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떡청각

떡청각Codium arabicum Kützing, 1856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분류체계 : Plantae식물계 > Chlorophyta녹조식물문 > Ulvophyceae갈파래강 > Bryopsidales깃털말목 > Codiaceae청각과 > Codium청각속 >
  • 종설명(Description)

    •   엽체는 남작하며, 가장자리에 불규칙적으로 난 둥근 돌출부를 갖고, 표면이 물결 모양으로 굽이치는 형태이며, 만지면 미끈거리며, 짙은 녹색을 띠고, 포복하는 면으로 기질에 단단히 부착하고, 폭 2~6cm로 불규칙하게 확장한다. 포낭은 곤봉 모양 내지 원통형이고, 정단부가 약간 두툼하며, 길이 700~1,200µm, 폭 90~120µm, 기부에서 서로 가깝게 붙어 분지하고, 길이 1,200~2,400µm의 털을 가진다. 수관은 지름 40~60µm, 매끄럽다. 배우자낭은 곤봉형으로, 길이 200~250µm이며, 지름 50~60µm로 포낭의 중간 쯤에 형성된다.
      [1]

    •   주로 따뜻한 계절에 생육

    •   식물체는 짙은 녹색이고 표면에 주름을 가지며 불규칙한 원형의 열편을 가지고 다육질의 형태는 만지면 미끌거린다. 포복하는 면으로 기질에 단단히 부착하고, 폭 2∼6 cm로 불규칙하게 확장한다. 포낭은 곤봉 모양 혹은 원통형으로 하부는 길고 원주상으로 굵기는 35∼85 μm이고 정단부가 약간 두툼하며 기부에서 서로 가깝게 붙어 분지한다. 배우자낭은 곤봉형으로 길이가 200∼250 μm이고 포낭의 중간쯤에 형성된다.
      [2]

    •   조간대 하부에서 조하대 암반에 착생

    •   남 아메리카(칠레), 아프리카, 인도양의 섬들, 아시아 전역(인도, 오만 토후국, 파키스탄, 필리핀, 스리랑카, 중국, 일본, 한국, 타이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호주, 뉴질랜드, 태평양
      [1]

    •   전 해안에 분포

    •   특별한 용도가 알려진 바 없음

    • 출처

      [1]. 해양녹조식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2]. 유용한 서해의 바닷말

    • [3]. 해양녹조식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4]. 유용한 서해의 바닷말

    • 참고문헌

      Oh et al. 1990. Algae

      Lee et al. 2007. Algae

      Kim et al. 2012. Food Sciences and Biotechnology

      1. 배은희, 김형섭, 권천중, 황일기, 김광훈, Tatyanana A. Klochokova. 한국의 조류(Algae). 제1권 1호, 해산 녹조류. 국립생물자원관, 인천. 205 pp.

      2. 이용필. 2008. 제주의 바닷말. 아카데미. 서울. 477 pp.

      3. Kützing, F. T. 1856. Tabulae phycologicae; oder, Abbildungen der Tange. Vol. VI pp. i-iv, 1-35, 100 pls. Nordhausen: Gedruckt auf kosten des Verfassers (in commission bei W. Köhne).

      4. Setchell, W. A. 1926. Tahitian algae collected by W.A. Setchell, C.B. Setchell and H.E. Parks. University of California Publications in Botany 12: 61-142, Pls 7-22.

      1. Bae EH. 2010. Ulotrichales, Ulvales. pp. 7-52. In Algal Flora of Korea. Volume 1, Number 1. Chlorophyta: Ulvophyceae: Ulotrichales, Ulvales, Cladophorales, Bryopsidales.

      2. Marine Green Algae (Bae EH, HS Kim, CJ Kwon, IK Hwang, GH Kim and TA Klochkova ed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2222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2122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11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한국 동해안 중부의 저서 해조류 군집 우리나라 동해안 중부의 축산항 지역에서 2007년 7월부터 2009년 5월까지 계절별로 조간대와 조하대 해조류의 종조성과 군집구조를 조사하였다. 2년에 걸친 조사를 통해 밝혀진 해조류는 총 98종(녹조류 13종, 갈조류 23종, 홍조류 62종)이었고, 조사시기별로는 33~63종의 범위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녹조류 2종(구멍갈파래, 떡청각), 갈조류 3종(참그물바탕말, 톳, 왜모자반), 그리고 홍조류 11종(작은구슬산호말, 혹돌잎, 참도박, 참지누아리, 붉은까막살, 진분홍딱지, 진두발, 잔금분홍잎, 개서실, 모로우붉은실, 참보라색우무)의 16종은 모든 조사시기에 관찰되었다. 해조류의 단위면적당 생물량은 평균 $629.68g;dry;wt;m^{-2}$이었으며, 계절별로 $119.30{sim}1,660.96g;dry;wt;m^{-2}$의 범위를 보였다. 조사지역 해조군집의 수직분포는 조간대에서 작은구슬산호말과 모자반류, 조하대 1 m에서 모자반류, 5 m에서 모자반류와 무절산호조류 그리고 10 m에서 무절산호조류로 대표되었다. 이재일,김현겸,유경동,윤희동,김영환 해양환경안전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524건, 1/105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AL00000128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떡청각
      Codium arabicum
      대한민국 2011-06-03
      MABIK AL0000012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떡청각
      Codium arabicum
      대한민국 2011-06-03
      MABIK AL0000013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떡청각
      Codium arabicum
      대한민국 2011-06-03
      MABIK AL0000013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떡청각
      Codium arabicum
      대한민국 2011-06-03
      MABIK AL0000013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떡청각
      Codium arabicum
      대한민국 2011-06-03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