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깊은골둥근물레고둥Buccinum kushiroense Habe & Ito, 1976
물레고둥속에서 중형 패류로, 패각 높이는 80mm 정도이다. 형태는 부풀은 방추형으로, 껍질은 매우 얇고 약하여 부스러지기 쉽다. 나탑은 6층이고, 각 나층은 부풀어 있다. 태각과 초기 나층은 마모되고 각피가 벗겨져 회백색을 띤다. 봉합은 얕은 도관 형태로 매우 깊다. 각 나층의 경계는 뚜렷하고, 봉합 아래의 각피는 대부분 마모되어 백색을 띤다. 나탑은 비교적 높은 원추형으로 패각 전체 높이의 약 35%를 차지하며, 두꺼운 각피에 덮여 있고, 매우 약한 나선과 성장선이 나타난다. 나탑이 이루는 각도는 비교적 좁아 약 39도를 이룬다. 체층은 크고 잘 부풀어 각폭의 87%를 차지하고 높이는 패각 높이의 64%에 이른다. 패각 표면은 황녹색 또는 녹갈색의 두꺼운 각피에 덮여 있는데, 태각과 초기 나층 부분과 봉합 부근의 각피는 대부분 벗겨져 있다. 표면에는 세밀한 나선과 성장선이 교차하여 옷감 무늬 형태로 나타난다. 연중 서식한다.
백골뱅이
동해 수심 300~400 m 깊이에 산다.
[1]
패각은 아주 얇고 백색 바탕에 황갈색 또는 검은 녹황색 각피에 덮여 있다. 각정 부분은 검은색을 띤다. 봉합은 깊으며 하역은 평탄하여 좁은 계단상을 이룬다. 표면에는 가는 나사가 밀생하고 성장선에 의하여 무명천 무늬를 이룬다. 생시에는 털 같은 각모가 있다. 각구에 활층이 발달하고 붕대가 뚜렷하다. (Min et al., 2004, 편집 인용)
[1]
일본
강원
출처
[1].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Ⅰ(2019년)
[2].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Ⅰ(2019년)
참고문헌
한국의 무척추동물, 제 19권 1호 복족류 I, 연체동물문: 복족강: 진유폐목, 흡강목. 환경부/국립생물자원관
경제적가치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2 | 1 |
생태적가치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2 | 2 | 1 | 2 |
학술적가치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2 | 2 | 2 |
NCBI (Buccinum kushiroens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