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대추귀고둥

대추귀고둥Ellobium chinense (Pfeiffer, 1855)

  • 해양보호생물
  • 멸종위기야생생물종 Ⅱ급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Mollusca연체동물문 > Gastropoda복족강 > Ellobiida > Ellobiidae대추귀고둥과 > Ellobium대추귀고둥속 >
  • 종설명(Description)

    •   패각 형태는 긴 난형으로 나탑은 원추형이며 나층은 7층이다. 패각의 각피는 황색이며 오래된 개체는 흑갈색을 띤다. 각정에서 체층 가장자리까지 성장맥과 나상맥이 교차해 고운 포목상을 이루고, 가장자리 아래에서 각저까지는 나상맥이 없고 성장맥만 나타난다. 각정은 둥글고 봉합은 얕다. 체층은 부풀지 않으나, 커서 각고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각구는 체층의 가장자리 중간에 접하며, 긴 난형으로 외순 아래와 저순이 두껍고 축순에는 강한 주름이 3개 나타난다. 성체의 크기는 각고 2.7cm, 각경 1.4cm 정도다. 담수 유입이 있는 해안 갯벌 지역에 분포한다. 대추귀고둥은 육산패류이면서 해안가 갯벌 지역에 서식하는 특징이 있다. 갯벌 조간대 최상부의 초지대, 특히 갯잔디가 발달한 지역의 풀숲에 땅을 파거나 돌 밑에서 은거한다. 이 종은 간조 시 땅속으로 숨어들기 때문에 노출된 개체를 발견하기 어려운데, 서식 구멍 주변에 독특한 배설물이 있어서 이를 이용해 서식지점을 찾을 수 있다. 1월~3월에는 길이 10cm가량의 굴속에서 동면한다.

    •   갯벌 조간부 최상부에 주로 서식하며, 갯잔디 및 갈대 군락지에 땅을 파거나 돌 밑에 은거한다. 서식범위는 초지대 일부에 국한되어 있어 환경변화에 민감하다. 4~5월에 주로 짝짓기 한다.
      [1]

    •   각고 3.5cm, 각경 1.7cm 정도의 중소형 패각을 가지며, 형태는 전체적으로 긴 달걀 혹은 대추 모양을 하고 있다. 각피는 황색이며 오래된 개체에서는 흑갈색을 보이기도 한다. 각정은 둥글고 봉합은 얕으며 체층은 커서 각고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성장맥은 굵고 체층을 비롯한 각층에 세로로 나 있다. 내순은 흰색이고 축순에 이빨 모양의 돌기가 1개 있다. 껍질은 매우 딱딱하다.
      [2]

    •   중국, 일본

    •   경기도, 경남, 전남, 전북, 충남

    • 출처

      [1]. 우리바다 우리생물 -서천

      [2]. Kwon OK, Park GM, Lee JS. 1993. Coloured Shells of Korea. Academy Book.

    • [3]. 우리바다 우리생물 -서천

      [4]. Kwon OK, Park GM, Lee JS. 1993. Coloured Shells of Korea. Academy Book.

    • 참고문헌

      Frias Martins, A. M.; Cunha, R. M. T. P. T. (1992). The Ellobiidae (Gastropoda: Pulmonata) communities from a boulder shore and a salt meadow in the Sai Kung Peninsula, Hong Kong. In: Morton B, editor. Proceedings of the fourth international marine biological workshop: The marine flora and fauna of Hong Kong and southern China. The marine flora and fauna of Hong Kong and southern China III. Hong Kong University Press, Hong Kong. 1: 417-429.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3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보호대상해양생물의 보전가치 추정: 대추귀고둥을 대상으로 본 논문에서는 해양수산부가 지정한 보호대상해양생물 중 하나인 대추귀고둥을 대상으로 하여 보전가치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추귀고둥과 같은 비시장재화에 대한 경제적 가치 평가기법인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적용하였고, 무작위로 추출된 전국 1,000가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대추귀고둥의 보전을 위한 지불의사액 정보를 유도했다. 지불의사 유도방법으로 1.5경계 모형을 적용했으며, 영(0)의 지불의사액 자료를 다루기 위해 스파이크 모형을 결합하였다. 분석결과 대추귀고둥의 보전가치는 가구당 연간 2,346원으로 추정되었으며, 이 값은 유의수준 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 값을 전국으로 확장하면 연간 438억원에 달한다. 즉 우리나라 국민들은 대추귀고둥의 보전을 위해 유의한 금액을 기꺼이 부담할 용의가 있었다. 임슬예,이창수,김민섭,유승훈 해양환경안전학회 상세보기
        DNA Barcoding of the Endangered Species Ellobium chinense (Mollusca, Gastropoda, Ellobiidae) from Coastal Areas of South Korea The pulmonate gastropod Ellobium chinense (Pfeiffer, 1864) is an endangered marine species along the South Korean coasts due to habitat destruction and population declines. We sequenced the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1 (COI) of 25 E. chinense specimens collected from five coastal sites in South Korea, and identified 16 unique haplotypes. The maximum intraspecific variation among individuals was 1.6%, while interspecific differences from another ellobiid species, Auriculastra duplicata (Pfeiffer, 1854), ranged from 21.9 to 23.0%. Our barcoding data will be useful to elucidate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pulmonate gastropods and infer the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of E. chinense. 이창호,정태원,김일훈,조인영,김민섭,윤문근,김원 한국동물분류학회 상세보기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20 polynucleotide microsatellite markers in a vulnerable Korean snail, Ellobium chinense, using 454 pyrosequencing

        A small and air-breathing snail, Ellobium chinense (Ellobiidae), is a vulnerable species by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To protect and manage habitat and population of E. chinense, microsatellite markers were developed using 454 pyrosequencing and 20 polymorphic microsatellite markers were identified. A total of 146,704 sequences containing a minimum of four repeat motifs (mean, 631 base pairs) were identified from 499,505 reads. Among 80 loci containing more than nine repeat units, 34 primer sets (42.5 %) produced strong PCR products, of which 20 were polymorphic among 48 samples of E. chinense. All loci exhibited high genetic variability, with an average of 18.9 alleles per locus, and the mean observed and expected heterozygosities were 0.65 and 0.90, respectively. In addition, cross-amplification was tested for all 20 loci in the same family species, Melampus sincaporensis. None of the primer pairs resulted in effective amplification, which might be due to their high mutation rates. Our work demonstrated the utility of next-generation 454 sequencing as a method for the rapid and cost-effective identification of microsatellites. The high degree of polymorphism exhibited by the 20 newly developed microsatellites will be useful in future conservation genetic studies of this species.

        Hyun, Young Se,Song, Ha Yeun,Woo, Ji Young,Oh, Sumin,Kim, Min Seop,An, Hye Suck Springer-Verlag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16건, 1/4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MO0013748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대추귀고둥
      Ellobium chinense
      대한민국 2012-06-14
      MABIK MO00137488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대추귀고둥
      Ellobium chinense
      대한민국 2012-06-14
      619 해양연체동물자원 표본 대추귀고둥
      Ellobium chinense
      대한민국 2011-03-20
      615 해양연체동물자원 표본 대추귀고둥
      Ellobium chinense
      대한민국 2011-03-20
      3857 해양연체동물자원 표본 대추귀고둥
      Ellobium chinense
      대한민국 2007-07-03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