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두켜부채

두켜부채Distromium decumbens (Okamura) Levring, 1940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분류체계 : Chromista크로미스타계 > Ochrophyta대롱편모조식물문 > Phaeophyceae갈조강 > Dictyotales그물바탕말목 > Dictyotaceae그물바탕말과 > Distromium두켜부채속 >
  • 종설명(Description)

    •   식물체는 갈색 또는 녹갈색의 동그란 부채모양으로 비스듬히 바닥에 펼쳐지며 모여나 서로 겹쳐진다. 식물체의 끝 부분에 막대모양의 정단세포가 울타리처럼 모여 있으며 그 아래에는 모두 네모꼴인 세포로 되어있다. 식물체는 두 겹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닥을 향한 부분의 세포에서 뿌리를 내고 위를 향한 부분의 세포에서 생식기가 만들어진다. 조간대 하부 바위 틈에 자라며, 4월에서 10월 사이에 많이 출현한다.
      [1]

    •   엽체는 가근성 부착기로 암반에 붙어있고 유엽에서는 단일의 부채형 혹은 콩팥형인데 성장하면 방사형으로 찢어져서 쐐기꼴의 열편으로 되며 이것을 펼치면 부채 형태로 가장자리는 서로 겹쳐진다. 엷은 갈색 또는 짙은 갈색으로 색소체를 지닌 두 개의 세포층으로 구성된다.(Choi et al., 2016 편집 인용)
      [2]

    •   일본, 베트남
      [1]

    •   동, 남해안
      [1]

    • 출처

      [1]. 해양갈조식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2].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 [3]. 해양갈조식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4].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 참고문헌

      제주의 바닷말, 이용필, 2008, 아카데미서적, 1-477 pp.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1122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2222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112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이미지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제주도 연안 서식 해조류에 대한 주요 활성성분 및 항산화효능 연구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ful components and potential antioxidant activities of 30 marine algae, collected from Jeju Island in Korea. The contents of bioacitve substance of extracts from marine algae, such total polyphenol and carbohydrate, were determined. The extract of Distromium decumbens had the highest amount of total polyphenol content (21.27%), and that of Gracilaria incurvata Okamura had the highest amount of total carbohydrate content (10.18%).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obtained from algae were tested through the evaluation of DPPH radical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extracts of Distromium decumbens, Sargassum hemiphyllum (Turner) C.Agardh, Sargassum serratifolium (C. Agardh) C. Agardh and Acrosorium yendoi Yamada were found to have more than 80%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hat of Dictyota okamurae (Dawson) $H{ddot{o}}tning$, Schnetter, et Prud'homme van Reine, Myagropsis myagroides (Martens ex Turner) Fensholt, Sargassum serratifolium (C. Agardh) C. Agardh and Cladophora wrightiana Harvey showed more than 50%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gae collected from Jeju Island would be good raw materials for antioxidant. 김태희,고석천,오건우,박현호,이대성,임미진,이정민,유종수,김창수,최일환,정원교 한국해양바이오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3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두켜부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102018001207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원문정보
        두켜부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용종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02016013587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원문정보
        두켜부채, 해당화 및 여뀌 혼합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활성 및 항균효과를 보이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020220093444 그린코스 주식회사 원문정보
      •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검색결과 1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목록 - 학명, 국명, 생리활성, 원료등록, 특징/이용
        학명국명생리활성원료등록특징/이용
        Distromium decumbens 두켜부채 항산화 화장품원료 등록 화장품원료 등록 (국제화장품원료집, ICID)
    • 자원정보

      검색바

      총 137건, 1/28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AL0001533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두켜부채
      Distromium decumbens
      대한민국 2011-11-23
      MABIK AL0001533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두켜부채
      Distromium decumbens
      대한민국 2011-11-23
      MABIK AL0001533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두켜부채
      Distromium decumbens
      대한민국 2009-01-07
      MABIK AL0001533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두켜부채
      Distromium decumbens
      대한민국 2012-01-06
      MABIK AL0001533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두켜부채
      Distromium decumbens
      대한민국 2011-11-23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