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참가시그물바탕말

참가시그물바탕말Dictyopteris pacifica (Yendo) I.K.Hwang, H.-S.Kim & W.J.Lee, 2004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1
분류체계 : Chromista크로미스타계 > Ochrophyta대롱편모조식물문 > Phaeophyceae갈조강 > Dictyotales그물바탕말목 > Dictyotaceae그물바탕말과 > Dictyopteris뼈대그물말속 >
  • 종설명(Description)

    •   식물체는 암갈색이며 편평하고 가지는 불규칙하게 찢어지면서 가지로 된다. 식물체 표면은 울퉁불퉁하고 고랑이 있으며 주름진다. 중륵(잎맥)은 연한 녹색 혹은 연한 갈색을 띠며 식물체 하부에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식물체는 10~20 cm까지 자라며 주로 암반에 붙어 자란다. 식물체 내부 조직에서는 둥그스름한 피층세포가 1층으로 발달하고 그 안에 큰 세포의 수층조직이 3-4층으로 발달한다. 연중 출현한다.
      [1]

    •   주로 조간대 하부에 자란다.
      [2]

    •   식물체는 암갈색의 댕기 모양으로 불규칙하게 찢어지면서 가지로 된다. 여러 개의 정단세포가 나란히 있으며, 식물체의 표면은 울퉁불퉁하고 고랑이 있으며 주름진다. 포자낭은 무리를 이루어 나타나며 식물체의 표면에 돌출한다. 피층은 한 겹의 세포로 되었고 수조직은 3~4겹의 세포로 되었다. (Lee, 2008 편집 인용)
      [2]

    •   중국, 일본, 타이완
      [1]

    •   우리나라 전 연안
      [1]

    • 출처

      [1]. 해양갈조식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2].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 [3]. 해양갈조식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4].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 참고문헌

      1. 대한민국 생물지, 한국의 조류(해산 갈조류Ⅱ), 부성민 외 5명, 2010, 국립생물자원관, 환경부, 1-205 pp.

      2. 제주의 바닷말, 이용필, 2008, 아카데미서적, 1-477 pp.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1122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2222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112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rbcL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2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동해 왕돌초 조하대의 해조상과 군집구조 한국 동해안 울진군에 위치한 왕돌초 조하대에서 2012년 5월부터 2013년 8월까지 계절별로 해조상 및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녹조류 12종, 갈조류 29종, 홍조류 81종을 포함한 122종이 채집 및 동정되었으며, 38종의 해조류는 조사지역에서 연중 출현하였다. 정점별 평균 생물량은 봄 472.19-1,198.77 g wet wt. $m^{-2}$, 여름 68.99-631.14 g wet wt. $m^{-2}$, 가을 200.91-401.20 g wet wt. $m^{-2}$, 겨울 53.61-922.32 g wet wt. $m^{-2}$로 나타났다. 생물량에 근거한 왕돌초 해조류의 수직분포는 상부 개도박(Grateloupia lanceolata), 넓은분홍잎(Acrosorium venulosum), 마디잘록이(Lomentaria catenata), 중부 미역(Undaria pinnatifida), 참가시그물바탕말(Dictyopteris pacifica),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 감태(Ecklonia cava), 하부 쇠꼬리산말(Desmaeistia viridis), 감태(E. cava), 괭생이모자반(S. horneri) 순으로 확인되었다. 왕돌초에서 출현한 해조류를 6가지 기능형군에 따라 구분한 결과 사상형 34.43%, 성긴분지형 25.41%, 엽상형 24.59%, 다육질형 9.71%, 각상형 5.74%, 유절산호말형 0.82%로 확인되었다. 해조상의 특성을 반영하여 해조군락 특성을 판단할 수 있는 C/P, R/P, (R+C)/P 값은 각각 0.41, 2.79, 3.21로 나타났다. 또한, 왕돌초 조하대 군집 안정도와 환경상태를 다양도지수(H')와 우점도지수(DI)를 기초로 확인한 결과 안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왕돌초 조하대에 서식하는 해조류 종다양성 및 풍부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교란이나 부영양화 같은 인간활동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권천중,최창근 한국해양학회 상세보기
        Dictyopteris spp.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 In this study, we conducted antioxidant and whitening experiments to find out the functionality of Dictyopteris pacifica, Dictyopteris prolifera and Dictyopteris divaricata extracts of Dictyopteris spp. of brown algae as cosmetic ingredients. For the experiment, the extracts of D. pacifica, D. prolifera and D. divaricata were prepared with 70% ethanol. In the antioxidant experiment, the measurement result of total phenolic contents showed that the D. divaricata extract was the highest, 301.25±1.38 mg gallic acid/g. In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D. divaricata extract was also the highest, 99.40±0.16%. Also in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experiment, the D. divaricata extract was high, 98.87±0.62% results. In the NO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D. divaricata extract was also the highest, 76.80±1.27%. The measurement result of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in the whitening experiment showed that the D.prolifera extract was high, 43.5±1.5%. In the cytotoxicity experiment, all three types of Dictyopteris spp. extracts showed the high cell viability of more than 80%. In the measurement of melanin contents using B16F10 melanoma cells, the D. pacifica extract showed the best result, 33.90±1.70%. Thus, it was found that the antioxidant effect was high in the D. divaricata extract, and the whitening effect was high in D. prolifera and D. pacifica extracts, respective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ctyopteris spp.extract as basic data necessary to use it as a functional cosmetic ingredient with natural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in the future. 김진경,강상모 한국미용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511건, 1/103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AL0000077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참가시그물바탕말
      Dictyopteris pacifica
      대한민국 2010-12-19
      MABIK AL0000078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참가시그물바탕말
      Dictyopteris pacifica
      대한민국 2010-12-19
      MABIK AL0000078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참가시그물바탕말
      Dictyopteris pacifica
      대한민국 2010-12-19
      MABIK AL0000078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참가시그물바탕말
      Dictyopteris pacifica
      대한민국 2010-12-19
      MABIK AL0000078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참가시그물바탕말
      Dictyopteris pacifica
      대한민국 2010-12-19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