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바퀴고둥

바퀴고둥Astralium haematragum (Menke, 1829)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Mollusca연체동물문 > Gastropoda복족강 > Trochida > Turbinidae소라과 > Astralium바퀴고둥속 >
  • 종설명(Description)

    •   패각은 원추형으로 두껍고 단단하다. 패각의 색은 분홍빛을 띠는 황백색으로 대부분 석회질의 각질 또는 해조류로 덮여있다. 패각의 표면에는 과립 모양의 세로 주름이 비슷한 크기로 배열되어 나선 방향으로 나타나 있고 각 층의 아래에는 굵고 짧은 가시 모양의 돌기가 있다. 패각의 가장 아래 층에서는 톱니바퀴 모양의 돌기가 발달되어 있다. 패각 입구는 타원형이며 패각 내면은 진주광택이 있다. 뚜껑은 볼록한 눈알 모양을 하고 보라색을 띤다. [2].

    •   수심 20m 내외의 바위나 자갈에 붙어 서식한다.

    •   거문도, 제주, 상추자도

    •   일본, 중국, 대만, 홍콩, 인도-태평양 지역

    • 참고문헌

      [1]. Choe BL. 1992.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Vol. 33 Mollusca (Ⅱ). Seoul. Ministry of Education.
      [2]. Min DK, Lee JS, Ko DB, Je JG. 2004. Mollusks in Korea. Hanguel Graphics.
      Okutani T. 2000. Marine mollusks in Japan. Japan: Tokai University Press.
      [3]. Min DK, Lee JS, Ko DB, Je JG. 2004. Mollusks in Korea. Hanguel Graphics.
      Okutani T. 2000. Marine mollusks in Japan. Japan: Tokai University Press.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2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2313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222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3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한국 제주 연안의 암반 형태 차이와 저서생물 군집구조 제주 연안 저서생물(해조류, 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가 저서 기질 형태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신흥해역에서 2015년 2월부터 11월까지 매월 조사되었다. 암반정점에서는 해조류 57종과 무척추동물 102종이 출현하였고, 몽돌정점에서는 해조류 42종과 무척추동물 67종이 관찰되어 암반기질에서 저서생물의 출현종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조류의 연평균 생물량은 암반정점에서 $1,601.13g;wet;wt./m^2$으로 몽돌정점의 $448.85g;wet;wt./m^2$보다 약 4배 높았다. 감태는 암반정점에서 전체 생물량의 62.64% ($1,002.93g/m^2$)를 차지하는 우점종이었고, 몽돌정점에서는 넓은게발, 감태, 붉은뼈까막살, 자루바다표고, 갈래곰보가 우점하였다. 저서무척추동물의 개체수 및 생물량은 암반정점에서 각각 $106.9indivi./m^2$, $871.93g/m^2$이며, 몽돌정점에서는 $64.6indivi./m^2$, $984.28g/m^2$로 나타났다. 무척추동물의 생물량 우점종을 파악한 결과, 암반정점에서는 소라(36.40%), 바퀴고둥(19.18%), 보라성게(13.61%)였고, 몽돌정점에서는 거품돌산호(54.13%)와 그물코돌산호(24.28%)로 기질에 따른 우점종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김보연,고준철,최한길 한국환경생태학회 상세보기
        제주연안 저서무척추동물 군집구조의 단기변화 (2013-2015) 제주연안 5개 마을어장 주변해역에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저서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기간 중 총 629종의 저서동물이 채집되었고, 연체동물이 282종 (44.8%) 이였으며, 이 중 복족류가 31.8% 로 가장 우점하였고, 절지동물 88종 (14.0%), 해면동물 61종 (9.7%), 태형동물 52종 (8.3%) 및 자포동물은 51종 (8.1%) 의 순으로나타났다. 조사해역의 개체밀도와 생체량은 각각 71,007개체/$m^2$, $599,2008.0gwwt/m^2$로 연체동물 중 복족류가 개체수와 생체량에서 우점하였다. 주요 우점종은 바퀴고둥, 분홍멍게, 줄꼬마담치, 짧은미륵비늘갯지렁이, 상어껍질별벌레 로 주로 북족류와 해초류에서 높은 우점율을 나타냈다. 군집유사도의 집괴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정점별 종다양도 (H'), 균등도 (E') 및 풍부도 (R) 지수의 범위는 각각 4.28-4.64, 0.74-0.79, 33.17-35.45 로 종다양성 및 개체수 균일성이 가장 안정된 지역은 남부인 사계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동부에 위치한 신흥리에서 낮게 나타났다. 고준철,김보연,손명호,조운찬,이관철 한국패류학회 상세보기
        제주도 연안 마을어장의 저서무척추동물 군집구조 제주연안 8개 마을어장 주변해역에서 2008년 9월부터 10월까지 저서 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기간 중 총 166종의 저서동물이 채집되었고, 연체동물이 77종 (46.4%) 이였으며, 이 중 복족류가 25.3%로 가장 우점하였고, 절지동물 24종 (14.5%), 자포동물 18종 (10.8%), 해면동물 16종 (9.2%) 및 기타 동물은 33종 (17.7%) 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해역의 개체밀도와 생체량은 각각 6,905 개체/$m^2$, 113,100.7 gwwt/$m^2$로 연체동물 중 복족류가 개체수와 생체량에서 우점하였다. 주요 우점종은 팽이고둥 (Omphalius pfeifferi), 바퀴고둥 (Astralium haematragum), 소라 (Turbo cornutus), 탑뿔고둥 (Ergalatax contraacta), 애기돌맛조개 (Lithophaga cura), 보라성게 (Anthocidaris crassispina), 분홍멍게 (Herdmania monus) 로 주로 복족류와 해초류에서 높은 우점율을 나타냈다. 군집유사도의 집괴분석을 실시한 결과 크게 북부와 남부해역 및 서부해역의 2개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정점별 종다양도 (H'), 균등도 (E') 및 풍부도 (R) 지수의 범위는 각각 1.59-2.95, 0.38-0.87, 3.3-10.4 로 종다양성 및 개체수 균일성이 가장 안정된 지역은 남부인 대포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북부에 위치한 월정에서 낮게 나타났다. 고준철,구준호,이승종,장대수,조성환 한국패류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265건, 1/53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MO0000409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바퀴고둥
      Astralium haematragum
      대한민국 2011-05-27
      MABIK MO0001808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바퀴고둥
      Astralium haematragum
      대한민국 2011-04-25
      MABIK MO0001810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바퀴고둥
      Astralium haematragum
      대한민국 2011-07-14
      MABIK MO0001811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바퀴고둥
      Astralium haematragum
      대한민국 2011-07-15
      MABIK MO0001815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바퀴고둥
      Astralium haematragum
      대한민국 2011-08-11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