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Chaetoceros peruvianus

Chaetoceros peruvianus Brightwell, 1856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3
분류체계 : Protista원생생물계 > Bacillariophyta돌말식물문 > Mediophyceae > Chaetocerotales > Chaetocerotaceae > Chaetoceros >
  • 종설명(Description)

    •   세포는 단독으로 출현하며, 좀처럼 짧은 사슬을 형성하지 않는다. 개각면은 서로 같지 않아서 평평한 하부로 되어 있으며, 양쪽 다 축소된 개각외투를 갖고 정축 길이에서 1/6까지 심하게 변한다. 환각대는 우묵한 홈으로 되어 있지만 매우 뚜렷하다. 상부 개각면의 강모는 중심 가까이에서 나오며 바깥쪽으로 볼록한 곡선을 그리는데 짧은 기저부위가 보인다. 하부 개각면의 센털은 주변 가까이에서 나오며 바깥쪽으로 조금 볼록한 곡선을 그리는데 상부 개각의 강모보다 사슬축에 더 평행하다.
      [1]

    •   남부 온대에서 온수역까지 널리 분포
      [1]

    •   한국 연안에 널리 분포
      [1]

    •   Harmful species
      [1]

    • 출처

      [1]. 해양식물플랑크톤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 [2]. 해양식물플랑크톤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 참고문헌

      1. Brightwell, T. (1856). On the filamentous long-horned Diatomaceae, with a description of two new species. Quarterly Journal of Microscopical Science, London 4: 105-109, pl. VII.

      2. 심재형. 1994. 한국동식물도감 제 34권 식물편(해양식물플랑크톤). 248.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33333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33333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3333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78건, 1/16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DI0000140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Chaetoceros peruvianus 대한민국 2010-06-01
      MABIK DI0000140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Chaetoceros peruvianus 대한민국 2010-06-01
      MABIK DI0000140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Chaetoceros peruvianus 대한민국 2010-06-01
      MABIK DI0000140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Chaetoceros peruvianus 대한민국 2010-06-01
      MABIK DI0000140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Chaetoceros peruvianus 대한민국 2010-08-17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