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매

Falco peregrinus Tunstall, 1771

  • 멸종위기야생생물종 Ⅰ급
  • 천연기념물 제323-7호
  • CITES Ⅰ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Chordata척삭동물문 > Aves조강 > Falconiformes매목 > Falconidae매과 > Falco매속 >
  • 종설명(Description)

    •   무인도를 중심으로 한 도서 지역이나 가파른 해안가 절벽에서 번식한다. 알은 보통 3-4개를 낳는다. 번식기에는 수컷이 잡은 먹이를 둥지 근처의 공중에서 암컷에게 전달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나무 꼭대기나 암벽 지대 위 등 지형이 높은 곳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먹이를 찾는데, 먹이를 발견하면 공중에서 빠른 속도로 잡는다. 꿩, 오리류 등 주로 조류를 주식으로 하지만 육상의 설치류를 잡아먹기도 한다.
      [1]

    •   매목 매과에 속하는 조류로, 몸 길이는 34-50cm이고 양쪽 날개를 편 길이는 80~120cm이다. 암수가 거의 비슷한 색이다. 몸 윗면은 어두운 청회색이며 몸 아랫면은 흰색에 검은 가로줄 무늬가 있다. 등, 날개, 꼬리는 푸른색을 띤 회색이고, 가슴과 배는 옅은 노란 갈색에 검은색 가로줄 무늬가 세밀하게 있다. 눈 밑의 검은 무늬는 크고 뚜렷하며, 눈테는 노란색이다. 특히 어린 새의 등은 갈색이며 배에는 굵고 어두운 갈색 세로줄 무늬가 있다.
      [1]

    •   전 세계
      [1]

    •   전국
      [1]

    • 출처

      [1]. CBD-CHM Korea

    • [2]. CBD-CHM Korea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35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해조류 바이오매스로부터 Lactic acid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 최근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확산됨에 따라 비대면 서비스가 성장하고 이와 동시에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 동시에 탄소중립과 지속가능한 순환경제와 같은 친환경 정책이 전 세계적으로 추진되고 있고 친환경 제품에 대한 높은 수요로 인해 패키징 업계에서도 PLA, PBAT 등을 사용한 친환경 포장재 개발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환경적 이슈에 우리나라 남해와 제주도 연안에서 매년 대량으로 발생하여 여러 형태의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구멍갈파래(Ulva australis)를 새로운 대체 에너지 원료로서 활용하고자 묽은 산 전처리, 효소 당화, 발효 공정을 거쳐 해조류 바이오매스 유래 Lactic acid를 생산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해조류는 종, 수확장소, 시기 등에 따라 탄수화물의 함량과 당의 구성이 다양하며, Cellulose, Alginate, Mannan, Xylan 등의 다당류로 구성되어 있고 리그닌 성분을 함유하고 있지 않아 곡물·목질계 자원보다 유용한 특징이 있다. 구멍갈파래를 구성하고 있는 복합 다당체는 한가지 공정만으로 높은 추출 수율을 기대하기 어려우나 본 연구에서 제시된 묽은 산 및 효소 당화의 융합 공정은 구멍갈파래가 함유하고 있는 대부분의 당 추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업화 규모의 생산 공정 구축 시 높은 Lactic acid 생산 수율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학래,고의석,심원철,김종서,김재능 한국포장학회 상세보기
        전복 용매 추출물의 세포독성과 항산화 활성 본 연구에서는 전복을 동결 건조시킨 후 전복의 지방산을 비교 분석하였고 세포독성 활성 및 세포 내 활성산소종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여 전복의 생리활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방산 조성 변화를 살펴보면 포화지방산들 내에서는 16:0의 함량이 건조 전복에서 높았고 불포화지방산들 내에서는 건조 전복의 경우 낮은 함량의 20:4n-6와 높은 함량의 22:6n-3를 나타내었다. 전복 A+M 추출물을 0.05 및 0.1 mg/ml 첨가농도로 HT-29 암세포에 처리했을 때 24%의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다(p<0.05). MeOH 추출물의 경우 A+M 추출물과 비교했을 때 세포독성 효과가 낮았다. 건조 전복의 각 분획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농도의존적으로 세포독성 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85% aq. MeOH 분획물에 의한 세포독성 활성이 가장 높았다(p<0.05). 세포 내 활성산소종 생성 억제효과에서 낮은 농도에서는 MeOH 추출물보다는 A+M 추출물에 의한 저해효과가 높았으며 분획물들 간 큰 차이는 없으나 85% aq. MeOH 분획물에 의한 생성 억제효과가 다소 높아 36%의 활성산소종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임선영 한국생명과학회 상세보기
        다시마의 건조 과정 중에 발생하는 후코잔틴(fucoxanthin)과 총항산화능의 변화 열풍 건조와 일광 건조는 건조 다시마를 제조하는데 매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조 다시마의 주요한 생리활성물질인 후코잔틴이 열풍 건조에 의해 노출되는 열과 일광 건조에 의해 노출되는 자외선에 의해 받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후코잔틴이 건조 다시마의 폴리페놀 조성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며, 총 항산화 능력에도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열풍 건조에서 발생하는 열과 일광건조에 의해 건조 다시마에 노출되는 자외선에 의해 후코잔틴 및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총 항산화 능력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 건조 다시마의 가공, 유통 및 저장 그리고 포장재의 선택 등이 건조 다시마의 생리활성물질의 잔존 및 총 항산화 능력에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백수현,이혜주,이채현,남택정,이상길 한국식품과학회 상세보기
        해조류의 혐기소화를 위한 메탄생산퍼텐셜 분석 해조류는 분해에 어려움이 없고 부산물 역시 사료와 비료 등으로 이용이 가능해 에너지로의 전환율이 높으며 성장과정에서의 탄소 흡수능력과 원료 생산에 특별한 비용이 들지 않고 빠른 생장속도와 넓은 재배 면적으로 이용가치가 높은 바이오매스로 볼 수 있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해조류 양식 발달 되어 왔으며, 2018년 기준 해조류 생산량은 총 1,722,486ton이며 이중 96% 이상을 차지하는 다시마(Saccharina japonica), 김(Porphyra tenera), 미역(Undaria pinnatifida)은 제품화 되는 과정에서 많은 양이 부산물로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 부산물의 혐기소화를 위하여 다시마, 미역, 김의 이화학적 성상을 분석하였으며, 이론적 메탄퍼텐셜과 생물화학적 메탄퍼텐셜(BMP)을 분석하여 혐기적 메탄생산 수율을 파악하였다. 다시마, 미역, 김의 이론적 메탄퍼텐셜은 0.393, 0.373, 0.435 N㎥/kg-VS로 나타났으며, 회분식 혐기반응기를 이용한 생물화학적 메탄생산퍼텐셜을 Modified gompertz model로 분석한 결과 0.226, 0.227, 0.241 N㎥/kg-VS로 산출되었으며, Parallel first order kinetics model로 분석한 결과 0.220, 0.243, 0.240 N㎥/kg-VS로 산출되었다. 이준형,김태봉,신국식,윤영만 유기성자원학회 상세보기
        한국의 자생 해조 발굴 연구: 미기록종 털가시우무 (열매가지과, 돌가사리목) 한국의 자생해조 발굴연구의 과정에서 털가시우무(Hypnea flagelliformis Greville ex J. Agardh)가 동해 연안에서 채집되었다. 본 종은 뚜렷한 주축, 잘록한 기부의 가지, 주축 및 가지에 밀생하는 다수의 짧은 소지가 있으며, 수세포 벽에 원형질 비후가 없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털가시우무는 한국산 미기록종으로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보고된다. Kang, Pil Joon,Nam, Ki Wan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682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소듐 로바레이트를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010-009767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원문정보
        라말린을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010-005255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원문정보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 유래 화합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010-0031788 한국해양연구원 원문정보
        시네코시스티스 속 PCC6803 유래 SbtA 유전자 및 이의 용도 2011-001064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문정보
        스트렙토코커스 써머필러스와 비피도박테리움 롱검을 포함하는 경장(經腸)용 식이조성물 1998-7000579 까발리에르 베젤리 레나타 마리아 안나 | 드 시모네 클라우디오 원문정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0건, 1/1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등록된 자원정보가 없습니다.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