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불레기말

불레기말Colpomenia sinuosa (Mertens ex Roth) Derbès & Solier, 1851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분류체계 : Chromista크로미스타계 > Ochrophyta대롱편모조식물문 > Phaeophyceae갈조강 > Ectocarpales솜털목 > Scytosiphonaceae고리매과 > Colpomenia불레기말속 >
  • 종설명(Description)

    •   ▵ Type locality : Gades, Spain
        
        가시적인 직립지(거품 형태의 엽체)를 형성하는 배우체 세대와 현미경적 사상체인 포자체를 갖는 이형세대교번을 한다. 배우체는 동형이나 자웅이주로 자성배우체에서는 유주자와 복실포자낭과 배우자낭을 형성한다. 웅성배우체의 복실포자낭에서는 운동성의 웅성배우자를, 유주자낭에서는 유주자를 형성하여 방출하고, 유주자는 발아하여 다시 직립하는 웅성배우자로 발달한다. 자성배우체의 복실포자낭에서 방출된 유주자는 발아해서 다시 직립성 자성배우체를 형성하고, 배우자낭에서 방출된 운동성 자성배우자는 웅성배우자와 수정 후 발아하여 사상의 포자체로 발달한다. 자성배우자가 수정이 되지 않을 경우 현미경적 사상체인 비수정 포자체로 발달하고, 비수정 포자체에서는 단실포자를 형성하며, 단실포자는 다시 자성배우자로 발달할 수 있다.
        포자체는 사상의 포복성으로 단실포자낭과 다실포자낭을 형성하며, 단실포자낭에서 방출된 단실포자는 배우체로 발달하나, 다실포자낭에서 방출된 다실포자는 발아하여 다시 사상의 포자체로 발달한다.[3]
        식물체는 얇은 막질의 구형 또는 주머니 모양이며 직경 4∼10 cm이고 때로는 30 cm까지 큰 것도 있다. 유엽 때는 속에 물이 차고 가근은 아래로 자라면서 넓게 부착된다. 엽상체 내부 구조는 단면으로 외부의 피층과 내부의 수질부로 구성된다. 피층은 작은 색소색포가 하나의 층을 이루고 수질부는 불규칙한 구조로서 무색인 세포가 4∼5층을 이루고 있으며 세포벽은 두껍다. 바위두둑과 비슷한 형태지만 불레기말이 얇으며 막질로 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잘 부서지지 않는다. [1], [2]

    •   우리나라 전 연안의 조간대와 조하대 암반 또는 모자반 등의 다른 해조류에 부착하여 서식한다.

    •   전해역

    •   전 세계 연안

    •   간보호, 항당뇨, 항박테리아, 항산화, 항염증 등 의약품

    •   1. 지충이 및 다실불레기말 혼합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출원번호 : 1020170157114 (2017.11.23) / 출원인 : 주식회사 이씨알엔씨
        등록번호 : 1019598110000 (2019.03.13) / 출원인 : 주식회사 이씨알엔씨

    • 참고문헌

      [1]. 해양갈조식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2]. 유용한 남해의 바닷말
      [3]. 우리바다 우리생물 -독도
      [4]. 유용한 서해의 바닷말
      [참고문헌]
      Lekameera et al. 2012. Asian Pacific Journal of Tropical Disease
      Lekameera et al. 2008. African Journal of Food Science
      1. 대한민국 생물지, 한국의 조류(해산 갈조류 I), 김형섭 & 부성민, 2010, 국립생물자원관, 환경부, 1-212 pp.
      2. 제주 우도의 해조류 다양성, 김명숙, 강정찬, 김병석, 양미연 & 이형우, 2022, 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332 pp.
      3. Toste, M.F., Patente, M.I., Neto, A.I., & Fletcher, R.L. (2003). Life history fo Colpomenia sinuosa (Scytosiphonaceae, Phaeophyceae) in the Azores. J. Phycol. 39: 1268-1274.

      • [담당자]국립해양생물자원관 : 곽민석 전임연구원(041-950-0836, poohaxx@mabik.re.kr)
      • [자료 수정 날짜]2022-12-21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1222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2122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11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rbcL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6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불레기말(Colpomenia sinuosa)의 최종당화산물 저해 효능 및 신장 보호 효과 Here, we evaluated the anti-glycation effects and renal protective properties of 70% (v/v) ethanolic extract of Colpomenia sinuosa (CSE) against AGEs -induced oxidative stress and apoptosis at different concentrations (1, 5, and 20 μg/mL). At 20 μg/mL, CSE showed that antiglycation activities via the inhibition of AGE formation (51.1%), inhibition of AGEs?protein cross-linking (61.7%), and breaking of AGEs?protein cross-links (33.3%), were significantly (###p < 0.001 vs. non-treated group) lower than the nontreated group. Methylglyoxal (MGO) significantly (***p < 0.001) reduced cell viability (24.4%) and increas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 (642.3%), MGO accumulation (119.4 μg/mL), and apoptosis (55.0%) in mesangial cells compared to the nontreated group. Pretreatment with CSE significantly (###p < 0.001) increased cell viability (57.8%) and decreased intracellular ROS (96.5%), MGO accumulation (80.0 μg/mL), and apoptosis (22.6%) at 20 μg/mL. Additionally, we confirmed intracellular AGEs reduction by CSE pretreatment. Consequently, our results suggest that CSE is a good source of natural therapeutics for managing diabetic complications by the antiglycation effect and renal protective activity against MGO-induced oxidative stress. 김민경,조치흥,김세라,최인욱,이상훈 (사)한국해양바이오학회 상세보기
        불레기말(Colpomenia sinuosa)의 최종당화산물 저해 효능 및 신장 보호 효과 Here, we evaluated the anti-glycation effects and renal protective properties of 70% (v/v) ethanolic extract of Colpomenia sinuosa (CSE) against AGEs -induced oxidative stress and apoptosis at different concentrations (1, 5, and 20 ㎍/mL). At 20 ㎍/mL, CSE showed that anti-glycation activities via the inhibition of AGE formation (51.1%), inhibition of AGEs-protein cross-linking (61.7%), and breaking of AGEs-protein cross-links (33.3%), were significantly (###p < 0.001 vs. non-treated group) lower than the nontreated group. Methylglyoxal (MGO) significantly (***p < 0.001) reduced cell viability (24.4%) and increas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 (642.3%), MGO accumulation (119.4 ㎍/mL), and apoptosis (55.0%) in mesangial cells compared to the nontreated group. Pretreatment with CSE significantly (###p < 0.001) increased cell viability (57.8%) and decreased intracellular ROS (96.5%), MGO accumulation (80.0 ㎍/mL), and apoptosis (22.6%) at 20 ㎍/mL. Additionally, we confirmed intracellular AGEs reduction by CSE pretreatment. Consequently, our results suggest that CSE is a good source of natural therapeutics for managing diabetic complications by the antiglycation effect and renal protective activity against MGO-induced oxidative stress. 김민경,조치흥,김세라,최인욱,이상훈 한국해양바이오학회 상세보기
        양양군과 포항 해역에 시설한 인공어초에서 진행된 해조천이와 군집에 관한 연구 이 연구는 2016년 9월에 강원도 양양군 남애리, 경상북도 포항시 구룡포읍 석병2리에 설치한 인공어초를 대상으로 해조류 군집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장조사는 2017년 2월, 5월, 8월, 11월에 계절별 1회씩 SCUBA Diving으로 수행하였으며, 정량조사와 정성조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녹조류 11종, 갈조류 15종, 홍조류 68종을 포함하여 총 94종이 채집되었으며, 양양에서 66종(녹조류 8종, 갈조류 9종, 홍조류 49종), 포항에서 65종(녹조류 7종, 갈조류 9종, 홍조류 49종)이 채집 및 동정되었다. 중요도를 기반으로 판단한 우점종의 경우, 양양은 다시마(Saccharina japonica)가 우점종, 구멍갈파래(Ulva australis)가 준우점종이었으며 포항은 불레기말(Colpomenia sinuosa), 우뭇가사리(Gelidium elegans) 순으로 우점하였다. 두 해역 모두 어초 설치 초기에 각각 파래류, 불레기말이 착생한 후, 다시마, 감태, 우뭇가사리 등 다년생 해조가 생육하며 우점하여 기존의 천이 패턴과 유사하였다. 해조상 변화를 통해 군집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추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장기적인 변화를 관찰하여 해조군락이 안정되기까지의 천이 과정에 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현진,최창근 한국해양생명과학회 상세보기
        불레기말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효과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Colpomenia sinuosa extracts were identified. Antioxidant experiments included DPPH, ABTS, nitrite scavenging experiments, and FRAP, polyphenol concentration measurements, flavonoid concentration measurements. DPPH assay results showed an antioxidant function of 2.821 mg ascorbic acid/g extract. ABTS assay results showed an antioxidant function of 3.923 mg ascorbic acid/g extract. nitrite assay results showed an antioxidant function of 17.89 mg ascorbic acid/g extract. In FRAP, 1 mg of the Colpomenia sinuosa extract showed a reduction of 2.062±0.177 μg of ascorbic acid. For polyphenols, 62.85±3.18 mg/g was shown. Flavonoids showed 10.01±0.24 mg/g. In the meantime, cell experiments showed cytotoxicity and anti-inflammatory functions. In cytotoxicity experiments, Colpomenia sinuosa extracts showed cytotoxicity of less than 20% and an inflammatory inhibition of 30.93±2.93% at a concentration of 100 μg/m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lpomenia sinuosa extract is available as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조영재,김숙희,최재영,이자복 중소기업융합학회 상세보기
        불레기말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효과 본 연구에서는 불레기말 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항염활성을 확인하였다. 라디컬 소거능으로서 DPPH, ABTS, nitrite 소거능 실험, FRAP 실험, 항산화 물질 측정으로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농도 측정을 실시하였다. DPPH 실험에서는 2.821 mg ascorbic acid / g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며, ABTS 실험에서는 3.923 mg ascorbic acid / g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며, nitrite 소거능 실험에서는 17.89 mg ascorbic acid / g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FRAP에서는 불레기말 추출물의 1 mg이 ascorbic acid 2.062±0.177 ㎍의 환원력을 보였다. 폴리페놀 농도는 62.85±3.18 mg/g으로 나타났다. 플라보노이드 농도는 10.01±0.24 mg/g으로 나타났다. 한편 세포실험에서는 세포독성과 항염활성을 알아보았다. 세포독성의 경우 20% 이하의 세포 독성을 보였으며, 100 ㎍/mL 농도에서 30.93±2.93%의 염증 억제능을 보여 불레기말 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조영재,김숙희,최재영,이자복 중소기업융합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2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지충이 및 다실불레기말 혼합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1020170157114 주식회사 이씨알엔씨 원문정보
        불레기말 또는 반질불레기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에스트로겐 감소에 의한 증상 완화 및 개선용 조성물 102021006622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문정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843건, 1/169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AL0000102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불레기말
      Colpomenia sinuosa
      대한민국 2011-02-03
      MABIK AL0000102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불레기말
      Colpomenia sinuosa
      대한민국 2011-02-03
      MABIK AL0000102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불레기말
      Colpomenia sinuosa
      대한민국 2011-02-03
      MABIK AL0000102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불레기말
      Colpomenia sinuosa
      대한민국 2011-02-03
      MABIK AL0000102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불레기말
      Colpomenia sinuosa
      대한민국 2010-12-20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