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우단청각

우단청각Codium tenuifolium S.Shimada, T.Tadano & J.Tanaka, 2007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1
  • 해양고유종
분류체계 : Plantae식물계 > Chlorophyta녹조식물문 > Ulvophyceae갈파래강 > Bryopsidales깃털말목 > Codiaceae청각과 > Codium청각속 >
  • 종설명(Description)

    •   엽체는 짙은 녹색이고 짧은 줄기에서 하나 또는 두 갈래로 갈라지며 넓게 퍼진 모양으로 봄과 여름철에 주로 관찰된다. 소낭은 한 개씩 양쪽 표면에 번갈아 가며 배열하며 정단부는 조금 부풀어 있고 중간 부분은 조금 잘록한 모양이다. 배우자낭은 포낭의 아래쪽에 공 모양으로 2~3개가 연결되어 있다.
      [1]

    •   엽체는 짙은 녹색이고 짧은 줄기에서 하나 또는 두 갈래로 갈라지며 넓게 퍼진 모양으로 봄과 여름철에 주로 관찰된다. 체장은 20~50cm이고 직경은 10~25cm이다. 소낭은 한 개씩 양쪽 표면에 번갈아 가며 배열하며 정단부는 조금 부풀어 있고 중간 부분은 조금 잘록한 모양이다. 배우자낭은 포낭의 아래쪽에 공 모양으로 2~3개가 연결되어 있다.(Choi et al., 2016 편집 인용)
      [2]

    •   일본
      [1]

    •   제주도
      [1]

    • 출처

      [1]. 해양녹조식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2].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 [3]. 해양녹조식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4].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 참고문헌

      Shimada, S, Tadano, T and Tanaka, J. 2007. Codium tenuifolium (Codiales, Chlorophyta), a new species from Japan. Journal of Japanese Botany, 82: 117–125.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1122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2112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112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tufA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맞춤형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제주 식물 탐색 본 연구에서 최근 한국 제주 지역에서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 맞춤형화장품 소재 개발 일환으로서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육상식물 50종과 해상식물 10종에 대해 주름개선 검증을 위한 콜라겐 생성 효과와 히알루론산 생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은 피부 노화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실험 결과, 육상식물 50종 추출물 중에서 점나도나물추출물($100{mu}g/mL$)은 190% 이상 콜라겐을 생성하였으며, 살갈퀴추출물($100{mu}g/mL$)은 160% 이상, 팔손이추출물($10{mu}g/mL$), 금사철추출물($100{mu}g/mL$), 기수초추출물($100{mu}g/mL$), 보리수나무추출물($100{mu}g/mL$), 땅채송화추출물($100{mu}g/mL$), 나비나물추출물($100{mu}g/mL$), 갓추출물 ($100{mu}g/mL$)은 140% 이상 콜라겐 생성 효과를 보였다. 해상식물 10종 추출물 중에서는 큰열매모자반추출물($50{mu}g/mL$)이 190% 이상 콜라겐을 생성하였으며, 붉은뼈까막살추출물($100{mu}g/mL$), 누운청각추출물($100{mu}g/mL$), 우단청각추출물($100{mu}g/mL$)의 경우는 140% 이상 콜라겐 생성 효과를 보였다. 제주 육상식물 50종 추출물 중에서 기수초추출물($100{mu}g/mL$)이 140% 이상 히알루론산 생성 효과를 보였으며, 팔손이추출물($20{mu}g/mL$), 등나무추출물($100{mu}g/mL$)은 130% 이상의 히알루론산 생성 효과를 나타냈다. 해상식물 10종 추출물 중에서는 자루바다표고추출물($100{mu}g/mL$)이 가장 효과가 좋았으며, 이 외에도 붉은뼈까막살추출물($100{mu}g/mL$), 누운청각추출물($100{mu}g/mL$), 우단청각추출물($100{mu}g/mL$)에서 120% 이상 히알루론산 생성 효과를 보였다. 이들 콜라겐과 히알루론산 생성 효과가 양호한 제주 자원들은 향후 맞춤형화장품의 피부 고민을 해결하는 데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윤경섭,김미진,김무한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93건, 1/19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AL0000275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우단청각
      Codium tenuifolium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2010-06-16
      MABIK AL0000275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우단청각
      Codium tenuifolium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2010-08-13
      MABIK AL0000276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우단청각
      Codium tenuifolium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2011-05-04
      MABIK AL0000276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우단청각
      Codium tenuifolium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2011-06-15
      MABIK AL0003338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우단청각
      Codium tenuifolium
      대한민국 전라남도 완도군 신지면 2012-06-21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