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명주대마디말Cladophora stimpsonii Harvey, 1860
엽체는 직립하며, 암반 또는 다른 해조류에 착생하고, 광택을 띠며, 10~27cm 높이로 자라고, 밝은 녹색을 띠며, 상부는 촘촘하게 가지를 내고, 타래 모양으로 꼬여 다발을 형성하고, 분지된 가근에 의해 기질에 부착한다. 생장은 정단세포 분열에 의하며, 이후 식물체 중부 대부분의 절간 세포에서 활발하게 개재분열이 일어난다. 가지는 호생 또는 나선상으로 발달하며, 처음에는 두 세포 마다 규칙적인 간격으로 형성되고 두번째와 드물게 세번째 가지는 동일한 마디 위 정단부에 생성되어 최종적으로 다른 연령대의 (2)~3~(4)개의 가지가 윤생으로 배열하며, 가지 연결부가 합착하는 분지 부위 위에서 아래로 휘어진다. 일차 가지는 무한생장지로 주축과 같이 생장한다. 2차와 3차 가지는 보통 유한생장지로 소지를 가지지 않고 단순하다. 기부 줄기는 뚜렷하고, 하나로 엉켜진 가근 부착부에서 수 개가 직립하고, 기부 부위 사상체가 단단하게 합착하며, 첫번재 분지까지 보통 2~7개 세포로 구성되고, 길이 1~5mm, 폭 130~150µm이며, 부정가근 없이 일차 가근을 생성한다. 영양세포는 원주상이며, 마디 격벽부가 밋밋하거나 약하게 수축되며 식물체의 중부에서 길이 440~900µm, 폭 90~130µm, 길이에 대한 폭의 비는 5~9배이다. 정단 세포는 유두상 또는 뭉툭한 말단을 가지고 길이 135~190µm, 폭 60~70µm, 길이에 대한 폴의 비는 2.3~2.4배이다.
[1]
전 계절, 주로 봄과 여름철에 생육
엽체는 직립하고, 광택을 띠며, 10-25cm 정도로 자라고, 밝은 녹색을 띠며, 상부는 촘촘히 가지를 내고, 타래 모양으로 꼬여 다발을 형성하고, 가지에 의해 기질에 부착한다. 생장은 정단세포분열과 개재분열에 의한다. 가지는 호생, 나선상으로 발달하고, 처음에는 두 세포마다 규칙적인 간격으로 형성되고 그 후는 윤생으로 배열된다. 세포는 원주상으로 격벽부는 밋밋하거나 약간 수축하며, 길이가 5-10배 정도로 길다.
조간대, 조하대 암반 일대
일본 북부, 러시아 연해주, 중국 청도, 브리티시 콜럼비아와 남부 캘리포니아
[1]
월성, 여수, 부산, 거문도, 광양만, 매섬, 경기만
[1]
특별한 용도가 알려진 바 없음
출처
[1]. 해양녹조식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2]. 해양녹조식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참고문헌
1. 강제원. 1968. 한국식물도감. 제8권 식물편(해조류). 문교부. 서울. 465 pp.
2. 배은희, 김형섭, 권천중, 황일기, 김광훈, Tatyanana A. Klochokova. 한국의 조류(Algae). 제1권 1호, 해산 녹조류. 국립생물자원관, 인천. 205 pp.
3. Harvey, W. H. 1860. Characters of new algae, chiefly from Japan and adjacent regions, collected by Charles Wright in the North Pacific Exploring Expedition under Captain James Rodger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4: 327-335.
- Bae EH. 2010. Ulotrichales, Ulvales. pp. 7-52. In Algal Flora of Korea. Volume 1, Number 1. Chlorophyta: Ulvophyceae: Ulotrichales, Ulvales, Cladophorales, Bryopsidales.
- Marine Green Algae (Bae EH, HS Kim, CJ Kwon, IK Hwang, GH Kim and TA Klochkova ed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 경제적가치 |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 1 | 2 | 2 | 2 | |
| 생태적가치 |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 1 | 2 | 2 | ||
| 학술적가치 |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 1 | 1 | 2 | ||
NCBI (Cladophora stimpsonii)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