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흑색배말Cellana nigrolineata (Reeve, 1854)
패각의 길이가 78 mm까지 자라는 대형종으로 패각은 두껍고 단단하며 높이가 낮은 삿갓 모양이다. 각정은 앞에서 1/3지점에 위치하며 각정 뒤쪽 능선은 비교적 완만하다. 패각의 색은 대부분 녹갈색이나 흑갈색을 띠며 어두운 갈색이나 적갈색의 띠무늬가 방사 모양으로 나타난다. 패각 표면에는 매우 가는 방사 주름이 약한 성장선과 교차하며 개체에 따라 방사 주름의 굵기나 모양이 다르다. 패각 입구는 앞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계란 모양으로 입구 안쪽은 은빛 진주층으로 덮여있으며 중앙은 진한 적갈색을 띤다. 살아있는 몸은 연한 미색을 띠며 머리 촉수와 외투 촉수는 검은색을 띠고 발 옆은 회색을 띤다. [2]
파도가 치는 조간대 상부 암반지대에 서식한다.
국내 남해안과 제주 해역
일본, 중국
참고문헌
[1]. Shiba N. 1934. A catalogue of the mollusca in Chosen (Corea). Journal of the Chosen Natural History, 18: 6-31.
[2]. Choe BL. 1992.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Vol. 33 Mollusca (Ⅱ). Seoul. Ministry of Education.
Okutani T. 2000. Marine mollusks in Japan. Japan: Tokai University Press.
Min DK, Lee JS, Ko DB, Je JG. 2004. Mollusks in Korea. Hanguel Graphics.
[3]. Choe BL. 1992.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Vol. 33 Mollusca (Ⅱ). Seoul. Ministry of Education.
Okutani T. 2000. Marine mollusks in Japan. Japan: Tokai University Press.
Min DK, Lee JS, Ko DB, Je JG. 2004. Mollusks in Korea. Hanguel Graphics.
경제적가치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3 | 2 | 2 | 2 | 3 |
생태적가치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3 | 3 | 3 | 3 | 3 |
학술적가치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3 | 3 | 2 | 2 | 3 |
NCBI (Cellana nigrolineata)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