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둥근관고둥Eocylichna musashiensis (Tokunaga, 1906)
조하대 20~200m 범위의 고운 모래펄에 서식한다.
[1]
패각은 높이 약 13mm, 폭 5mm로 얇은 길쭉한 난형이다. 표면은 백색을 띤다. 체층은 아래로 내려갈수록 폭이 넓어진다. 각정은 패각의 안쪽으로 함몰되어 있어 각구의 외순이 각정보다 높다. 각정 주변에 각이 있고, 나층이 함몰되어 구멍처럼 보인다. 각구는 상대적으로 좁고 길며, 축순에 주름이 있다.
[2]
태평양(중국, 일본)
[3]
제주(서귀포)
[2]
출처
[1]. Okutani, T., 2000. Marine mollusks in Japan. Tokai University Press, Tokyo. 1173 pp.
[2]. 민덕기, 이준상, 고동범, 제종길. 2004. 한국패류도감. 도서출판 한글, 부산. 569 pp.
[3]. Habe, T. 1954. Report on the Mollusca chiefly collected by the S. S. Soyo-Maru of the Imperial Fisheries Experimental Station on the continental shelf bordering Japan during the years 1922-1930. Part 1. Cephalaspidea. Publications of the Seto Marine Biological Laboratory 3(3): 301-318.
Liu, J.Y. [Ruiyu] (ed.). (2008). Checklist of marine biota of China seas. China Science Press. 1267 pp.
[4]. Okutani, T., 2000. Marine mollusks in Japan. Tokai University Press, Tokyo. 1173 pp.
[5]. 민덕기, 이준상, 고동범, 제종길. 2004. 한국패류도감. 도서출판 한글, 부산. 569 pp.
[6]. Habe, T. 1954. Report on the Mollusca chiefly collected by the S. S. Soyo-Maru of the Imperial Fisheries Experimental Station on the continental shelf bordering Japan during the years 1922-1930. Part 1. Cephalaspidea. Publications of the Seto Marine Biological Laboratory 3(3): 301-318.
Liu, J.Y. [Ruiyu] (ed.). (2008). Checklist of marine biota of China seas. China Science Press. 1267 pp.
NCBI (Eocylichna musashiensis)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