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두줄옥덩굴Caulerpa geminata Harvey, 1855
엽체는 짙은 녹색이며, 가느다란 대롱모양의 기는줄기와 직립지가 있고 직립지 양쪽에는 구슬모양의 작은 말단가지(ramuli)를 가진다. 엽체의 크기는 1.5~8cm이고 폭은 4~10mm이며, 포복부와 직립부로 구성되어 있다. 포복부는 주로 암반에 착생하며 가지를 만들지 않고 가늘고 약간 거칠다. 직립부는 2~3회 분기한 주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약간 연한 녹색이다. 곁가지(측지)는 주축에 마주보고 나며 정단부는 곤봉 모양 혹은 타원형이다.
엽체는 포복부와 직립부로 구성되고, 포복부는 주로 암반에 착생하며, 가늘고 약간 거칠며 가지를 만들지 않는다. 직립부는 약간 연한 녹색으로 2∼3회 분기한 주축으로 이루어져 있다. 체장은 1.5∼8cm이고 폭은 4∼10mm이다. 측지는 주축에 마주 보고 나며 정단부는 곤봉 모양이나 타원형이다. 아열대성 해조류로 제주 해역의 조간대 암반에 서식한다.
제주도, 남해안 일부 도서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솔로몬군도, 피지 등
참고문헌
[1] 황은경 등 2003. 옥덩굴의 생장과 성숙. Algae 18: 217-223.
[2] 최창근 등 2000. 녹조류 옥덩굴의 양식을 위한 연구 I. 생장과 재생. 한국양식학회지 13: 253-258.
[3] Yamamoto et al. 2013. The effect of light and temperature on the growth and morphogenesis of Caulerpa okamurae in outdoor mesocosm. Aquaculture Science 61: 383-388.
경제적가치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2 | 2 | 2 | 2 | 3 |
생태적가치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2 | 1 | 3 | 2 | 2 |
학술적가치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2 | 2 | 2 | 2 | 2 |
NCBI (Caulerpa geminata)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