      MABIK CR0001063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민새우
      Batepenaeopsis tenella
      대한민국 서해 2011-04-05
      MABIK CR0001067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민새우
      Batepenaeopsis tenella
      대한민국 제주근해 2011-03-30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