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거품강해면Coelosphaera physa (Schmidt, 1875)
거품강해면의 외형은 부정형의 덩어리 모양이다. 표면은 울퉁불퉁하고 막을 가지고 있다. 대공(oscules)은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다. 소공(pores)은 표면에 흩여져 있다. 질감은 매우 부드럽고 쉽게 부서진다. 색깔은 액침 후 피층(dermal part)은 연한 회색, 내층(gastral part)은 진한 회색으로 변한다. 골편(spicules)은 주대골편(megascleres)과 미소골편(microscleres)을 가진다. 주대골편으로는 아령침상체을 가진다. 미소골편으로는 등조상체(isochelae)와 라피드체(raphid)를 가진다.
거품강해면은 주로 바다의 조하대 해역에서 암반에 부착하여 서식한다.
서해
Southern Norway[1],[2], West Greenland Shelf[3], Sea of Japan/East Sea[4]
참고문헌
[1]. Schmidt O. 1875. Spongien. Die Expedition zur physikalisch-chemischen und biologischen Untersuchung der Nordsee im Sommer 1872. Jahresbericht der Commission zur Wissenschaftlichen Untersuchung der Deutschen Meere in Kiel. 2-3: 115-120, pl. I.
[2]. Arnesen E. 1903. Spongien von der norwegischen Küste. II. Monaxonida: Halichondrina. Bergens Museum Åarbog. 1903: 1-30, pls I-VII.
[3]. Fristedt K. 1887. Sponges from the Atlantic and Arctic Oceans and the Behring Sea. Vega-Expeditionens Vetenskap. Iakttagelser (Nordenskiöld) 4. 401-471, pls 22-31.
[4]. Koltun V.M. 1959 [1971]. [Siliceous horny sponges of the northern and fareastern seas of the U.S.S.R.] [translation in English by FISHERIES RESEARCH BOARD OF CANADA Translation Series No. 1842]. Opredeliteli po faune SSR, izdavaemye Zoologicheskim muzeem Akademii nauk. 67: 1-365.
[5]. Sim CJ, Byeon HS. 1989. A systematic study on the marine sponges in Korea. 9. Ceractinomorpha. The Korean Journal of Systematic Zoology 5 (1): 33-57.
NCBI (Coelosphaera physa)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