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말군소Aplysia juliana Quoy & Gaimard, 1832
말군소는 복족강, 군소과, 군소속의 일종으로 연체부의 몸길이는 100~300mm 정도 이다. 패각은 퇴화되어 몸속에 얇은 판 모양으로 들어 있다. 머리에 1쌍의 촉각과 촉수가 있으며 날개 모양의 크고 얇은 옆다리 모양의 엽이 있다. 등의 뒤쪽에는 아가미와 외투공이 위치하고 있으며 발 뒤쪽에 계란형의 흡착반을 가지고 있다. 외투막의 좌측 아래에 작은 구멍이 여러 개 나 있는데 외부로 부터 물리적 자극이나 위협을 느끼면 우유빛 분비물을 내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심 5m 전후의 암반 조하대에서 간혹 발견되는 흔치 않은 종이으로 봄에서 여름에 걸쳐 끈 모양의 난괴를 산란하여 번식한다.
수심 20 m 이내 해조군락이 발달한 암반에 주로 서식한다.
[1]
크기와 형태가 군소와 비슷하나, 몸빛이 군소에 비해 연하다. 몸은 짙은 갈색으로, 표면에는 흰색의 무늬가 산재한다. 다리 뒷부분에 흡착반을 가지고 있다.
[1]
호주, 뉴질랜드. 북대서양, 남아프리카
독도, 경북 포항, 제주도 서귀포시 등 주로 남해와 동해
출처
[1]. 우리바다 우리생물 -독도
[2]. 우리바다 우리생물 -독도
참고문헌
Quoy J.R.C. & Gaimard J.P. (1832-1835). Voyage de découvertes de l'"Astrolabe" exécuté par ordre du Roi, pendant les années 1826-1829, sous le commandement de M. J. Dumont d'Urville. Zoologie. 1: i-l, 1-264; 2(1): 1-321 [1832]; 2(2): 321-686 [1833]; 3(1): 1-366 [1834]; 3(2): 367-954 [1835]; Atlas (Mollusques): pls 1-93 [1833]. Paris: Tastu. , available online at http://www.biodiversitylibrary.org/bibliography/2132
| 경제적가치 |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 2 | 2 | 1 | 2 | |
| 생태적가치 |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 2 | 2 | 2 | ||
| 학술적가치 |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 1 | 2 | |||
NCBI (Aplysia juliana)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