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닻청각Codium repens P.Crouan & H.Crouan, 1905
주로 따뜻한 계절에 출현한다.
[1]
엽체는 바닥에 강하게 붙어 나며, 짧은 손가락 모양으로 이리저리 가지를 내며 서로 엉킨다. 가지는 정단부가 둥근 모양이다. 포낭은 원통형이며, 길어서 야구 방망이 모양이다. 포낭의 지름은 윗부분에서 120~200μm이고, 아랫부분에서 80~100μm이며, 길이는 700~800μm이다. 엽체의 색상은 짙은 녹색이다.
[1]
전 세계
제주도
출처
[1]. CBD-CHM Korea
[2]. CBD-CHM Korea
| 경제적가치 |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 3 | 2 | 2 | 2 | 3 |
| 생태적가치 |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 3 | 1 | 2 | 1 | 2 |
| 학술적가치 |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 2 | 2 | 1 | 3 | 2 |
NCBI (Codium repens)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