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Chaetoceros curvisetus

Chaetoceros curvisetus Cleve, 1889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3
분류체계 : Protista원생생물계 > Bacillariophyta돌말식물문 > Mediophyceae > Chaetocerotales > Chaetocerotaceae > Chaetoceros >
  • 종설명(Description)

    •   사슬이 나선형으로 굽어 있으며 뚜렷한 말단세포가 없다. 넓은 둘레면에서 보면 직사각형이며 인접세포에 특징적인 모서리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개각 외투는 흔히 낮고 선단축의 모서리는 높다. 환각대가 닿은 곳에 아주 작은 틈이 있다. 세포 사이틈은 마름모, 난형 또는 원형이다. 센털은 세포의 모서리에서 나오며, 길고 가늘다. 모두 다 사슬의 같은 면을 향해 굽어있는데 굽은 나선형 축의 바깥쪽을 향하고 있다. 엽록세는 세포다 하나씩 존대한다.
      [1]

    •   연안종으로 온대 해역에 분포하고, 노르웨이와 덴마크해, 밡, 북대서양, 영국해협에서 출현한다.
      [1]

    •   한국 연안에 널리 분포
      [1]

    • 출처

      [1]. 해양식물플랑크톤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 [2]. 해양식물플랑크톤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 참고문헌

      1. Cleve, P.T. (1889). Pelagisk Diatomeer från Kattegat. In: Det Videnskabelige Udbytte af Kanonbaaden "Hauchs" Togter i de Danske Have Indefor Skagen, I. Aarene 1883-86. (Petersen, C.G.J. Eds), pp. 53-56.

      2. 심재형. 1994. 한국동식물도감 제 34권 식물편(해양식물플랑크톤). 229.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33333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33333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3333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여자만 북서부 꼬막어장의 해양환경 특성. 2. 수질환경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 여자만 북서해역 꼬막 어장의 수괴(수형), 영양염 등 수질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7년 봄(5월), 여름(8월) 및 가을(11월) 7개 정점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꼬막어장의 수형은 수온과 염분 변화에 따른 계절특성이 명확하였다. 영양염 중 규산염은 연중 풍부였지만, 봄과 여름은 인산염이 결핍되었고, 가을은 질소원이 결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에서 출현종은 매우 단순하였으며, 현존량도 매우 낮았다. 우점종은 연중 규조류에 우점 되어, 봄은 Skeletonema costatum-ls, Nitzschia longissima, 여름은 Pleurosigma normanii, Coscinodiscus gigas, 가을은 N. longissima, Pseudonitzschia pungens, Chaetoceros curvisetus, Eucampia zodiacus가 우점 출현하여, 여름에 편모조류 출현이 낮은 특성을 보였다. 상관분석과 주성분 분석의 결과 여자만 북서해역 꼬막어장의 생물 해양학 특성은 계절에 따라 수질 환경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많은 차이가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육상에서 공급되는 무기 및 유기물질 및 낮은 수심으로 해수혼합에 따른 표층퇴적물의 재부유에 의한 영양염 공급, 그리고 해역자체의 생물생산과 무기화 과정의 균형에 의해 해양환경 특성 및 식물플랑크톤 생산이 결정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윤양호,이현지 한국산학기술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168건, 1/34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DI0000125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Chaetoceros curvisetus 대한민국 2011-02-19
      MABIK DI0000125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Chaetoceros curvisetus 대한민국 2011-02-19
      MABIK DI0000125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Chaetoceros curvisetus 대한민국 2011-02-18
      MABIK DI0000125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Chaetoceros curvisetus 대한민국 2011-02-18
      MABIK DI0000125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Chaetoceros curvisetus 대한민국 2011-02-18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