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미끈뼈대그물말

미끈뼈대그물말Dictyopteris divaricata (Okamura) Okamura, 1932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분류체계 : Chromista크로미스타계 > Ochrophyta대롱편모조식물문 > Phaeophyceae갈조강 > Dictyotales그물바탕말목 > Dictyotaceae그물바탕말과 > Dictyopteris뼈대그물말속 >
  • 종설명(Description)

    •   ▵ Type locality : Cape Iwai and Hakodate, Japan
        
        생활사 유형은 동형세대교번을 하며, 포자체, 암수배우자체로 구성된다. 사분포자체는 단포자낭으로 구성된 포자낭이 피층세포로부터 발달하고, 배우체는 자웅이주이며, 난형의 암배우자낭과 수배우자낭으로 구성되며, 무성의 갈조사로 싸여있다. [1]
        식물체는 연한 갈색으로 암반에 부착하고, 폭 10~25 mm, 길이 5~15 cm로 자란다. 엽체모양은 평편한 대상으로 동일평면상에서 수회 차상으로 분기하여 전체적으로 부채꼴이 되고, 중륵이 엽체 상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부위에서 두드러지며, 가근성 부착기가 있다. 엽체 횡단면에서 네모꼴의 피층세포가 1층으로 발달하고 그 안에 큰 세포의 수층조직이 2층으로 발달한다. 포자낭은 식물체 양 표면에 산재하고, 갈조사는 엽체 표면에 흩어져 있다. 이 종은 체형이 부채꼴이고, 중륵이 뚜렷하게 발달하며, 생식기관이 중륵의 양쪽에 발달하므로 유사종과 구별된다. [3]

    •   주로 조간대 하부 및 조하대 수심 5m 이내의 얕은 곳의 암반 위에 서식하고, 연중 출현하며, 11월부터 다음 해 8월까지 주로 번무한다. [2]

    •   전해역

    •   유럽,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서남아시아, 동남아시아, 호주, 뉴질랜드

    •   의약품으로 활용

    •   1. 미끈뼈대그물말을 이용한 알츠하미성 치매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출원번호 : 1020150114595(2015.08.13) / 출원인 : 강릉원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 : 1021770350000(2020.11.04) / 출원인 : 강릉원주대학교 산학협력단
        2. 피부 미백용 조성물
        출원번호 : 1020090029440(2009.04.06) / 출원인 :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등록번호 : 1011325720000(2012.03.27) / 출원인 :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3. 항암제 조성물
        출원번호 : 1020090050592(2009.06.08) / 출원인 :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등록번호 : 1011100630000(2012.01.19) / 출원인 :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4. 항염증성 조성물
        출원번호 : 1020090050593(2009.06.08) / 출원인 :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등록번호 : 1011100640000(2012.01.19) / 출원인 :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 참고문헌

      [ 출처 ]
      [1]. 해양갈조식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2]. 유용한 서해의 바닷말
      [3]. 우리바다 우리생물 -서천
      [4]. 유용한 남해의 바닷말
      [ 참고문헌 ]
      1. 대한민국 생물지, 한국의 조류(해산 갈조류Ⅱ), 부성민 외 5명, 2010, 국립생물자원관, 환경부, 1-205 pp.
      2. 제주의 바닷말, 이용필, 2008, 아카데미서적, 1-477 pp.

      • [담당자]국립해양생물자원관 : 곽민석 전임연구원(041-950-0836, poohaxx@mabik.re.kr)
      • [자료 수정 날짜]2022-12-21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1121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2222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112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rbcL

    염기서열

    • 사진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이미지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6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Investigation of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from 19 Species of Marine Macroalgae in Korea In the present work, we have collected 19 species of macroalgae (9 Phaeophta and 10 Rhodophyta) f rom all around of Korea: Dictyopteris divaricata, D. prolifera, Myelophycus cavus, Papenfussiella kuromo, Petalonia zosterifolia, Petrospongium rugosum, Rugulopteryx okamurae, Sargassum fulvellum, S. muticum, Callophyllis japonica, Gloiopeltis tenax, Gracilaria longissima, Gracilaria vermiculophylla, Grateloupia asiatica, Grateloupia lanceolata, Grateloupia sparsa, Grateloupia turuturu, Grateloupia sp, and Polyopes affinis. The macroalgal species were extracted by 70% ethanol (EtOH) for 24 h and evaluated its inhibitory effects on ${alpha}$-glucosidase. Among ethanol extracts, Myelophycus cavus showed the most effectively inhibitory activity ($IC_{50}$, 2.17 ${mu}g/ml$) against ${alpha}$-glucosidase, followed by Sargassum fulvellum (<$IC_{50}$, 8.13 ${mu}g/ml$), Dictyopteris prolifera ($IC_{50}$, 16.66 ${mu}g/ml$), Rugulopteryx okamurae ($IC_{50}$, 50.63 ${mu}g/ml$), and Petrospongium rugosum ($IC_{50}$, 101.62 ${mu}g/ml$). Furthermore,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assay showed no cytotoxicity on mouse pre-adipocytes cell line (3T3-L1).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me edible macroalgae merit further evaluation for clinical usefulness as anti-diabetic functional foods. Jeong, So-Young,Qian, Zhong-Ji,Jin, Yeong-Jun,Kim, Gi-Ok,Yun, Pil-Yong,Cho, Tae-Oh Korean Society of Pharmacognosy 상세보기
        Investigation of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from 19 Species of Marine Macroalgae in Korea In the present work, we have collected 19 species of macroalgae (9 Phaeophta and 10 Rhodophyta) f rom all around of Korea: Dictyopteris divaricata, D. prolifera, Myelophycus cavus, Papenfussiella kuromo, Petalonia zosterifolia, Petrospongium rugosum, Rugulopteryx okamurae, Sargassum fulvellum, S. muticum, Callophyllis japonica, Gloiopeltis tenax, Gracilaria longissima, Gracilaria vermiculophylla, Grateloupia asiatica, Grateloupia lanceolata, Grateloupia sparsa, Grateloupia turuturu, Grateloupia sp, and Polyopes affinis. The macroalgal species were extracted by 70% ethanol (EtOH) for 24 h and evaluated its inhibitory effects on ${\alpha}$-glucosidase. Among ethanol extracts, Myelophycus cavus showed the most effectively inhibitory activity ($IC_{50}$, 2.17 ${\mu}g/ml$) against ${\alpha}$-glucosidase, followed by Sargassum fulvellum (<$IC_{50}$, 8.13 ${\mu}g/ml$), Dictyopteris prolifera ($IC_{50}$, 16.66 ${\mu}g/ml$), Rugulopteryx okamurae ($IC_{50}$, 50.63 ${\mu}g/ml$), and Petrospongium rugosum ($IC_{50}$, 101.62 ${\mu}g/ml$). Furthermore,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assay showed no cytotoxicity on mouse pre-adipocytes cell line (3T3-L1).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me edible macroalgae merit further evaluation for clinical usefulness as anti-diabetic functional foods. Jeong, So-Young,Qian, Zhong-Ji,Jin, Yeong-Jun,Kim, Gi-Ok,Yun, Pil-Yong,Cho, Tae-Oh The Korean Society of Pharmacognosy 상세보기
        동해안 천연 해조장의 군집구조와 분포 특성 이 연구는 2015년 5월부터 12월까지 우리나라 동해안에 위치한 강릉, 울진, 부산 일대에서 천연 해조장 및 서식환경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출현한 해조류는 총 96종이었으며, 분류군별로는 녹조류 9종, 갈조류 23종, 홍조류 64종이었다. 강릉의 경우, 미끈뼈대그물말(D. divaricata)이 정점별로 $173.2{sim}613.8g;m^{-2}$로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였고, 가는보라색우무(S. linearis)가 $360.8{sim}520.4g;m^{-2}$, 미역(U. pinnatifida)이 $25.9{sim}470.8g;m^{-2}$로 생물량이 높았다. 울진에서는 참곱슬이(P. telfairiae)가 $5.5{sim}256.2g;m^{-2}$, 구멍쇠미역(A. clathratum)이 $46.8{sim}241.5g;m^{-2}$로 생물량이 높았다. 부산에서 높은 생물량을 보인 해조류는 큰잎모자반(S. coreanum)으로 $388.1{sim}6,972.4g;m^{-2}$였고, 감태(E. cava)도 $194.9{sim}958.5g;m^{-2}$로 다른 해조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생물량을 나타냈다. 생체량 비율의 경우, 강릉에서 0.0 ~ 55.5 %로 평균 19.2 %를 나타내 울진과 부산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울진에서는 36.8 ~ 73.3 %으로 평균 63.8 %를 보였으며, 부산은 평균 48.5 %였다. 갯녹음 비율은 강릉에서 평균 46.7 %의 비율을 나타냈고, 울진에서는 평균 91.1 %의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이번 연구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조식성 동물의 밀도는 강릉에서 평균 6.0 개체/$m^2$로 분석되었고, 울진에서는 7.0 개체/$m^2$를 나타냈으며 부산에서 2.0 개체/$m^2$로 전체 지역 중에서 가장 낮은 조식성 동물 밀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이전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종조성, 출현비율, 밀도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지구 온난화, 기후변화, 해안개발 등에 의한 물리적, 화학적 오염과 관련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박규진,주현,최옥인,최창근 해양환경안전학회 상세보기
        Dictyopteris spp.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 In this study, we conducted antioxidant and whitening experiments to find out the functionality of Dictyopteris pacifica, Dictyopteris prolifera and Dictyopteris divaricata extracts of Dictyopteris spp. of brown algae as cosmetic ingredients. For the experiment, the extracts of D. pacifica, D. prolifera and D. divaricata were prepared with 70% ethanol. In the antioxidant experiment, the measurement result of total phenolic contents showed that the D. divaricata extract was the highest, 301.25±1.38 mg gallic acid/g. In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D. divaricata extract was also the highest, 99.40±0.16%. Also in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experiment, the D. divaricata extract was high, 98.87±0.62% results. In the NO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D. divaricata extract was also the highest, 76.80±1.27%. The measurement result of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in the whitening experiment showed that the D.prolifera extract was high, 43.5±1.5%. In the cytotoxicity experiment, all three types of Dictyopteris spp. extracts showed the high cell viability of more than 80%. In the measurement of melanin contents using B16F10 melanoma cells, the D. pacifica extract showed the best result, 33.90±1.70%. Thus, it was found that the antioxidant effect was high in the D. divaricata extract, and the whitening effect was high in D. prolifera and D. pacifica extracts, respective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ctyopteris spp.extract as basic data necessary to use it as a functional cosmetic ingredient with natural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in the future. 김진경,강상모 한국미용학회 상세보기
        Feeding behaviors of a sea urchin, Mesocentrotus nudus, on six common seaweeds from the east coast of Korea The sea urchin, Mesocentrotus nudus, is widely distributed in North West Pacific regions. It has a substantial impact on macroalgal communities as a generalist herbivore. This study examined various aspects of its feeding ecology, including algal preference, foraging behaviors, and possible effects of past feeding history on its algal preference. We used six common algal species (Ulva australis, Undaria pinnatifida, Sargassum confusum, Dictyopteris divaricata, Grateloupia elliptica, and Grateloupia angusta) from the east coast of Korea as food choice in a series of indoor aquarium experiments. The first choice of starved M. nudus was exclusively U. pinnatifida, followed by G. elliptica and S. confusum. Unlike large urchins, small urchins equally preferred U. pinnatifida and G. elliptica. On the other hand, Undaria-fed urchins preferred to feed only G. elliptica, although its preference slightly differed over time. We then grouped sea urchins into three categories (starved, Undaria-fed, mixed species-fed) to observe 12-days feeding preference as well as early foraging movements. Foraging behaviors of the three groups were distinctively different, although they could not completely reflect the actual consumption. For example, U. australis was highly attractive, but rarely eaten. Undaria-fed urchins seemed to stay with only S. confusum and U. australi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M. nudus shows high flexibility in food preference depending on past feeding history and body size. Its foraging behaviors are also affected by past feeding conditions, exhibiting active chemoreceptive movements. Yang, Kwon Mo,Jeon, Byung Hee,Kim, Hyung Geun,Kim, Jeong Ha The Korean Society of Phycology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6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미끈뼈대그물말을 이용한 알츠하미성 치매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1020150114595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원문정보
        항염증성 조성물 1020090050593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원문정보
        항암제 조성물 1020090050592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원문정보
        피부 미백용 조성물 1020090029440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원문정보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102008006817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문정보
      •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검색결과 1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목록 - 학명, 국명, 생리활성, 원료등록, 특징/이용
        학명국명생리활성원료등록특징/이용
        Dictyopteris divaricata 미끈뼈대그물말 항산화, 항염
    • 자원정보

      검색바

      총 626건, 1/126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AL0000692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미끈뼈대그물말
      Dictyopteris divaricata
      대한민국 2008-08-04
      MABIK AL0000692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미끈뼈대그물말
      Dictyopteris divaricata
      대한민국 2008-08-04
      MABIK AL00006928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미끈뼈대그물말
      Dictyopteris divaricata
      대한민국 2008-08-04
      MABIK AL0000692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미끈뼈대그물말
      Dictyopteris divaricata
      대한민국 2008-08-04
      MABIK AL0000693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미끈뼈대그물말
      Dictyopteris divaricata
      대한민국 2008-08-04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