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전통지식 이미지
-
지식채널
-
전통지식
검색결과 1건
전통지식 목록 - 학명, 국명, 지역, 주용도, 구전 전통지식 학명 국명 지역 주용도 구전 전통지식 Ceratostoma rorifluum 맵사리 전라남도 식용,약용 매운고둥(맵사리)은 매운맛이 나고 많이 먹으면 배가 아프다.
매운게고둥(맵사리)은 소라처럼 생겼고 껍데기가 울퉁불퉁한데 변비가 있을 때 잡아서 삶아 먹는다.
-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맵사리Ceratostoma rorifluum (Reeve, 1849)
패각은 두껍고 단단하며, 껍데기 꼭지부가 높게 솟아 있다. 나탑은 7층으로 각 나층은 약하게 부풀어 있고, 나층 간 경계면은 명확하지 않다. 표면에는 체층에서부터 각정까지 4방향으로 종장륵이 발달해 있다. 입구는 난형으로 외순은 두껍고 안쪽 면으로 5~6개의 치상돌기가 있으며, 내순은 매끄러운 층이 넓게 열려 있다. 수관구는 짧고 닫혀 있으며 끝부분에서 뚫려 있다. 패각은 중형으로 각고 40mm, 각경 22mm 정도이다. 식용으로 이용하지만 이 종만을 잡아서 판매하지는 않는다. 간혹 보말고둥과 함께 시장에서 판매되는 모습은 볼 수 있다. 맵사리는 매운 맛이 난다는 것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조간대 하부에서부터 조하대 얕은 수심의 암반에 서식한다. 야행성으로 낮에는 주로 암반 틈이나 돌 밑에서 숨어 지낸다.
살골뱅이
조간대 암반에 서식한다.
[1]
패각은 두껍고 단단하며, 청색을 띤다. 각정에서 체층까지 4방향의 세로 주름이 있다. 봉합이 얕아 각 층의 구별이 뚜렷하지 않다. 각구는 긴 난형이고 외순 안쪽에는 작은 돌기가 줄지어 나타난다. 수관구는 짧고, 내면은 흑갈색을 띤다. (Han et al., 2018)
[1]
일본, 중국
우리나라 전 연안
출처
[1].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Ⅰ(2019년)
[2].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Ⅰ(2019년)
참고문헌
한국연근해 유용연체동물도감
경제적가치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3 | 3 | 3 | 3 | 3 |
생태적가치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3 | 3 | 3 | 3 | 2 |
학술적가치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3 | 3 | 3 | 3 | 3 |
NCBI (Ceratostoma rorifluum)
COI
염기서열
전통지식 이미지
전통지식
검색결과 1건
학명 | 국명 | 지역 | 주용도 | 구전 전통지식 |
---|---|---|---|---|
Ceratostoma rorifluum | 맵사리 | 전라남도 | 식용,약용 | 매운고둥(맵사리)은 매운맛이 나고 많이 먹으면 배가 아프다. 매운게고둥(맵사리)은 소라처럼 생겼고 껍데기가 울퉁불퉁한데 변비가 있을 때 잡아서 삶아 먹는다. |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