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가시청각Codium spinulosum Y.Lee, 2008
간조선에서 수심 40~60m까지의 연안 구역에 서식한다.
[1]
식물체는 짙은 녹색으로 손가락 모양이지만, 가지를 내는 곳은 조금 납작하다. 가지의 끝은 가늘어져 뾰족하며, 줄기나 가지에 가시 모양의 작은 가지가 많이 난다. 포낭은 원기둥 모양이고 포낭 끝부분의 세포벽은 렌즈 모양으로 두꺼워진다. 포낭은 몇 개가 짧은 대롱으로 연결되기도 한다. 배우자낭은 포낭의 어깨 부분에 만들어지며 몽당연필 모양이다.
[1]
제주도(비양도)
[2]
출처
[1]. CBD-CHM Korea
[2]. 이용필. (2008). 제주의 바닷말. 아카데미 서적. 477pp.
[3]. CBD-CHM Korea
[4]. 이용필. (2008). 제주의 바닷말. 아카데미 서적. 477pp.
경제적가치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1 | 1 | 2 | 2 |
생태적가치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1 | 1 | 1 | 2 |
학술적가치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1 | 1 | 1 |
NCBI (Codium spinulosum)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