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5건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해조류 효소가수분해물질로부터 정제한 저분자 Peptide의 기능성 동해안 특산 해조류의 식품 또는 의약품재료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소화효소(pepsin)로 가수분해한 다음 저분자peptide를 정제하여 여러 가지 기능성을 연구하였다. 쇠 미역, 파래 및 지누아리의 효소가수분해물은 Bio-Rad P2 gel chromatography 상에서 3개의 peptide peak를 나타내었으나 김은 2개의 peak를 나타내었다. 항산화활성은 김 peak 1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김 peak 2 및 쇠미역 peak 2 순으로 높았다. ACE 저해활성은 김 peak 1, 파래 peak 3 및 peak 2순으로 높았으며, 항갈변활성은 김 peak 1 및 2, 파래 peak 2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파래 peak 3이 높았다. 항암(종양)활성은 파래 Peak 1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쇠미역 peak 2, 파래 peak 3, 지누아리 peak 3 순으로 높았다. 전반적으로는 김의 기능성이 가장 뛰어났으며, 이는 가장 높은 단백질함량을 가지고 있는 것도 한 이유라고 판단되며, 앞으로 저분자 peptide의 구조분석 및 아미노산 sequence의 규명도 필요하다고 본다. 이정민,유상권,김상무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상세보기 쇠미역사촌과 미역 포자체의 배양 및 야외 개체군의 생장 비교 The effects of temperature, light, and salinity on the growth of Costaria costata and Undaria pinnatifida juveniles were examined in laboratory cultures. In a cultivation farm, the monthly yield and density were also investigated between December and April for C. costata and between December and March in 2007 and 2008 for U. pinnatifida. The relative growth rates (RGRs) were greater at $20{\sim}60\;{\mu}mol$ photons$m^{-2}s^{-1}$ than at low ($0{\sim}10\;{\mu}mol$ photons$m^{-2}s^{-1}$ ) and high ($100{\sim}180\;{\mu}mol$ photons$m^{-2}s^{-1}$ ) irradiance levels. The optimal growth conditions for the two species were$17^{\circ}C$ , 35 psu,$60\;{\mu}mol$ photons$m^{-2}s^{-1}$ , and a daylength of 12 h, indicating that C. costata and U. pinnatifida have very similar growth responses to temperature, light, and salinity. However, the growth responses of the two species to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were different; C. costata grew faster than U. pinnatifida but the latter species grew well at low salinity. The monthly yield of C. costata and U. pinnatifida increased steadily over the study period, and it was maximal in March for both species, but the yield of U. pinnatifida was greater than that of C. costata.박서경,허진석,김보연,송지나,임거영,김하니,최한길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해조류의 항산화 활성 및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활성 본 연구에서는 퇴행성 질환인 치매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물질 탐색으로써 여러 가지 해조류 추출물을 가지고 항산화 활성 및 AChE 저해활성을 살펴보았다. DPPH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살펴본 결과, 최종농도 40 ${mu}g$ /mL에서 지충이(91.3%), 모로우붉은실(90.7%), 감태(89.9%), 큰비쑥(85.9%)이 80% 이상의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AChE 저해활성에서는 최종농도 10${mu}g$ /mL에서 큰비쑥 추출물(30.2%)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는 김 추출물(26.6%), 쇠미역(25.3%), 참홑파래(23.4%), 감태(21.7%), 구멍쇠미역(20.4%), 지충이(19.9%) 순으로 총 7종의 해조류가 약 20% 이상의 ACh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7종의 해조류를 가지고 TLC bioassay를 통하여 살펴본 결과, 여러 compound들에 의해 AChE 저해 활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치매치료제 및 억제를 위한 신규의 생물 소재로 해조류가 가치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전영은,윤성복,임순성,정차권,강일준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상세보기 구멍쇠 미역 에탄올 추출물의 섭취가 비만유도 흰쥐의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고지방식이로 비만 및 고지혈이 유발된 실험동물에서 체중, 혈중지질, 혈청생화학적 검사 및 장기무게를 측정하여 구멍쇠 미역 추출물 투여로 인한 혈중지질 개선효과와 구멍쇠 미역 추출물의 간과 신장의 기능 및 장기무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체중 및 사료이용효율은 고지방식이에 의해 고지방군에서 증가현상을 보였으며, 구멍쇠 미역 추출물 5 %와 10 % 투여군인 HF5S과 HF10S군에서 구멍쇠 미역 추출물 투여로 인한 체중증가량 감소와 식이효율 감소현상을 보였다. 혈청 생화학적 검사에서 고지방식이에 의해 혈중 ALT, AST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구멍쇠 미역 추출물 투여에 의해 기본식이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혈중 creatinine은 고지방식이 및 구멍쇠 미역 추출물 투여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g-GT의 경우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10 % 첨가하였을 때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기본식이군과 고지방식이군보다 낮아졌다. 혈중지질 변화는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triglyceride, 동맥경화지수(AI) 모두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의적인 증가현상을 보였으며, 구멍쇠 미역추출물 투여한 경우 고지방식이군에 비하여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은 감소하였으나 동맥경화지수는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실험결과 구멍쇠 미역 추출물은 비만유도 흰쥐에서 체중과 간의 무게 감소와 더불어 혈청의 지질성상의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구멍쇠 미역에 함유된 다량의 식이섬유소와 미네랄 등의 생리활성 물질이 지질대사를 개선시키고 지방 축적을 억제하여 비만, 고지혈증, 이상지혈증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되며 나아가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박성진,이상아,송효남,박태길 한국식품조리과학회 상세보기 동해안 천연 해조장의 군집구조와 분포 특성 이 연구는 2015년 5월부터 12월까지 우리나라 동해안에 위치한 강릉, 울진, 부산 일대에서 천연 해조장 및 서식환경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출현한 해조류는 총 96종이었으며, 분류군별로는 녹조류 9종, 갈조류 23종, 홍조류 64종이었다. 강릉의 경우, 미끈뼈대그물말(D. divaricata)이 정점별로 $173.2{sim}613.8g;m^{-2}$ 로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였고, 가는보라색우무(S. linearis)가$360.8{sim}520.4g;m^{-2}$ , 미역(U. pinnatifida)이$25.9{sim}470.8g;m^{-2}$ 로 생물량이 높았다. 울진에서는 참곱슬이(P. telfairiae)가$5.5{sim}256.2g;m^{-2}$ , 구멍쇠미역(A. clathratum)이$46.8{sim}241.5g;m^{-2}$ 로 생물량이 높았다. 부산에서 높은 생물량을 보인 해조류는 큰잎모자반(S. coreanum)으로$388.1{sim}6,972.4g;m^{-2}$ 였고, 감태(E. cava)도$194.9{sim}958.5g;m^{-2}$ 로 다른 해조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생물량을 나타냈다. 생체량 비율의 경우, 강릉에서 0.0 ~ 55.5 %로 평균 19.2 %를 나타내 울진과 부산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울진에서는 36.8 ~ 73.3 %으로 평균 63.8 %를 보였으며, 부산은 평균 48.5 %였다. 갯녹음 비율은 강릉에서 평균 46.7 %의 비율을 나타냈고, 울진에서는 평균 91.1 %의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이번 연구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조식성 동물의 밀도는 강릉에서 평균 6.0 개체/$m^2$ 로 분석되었고, 울진에서는 7.0 개체/$m^2$ 를 나타냈으며 부산에서 2.0 개체/$m^2$ 로 전체 지역 중에서 가장 낮은 조식성 동물 밀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이전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종조성, 출현비율, 밀도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지구 온난화, 기후변화, 해안개발 등에 의한 물리적, 화학적 오염과 관련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박규진,주현,최옥인,최창근 해양환경안전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23건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한과 및 그 제조방법 2012-0135379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원문정보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 및 인지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2009-0102442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원문정보 해양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아밀라제 저해제 2009-0096473 한국식품연구원 | (주)에스.앤.디 원문정보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자전거 도로포장용 아스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2014-0015545 (주)대한하이텍건설 | 강창구 원문정보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포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2013-0090078 강창구 | (주)대한하이텍건설 원문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