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대황

대황Eisenia bicyclis (Kjellman) Setchell, 1905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1
분류체계 : Chromista크로미스타계 > Ochrophyta대롱편모조식물문 > Phaeophyceae갈조강 > Laminariales다시마목 > Lessoniaceae감태과 > Eisenia >
  • 종설명(Description)

    •   바다에 사는 갈조식물이다. 엽체는 한 장의 매끈한 댓잎 모양으로 성숙 시 혁질로 암황갈색을 띠고, 우상열편을 이룬다. 어린시기의 엽상부는 줄기 이행부의 생장대 부분까지 썩어 없어지며, 생장대는 좌우로 엇비슷하게 자라서 마치 줄기가 차상분기한 꼴로 되고, 각각은 복우상으로 분지한 2년째 엽상부를 갖는다. 부착기는 수지상이고, 가지는 윤생하며, 편원이고, 길이는 수심에 따라 1.5m에 이르며, 지름 2-3cm, 중앙부는 굵고 실질이다. 엽신 면에 주름혹이 있고, 가장자리에는 톱니, 치상이 있고, 포자낭은 엽신의 가장자리에 붙는다. 조하대 암반에 부착하여 자라며, 연중 생육한다. 울릉도와 독도 해역에 자라며, 세계적으로 일본에 분포한다.

    •   우리나라 전 연안의 조하대 암반에 부착하여 서식한다. 감태와 함께 커다란 군락을 형성한다.
      [1]

    •   엽체는 한 장의 매끈한 댓잎 모양으로 성숙 시 혁질로 암황갈색을 띠고, 우상열편을 이루며, 어린시기의 엽상부는 줄기 이행부의 생장대 부분까지 썩어 없어지며, 생장대는 좌우로 엇비슷하게 자라서 마치 줄기가 차상분기한 꼴로 되고, 각각은 복우상으로 분지한 2년째 엽상부를 갖는다. 부착기는 수지상이고, 가지는 윤생하며, 편원이고, 길이는 수심에 따라 1.5m에 이르며, 지름이 2-3cm, 중앙부는 굵고 실질이다. 엽신 면에 주름혹이 있고, 가장자리에는 톱니, 치상이 있고, 포자낭은 엽신의 가장자리에 붙는다.

    •   조하대 암반

    •   일본

    •   동해안 울릉도, 독도

    • 출처

      [1]. 우리바다 우리생물 -독도

    • [2]. 우리바다 우리생물 -독도

    • 참고문헌

      1. 부성민, 이욱재, 황일기, 금연심, 옥정현, 조가연. 2010. 한국의 조류(Algae). 제2권 2호, 해산 갈조류 II. 국립생물자원관, 인천 205 pp.

      2. 정문기, 박만상. 1955. 한국해조목록. 해무청중앙수산검사소. 서울. 42 pp.

      3. Kjellman, F. R., J. V. Petersen. 1885. Om Japans Laminariaceer. Vega-expeditionens Vetenskapliga Iakttagelser, Stokholm 4: 255-280, 1 table.

      4. Setchell, W. A. 1905. Post-embryonal stages of the Laminariaceae. University of California Publications in Botany 2: 115-138.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31313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22211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23221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rbcL

    염기서열

    • 사진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이미지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45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배양 신경세포의 저산소증모델에서 대황 물추출액의 항산화 및 사립체막전위 소실 억제 효능 대황(Rhei Rhizoma; RR, 대황(大黃))은 Rheum officinale Baill.와 Rheum palmatum L. (Polygonaceae)의 땅속부분 (rhizome 및 root)으로 남아시아의 민속의학에서 간 및 신장의 손상을 치료하는데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배양한 흰쥐 해마신경세포의 저산소증모델을 이용하여 대황의 물추출물이 신경세포사를 억제하는 효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배양 10일(DIV10)에 RR을 배양액에 첨가하고 DIV13일에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10 ${\mu}g$/ml 농도까지는 세포독성이 없었으며, 정상산소 환경에서 2.5 ${\mu}g$/ml의 농도에서 세포생존율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지에 대황을 첨가한 경우 DIV13일에 저산소증을 유도한 후 5일째에 세포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매우 유의하게 생존율을 증가시켰다. $H_2DCF$ 염색 결과 대황은 활성산소(ROS)의 생성을 유의하게 감소시킴과, JC-1 염색 결과 사립체 막전위의 소실을 유의하게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대황 물추출물이 활성산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세포의 에너지 생성을 보전함으로서 세포사를 억제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향후 뇌신경세포의 건강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Lee, Hyun-Sook,Moon, Il-Soo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상세보기
        페놀화합물이 포함된 대황(Rhubarb)추출물의 항산화성 평가 이 연구에서는 미국산 R. rhabarbarum L.과 중국산 R. palmatum L.의 줄기 추출물과 그리고 한국산 R. undulatum L.의 뿌리 추출물이 천연항산화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대황의 페놀화합물을 추출하기 위해서 물, 에탄올, 메탄올이 사용되었다. 에탄올이 대황(Rhubarb)에서 페놀화합물을 추출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용매였으며 50% 에탄올은 R. rhabarbarum L. 줄기에, 70% 에탄올은 R. palmatum L.의 줄기에, 80% 에탄올은 R. undulatum L.의 뿌리에서 페놀을 추출하는데 각각 가장 효과적인 용매농도였다. 또한 추출물리 항산화능을 알기 위해 ${\beta}-carotene$ bleaching inhibition activity와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측정하였으며 합성항산화제인 BHT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beta}-Carotene$ bleaching inhibition activity 실험에서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하면 대황추출물의 항산화능이 역시 증가하였다. 추출물의 농도가 5mg/ml와 10mg/ml 일때 R. undulatum L. 뿌리추출물과 BHT의 항산화능은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p{\leq}0.05)$. 그러나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에서 R undulatum L. 뿌리추출물이 0.4 mg/mL 농도 이상에서는 BHT 보다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대황(R. undulatum L.)의 80% 에탄올 추출물이 천연항산화제로의 사용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합성항산화제인 BHT의 식품에 사용농도를 비교하여 볼 때 대황 추출물의 항산화능이 BHT와 동일하기 위해서는 보다 높은 농도를 필요로 하였다. Kim, Chul-Jai,Suh, Hee-Ji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상세보기
        대황 감초 복합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통한 역류성 식도염 개선 효과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stress activities through regulation of Nrf2-mediated genes by Rhei rhizoma and Glycyrrhiza rhizoma combined extract (RGE) in reflux esophagitis.Methods :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GE in vitro was measured in terms of radical scavenging capacity such as DPPH and ABTS. RGE was administered at 350 mg/kg body weight prior to induction of reflux esophagitis. Reflux esophagitis was induced that tied the pylorus and the transitional junction between the forestomach and the corpus in Sprague-Dawley rats.Results : RGE scavenged DPPH and ABTS effectively and IC50of RGE each were 4.9 μg/ml and 45.6 μg/ml. Our results show that RGE administration markedly ameliorated mucosal damage upon histological evaluation. In serum and esophagus tissue, RGE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oxidative stress biomarkers. Reflux esophagitis induced rats exhibited down-regulation of antioxidant-related proteins in the esophagus; however, the levels with treatment of RG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vehicle reflux esophagitis rats. RGE treatment caused significant reductions in activation of NF-κB transcription factor. Thus, RGE significantly exhibited potent anti-inflammatory activities by suppressing the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pro-inflammatory proteins such as COX-2 and iNOS and 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NF-αin the esophagus tissue.Conclusions : Reflux esophagitis caused considerable levels of oxidative stress in the esophageal mucosa and the administration of RGE reduced the esophageal mucosa damage through the regulation of Nrf2 and NF-κB pathways. Our findings can considered as supplementary therapy 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reflux esophagitis. 김민영,신유옥,이주영,이아름,신성호,권오준,서부일,노성수 대한본초학회 상세보기
        대황유래 Laminaran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혈청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국내산 갈조류에 대하여 laminaran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대황에서 다량의 laminaran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정제 laminaran의 생리활성 규명의 일환으로 대황에서 laminaran을 추출한 다음 고지방 식이로 사육한 흰쥐에게 음용수로 급여하였을 때 장기능과 혈청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식이성 고지혈증이 유발된 실험동물은 대조군(control)., laminaran 0.25% 음용군(low dose, LL), laminaran 0.5% 음용군(high dose, LH)으로 나누었으며, 정상식이를 하는 정상군(normal)은 일반 음용수를 섭취시켰다. LL군 및 LH군은 대조군에 비해 체중증가량은 낮았고, 식이섭취량은 실험군 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체중 100g당 간장, 신장, 부고환 지방조직 무게는 고지혈증 유발 실험군(control, LL 및 LH군)이 정상군(normal)에 비해 높았으나, 실험대조군(control)에 비해서는 LL군과 LH군이 낮게 나타난 반면, 맹장의 무게는 LL군과 LH군이 대조군에 비해 무거웠으며, 소장과 대장의 길이는 정산군과 대조군에 비하여 길은 것으로 나타났다. 혈중 총지질 함량은 LL군과 LH군이 대조군에 비해 각각 36.7 및 36.4%, 중성지질은 23.3 및 31.2%, 인지질 농도는 31.2 및 41.2%로 감소하였다. 또한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34.0 및 26.2%, LDL-콜레스테롤은 69.6 및 68.2% 감소하였고,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각각 40.4 및 44.6% 증가하였다. 동맥경화지수(AI)는 대조군 1.8, LL군 0.5, LH군 0.6으로 대조군에 비해 AI가 각각 72.2 및 66.6%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 laminaran은 식이성 고지혈증 흰쥐에 대한 혈청 지질성분의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없었으며,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또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대되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사료 된다. 수크랄로스 1.27 mg/person/day로 각 인공감미료의 ADI를 국민평균체중 55 kg으로 환산한 $825{\sim}2,200\;mg/person/day$와 비교하였을 때 매우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각 인공감미료의 총 일일추정섭취량은 ADI 대비 0.2% 수준이었고 사용가능 대상 식품의 이론적 최대섭취량(TMDI)의 $1.0{\sim}21.4%$의 수준으로 사용대상식품을 통한 인공감미료의 섭취는 안전하다고 판단된다.더 불량할 것으로 예측된다. 24시간회상법과 식품섭취빈도조사법을 이용하여 농촌지역 노인들의 영양소섭취량을 측정하여 비교한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비록 두 식이섭취조사방법 간에 높은 상관성은 보여주지 못하였지만, 영양소섭취량은 두 방법 간에 비슷한 수준을 보여주어, 본 연구대상 특정 농촌지역 노인들의 영양소섭취량 조사에 24시간회상법 및 식품섭취빈도조사법 모두가 사용될 수 있음을 예견하였다. 노인인구 대상으로 보다 정확한 영양소 섭취량 측정을 할 수 있는 식품섭취빈도조사지 개발이 시급한 요구로 제시된다.었다. 즉 음식요인에 대해 높게 인식할수록 재방문의도 및 추천의도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학교 급식소 운영주체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 조사결과 향후 대학교 급식소를 운영하는 위탁급식 전문업체의 경우 그들의 브랜드를 알리기 위한 홍보전략이 절실히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최근고객감소로 인하여 다양한 급식운영 마케팅전략을 수립하고 있는 단체급식 운영자들은 재방문 및 추천의도의 선행요건이 급식서비스 품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임을 명심하여 가장 기본이 되는 급식서비스 품질수준을 향 김영명,한찬규,방상진,박종혁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상세보기
        종대황과 선복화 에탄올 추출물의 인간 피부 세포주인 HaCaT 세포에서 NRF2/ARE에 의존적인 유전자 발현의 유도를 통한 항산화 효과 본 연구진은 HaCaT-ARE-luciferase 세포를 이용하여 400 여개의 약용식물 에탄올 추출물 중 NRF2/ARE 유도효과가 있는 신규 추출물을 검색하였고 이를 통하여 종대황(Rheum undulatum)과 선복화(Inula japonica)의 주정 추출물이 HaCaT-ARE-luciferase 세포에서 ARE 활성을 강하게 유도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종대황과 선복화 에탄올 추출물은 HaCaT 세포에서 생존(viability)을 증가시켰고 NRF2/ARE에 의존적인 phase II cytoprotective 효소인 heme oxygenase-1 (HO-1)와 NADPH:quinone oxidoreductase-1 (NQO1)의 전사 및 단백질 발현을 강하게 유도하였다. 또한 종대황과 선복화 추출물은 HaCaT 세포에서 TPA로 유도한 세포 내 활성 산소 및 이를 통하여 생성되는 스트레스 마커인 8-hydroxydeoxyguanosine (8-OH-dG)과 4-hydroxynonenal (4HNE)의 발생을 강하게 억제하였다. 본 연구는 종대황과 선복화의 에탄올 추출물이 인간 피부 세포주인 HaCaT 세포에서 NRF2/ARE에 의존적인 유전자 발현의 유도를 통하여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을 증명한다. Yoo, Ok-Kyung,Lee, Yong-Geol,Do, Ki-Hoan,Keum, Young-Sam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58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자전거 도로포장용 아스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2014-0015545 (주)대한하이텍건설 | 강창구 원문정보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포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2013-0090078 강창구 | (주)대한하이텍건설 원문정보
        톳 추출액을 이용한 톳 젤리의 제조방법 1020100052960 문기경|이정업 원문정보
        해조류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감각신경성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1020170014040 동국제약 주식회사 원문정보
        해조류 대황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체 파필로마바이러스(HPV) 감염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102016008999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원문정보
      •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검색결과 1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목록 - 학명, 국명, 생리활성, 원료등록, 특징/이용
        학명국명생리활성원료등록특징/이용
        Eisenia bicyclis 대황 항산화, 항염, 항균 식품원료 등록 식품원료 등록
    • 자원정보

      검색바

      총 110건, 1/22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AL0003636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대황
      Eisenia bicyclis
      대한민국 2012-10-20
      MABIK AL0003636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대황
      Eisenia bicyclis
      대한민국 2012-10-20
      MABIK AL00036368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대황
      Eisenia bicyclis
      대한민국 2012-10-20
      MABIK AL0003636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대황
      Eisenia bicyclis
      대한민국 2012-10-16
      MABIK AL0003637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대황
      Eisenia bicyclis
      대한민국 2012-10-17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