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매자기

매자기Bolboschoenus maritimus (L.) Palla, 1905

분류체계 : Plantae식물계 > Angiospermae피자식물문 > Monocotyledoneae단자엽식물강 > Cyperales사초목 > Cyperaceae사초과 > Bolboschoenus매자기속 >
  • 종설명(Description)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5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멸종위기 개리 (Anser cygnoides)의 월동기 서식지 이용과 먹이원 멸종위기종 개리(Anser cygnoides)의 월동기 서식지 이용과 먹이원에 대해 연구하였다. 개리는 서천갯벌에 10월에 도래하여 약 6개월간 월동한 후, 다음해 4월초에 월동지를 떠나 번식지로 이동하였다. 서천갯벌에서 월동하는 동안 개리는 뚜렷한 지역 간 이동, 서식지 이용 패턴을 보였다. 즉 도래초기인 10월에는 주로 송림리 갯벌의 매자기류 (Bolboschoenus sp.) 군락지를 집중하여 이용하였으나, 11월부터는 장구만 지역으로 이동하여 연안 갯벌에 일부 존재하는 매자기류 군락지와 인근 농경지에서 섭식활동을 하였다. 배설물에서 추출한 유전자 분석을 통해 개리가 사초과의 매자기류 식물을 월동기간 동안 주먹이원으로 이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포와 섭식지 이용에 변화를 보이는 시기에 사초과 식물 외에도 콩과 식물의 검출양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개리가 월동기간 동안 섭식하는 먹이원의 이용가능성 변화에 반응하여 서식지를 이용하는 전략을 취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서천갯벌은 개리의 월동지로서 가치가 있으며, 특히 송림리와 장구만 지역에 분포하는 매자기류 군락지는 월동기간 동안 개리가 이용하는 핵심지역으로 보호되어야 한다. 최유성,주성배,김면식,한동욱,정길상 한국하천호수학회 상세보기
        경상남도 하동군 섬진강 하구주변의 관속식물상

          본 연구의 목적은 경상남도 하동군 섬진강 하구 일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을 조사 및 분석함으로써 하천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초 자료 수집에 있다. 연구결과, 관속식물은 100과 270속 352종 4아종 38변종 4품종 등 398분류군으로 요약되었다. 희귀식물은 낙지다리, 자라풀, 모새달 등 3분류군으로 나타났다. 한국특산식물은 능수버들, 할미밀망, 병꽃나무 등 3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가래나무, 큰꽃으아리, 까치수염, 큰엉겅퀴, 질경이택사 등 17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소리쟁이, 털비름, 자운영, 달맞이꽃, 털별꽃아재비 등 32분류군이었다.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은 애기수영, 가시박, 돼지풀, 물참새피 등 4분류군이었다. 수생식물은 여뀌, 여뀌바늘, 미나리, 개피, 매자기 등 38분류군이었다. 염생식물은 가는갯는쟁이, 나문재, 갯질경 등 1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서정윤,박경훈,유주한 한국산림휴양학회 상세보기
        낙동강하구 을숙도 새섬매자기(Bolboschoenus planiculmis) 군락 변화 연구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on of Bolboschoenus planiculmis which is main food source of swans (national monument species) with environmental factors, discharge, rainfall, and salinity in Eulsuk-do from 2020 to 2023. The distribution area of B. planiculmis in Eulsuk tidal flat was 103,672m2 in 2020, 95,240 m2 in 2021, 88,163 m2 in 2022, and 110,879 m2 in 2023, and represents a sharp decrease compared to the 400,925 m2 area recorded in 2004. From 2020 to 2023, the growth densities of B. planiculmis were 243.6±12.5 m-2, 135.45±7.38 m-2, 51.10±2.54 m-2, and 238.20±16.36 m-2, respectively, and the biomass was 199.89±28.01 gDW m-2, 18.57±5.12 gDW m-2, 6.55±1.12 gDW m-2, and 153.53±25.43 gDW m-2 in 2020, 2023, 2021, and 2022, respectively. Based on discharge during May~July, which affects plant growth, the left gate discharge of the estuary barrage from 2020 to 2023 was 62,322 m3 sec-1, 33,329 m3 sec-1, 6,810 m3 sec-1, and 93,641 m3 sec-1, respectively; rainfall was 1,136 mm, 799 mm, 297 mm, and 993 mm, respectively; and average salinity was 14.7±9.4 psu, 21.1±4.7 psu, 26.1±2.7 psu, and 14.5±11.1 psu, respectively. In 2022, cumulative rainfall (978 mm, about 70% of the 30-year average) and discharge (43,226 m3 sec-1) decreased sharply, resulting in the highest mean salinity (25.46 psu), and the distribution area, density, and biomass of the B. planiculmis decreased sharply. In 2023, there was a rise in discharge with an increase in rainfall, leading to a decrease in salinity. Consequently, this environmental change facilitated the recovery of B. planiculmis growth. 박희순,주기재,이원호,김지윤,김구연 한국하천호수학회 상세보기
        낙동강하구 새섬매자기(Bolboschoenus planiculmis) 복원 모니터링: 식물체(shoot) 식재를 이용한 습지복원 Bolboschoenus planiculmis has been acknowledged as a key species in whooper swans (Cygnus cygnus) habitat by providing food for this migratory waterfowl. B. planiculmis wetlands are being degraded by water shortages and salinization caused by anthropogenic activities and climate changes. In 2004, the distribution of B. planiculmis in the tidal flats of the Nakdong Estuary was 2,475,568 m2, and in 2021, the distribution area was 798,731 m2, which decreased by 32.3%. In order to restore the degraded B. planiculmis wetlands, shoot transplantation and seed sowing were tentatively used in three places with different salinity and water levels. The average density per unit area in September at the optimal growth period after planting were A (fresh water level 50 cm) 58±15.65 m-2, B (brackish water level 0~5 cm) 188±63.83 m-2, C (brackish water level 0 cm or less) 188±45.13 m-2. The tubers were observed as A 0 g dw m-2, B 25.32±2.94 g dw m-2, and C 13.39±0.91 g dw m-2. Tubers were distributed in the soil, with only 3.0% at the 10~20 cm depth but 97.0% at the 0~10 cm depth. In contrast, the germination rate of B. planiculmis seeds was observed to be 0%.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echnical support for the restoration of B. planiculmis wetland and the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whooper swans habitat. 김구연,박희순,김화영,이지영 한국하천호수학회 상세보기
        낙동강 하구 새섬매자기 군락지 지화학 연구 낙동강 하구는 다양한 하구개발로 인해 수리 및 지형적인 변화를 겪고 있는 지역으로, 이러한 물리화학적 변화는 낙동강 하구 생태계에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낙동강 하구에 도래하는 겨울철새들의 주요 먹이원인 새섬매자기 군락지 및 개체수는 지난 10여년간 지속적인 감소를 보이고 있다. 낙동강 하구의 새섬매자기 개체수 감소 원인 파악을 위해 6개 정점에서 2018년 6월과 8월에 약 30cm의 주상퇴적물을 채취하였다. 퇴적물은 사질이 80% 이상으로 매우 조립하였으며, 평균 염분은 6월 $17.8{\pm}1.12psu$, 8월 $18.4{\pm}1.83psu$였다. 을숙도 퇴적물의 탄소안정동위원소비(${\delta}^{13}C$)는 평균 $-24.7{\pm}0.59$‰로 하구기원 입자성 유기물 특성을 보였다. 표층(0~1cm)에서 ${\delta}^{13}C$는 -24.0 ~ -22.6‰로 새섬매자기 뿌리와 줄기의 ${\delta}^{13}C$($-25.2{\pm}0.05$‰) 보다 다소 높았다. 이는 해양 유기물의 유입이 원인으로 판단된다. 식생지역과 비식생지역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를 통하여 낙동강 하구 새섬매자기 군락지 환경이 비식생 지역과 거의 동일함을 유추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낙동강 하구 퇴적물은 조립하고 염분이 15 psu 이상으로, 새섬매자기 생육에 불리한 환경이 유지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낙동강 염분 상승은 낙동강 하구둑 방류량의 감소가 원인으로 판단되며, 낙동강 하구 염분 상승이 새섬매 자기 생산량의 점진적 감소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김윤지,강정원,최재웅,박찬미,우한준 한국습지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2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새섬매자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1020230126256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원문정보
        새섬매자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02023001709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원문정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6건, 1/2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TP0000235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매자기
      Bolboschoenus maritimus
      대한민국 경기도 파주시 산남동 2020-06-23
      MABIK TP0000235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매자기
      Bolboschoenus maritimus
      대한민국 경기도 파주시 산남동 2020-06-23
      MABIK TP0000235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매자기
      Bolboschoenus maritimus
      대한민국 경기도 파주시 산남동 2020-06-23
      MABIK TP00002348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매자기
      Bolboschoenus maritimus
      대한민국 경기도 파주시 산남동 2020-06-23
      MABIK TP0000234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매자기
      Bolboschoenus maritimus
      대한민국 경기도 파주시 산남동 2020-06-23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