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매끈이긴뿔고둥Fusinus ferrugineus (Kuroda & Habe, 1960)
다른 긴고둥 무리와 비슷한 곳에 산다. 수관구가 짧은 것을 제외하고는 꼬리 긴뿔 고둥과 비슷하다. 체층에는 나륵만이 매우 발달하였고, 주연부의 것은 더욱 크고 뚜렷하다. 내순의 활층이 있고 봉합이 매우 깊다. 차체층 부터는 종록이 있다. 껍질은 진한 갈색이고 비로드 모양의 각피를 갖고 있다. 긴뿔고둥과도 비슷하나 본 종은 봉합이 깊고 진한 갈색이며 체층에 종륵이 없다. 나층은 9층이고 나탑이 높다. 위쪽 나층에 둔한 종륵이 있는데 반해 체층과 차체층에는 약하게 나타난다. 가는 나륵이 2열 1조로 촘촘히 나타난다. 봉합이 깊어 각 나층이 둥글고 각구는 계란 모양의 타원형이며 외순연은 물결을 이루고 두껍지 않다. 내순과 축순은 백색 활층으로 덮이고 각구 내면은 청백색이며 낮은 주름이 안쪽으로 달리고 있다. 수관구는 패각 중심축의 왼쪽으로 약간 꺾이며 좁고 다소 길게 열려 있다. 패각의 높이는 75mm, 폭은 22mm 정도이다. (생태) 수심 10~20m의 암반이나 진흙질 바닥에서 드물게 발견되는 육식성 고둥이다. 다양한 저서동물을 먹이로 하는데, 주로 조개류나 고둥류를 먹는다.
수심 20m 이내 암반 또는 연성 기질에 서식한다.
[1]
패각은 단단하고 황갈색의 각피가 덮여 있다. 봉합이 깊고 각 나층이 뚜렷이 구별된다. 각구는 난타원형이며, 각구 내면은 청백색이다. 수관구는 왼쪽으로 꺽여 있으며, 좁고 길게 열려있다.
[1]
일본, 대만
동해, 남해
출처
[1]. 우리바다 해양무척추동물 인벤토리(2017년)
[2]. 우리바다 해양무척추동물 인벤토리(2017년)
참고문헌
Habe T. (1960). Egg masses and egg capsules of some Japanese prosobranchiate gastropods. Bulletin of the Marine Biological Station of Asamushi, Tohoku University. 10(2): 121-126. page(s): 125
| 경제적가치 |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 1 | 1 | |||
| 생태적가치 |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 2 | 2 | 2 | 2 | |
| 학술적가치 |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 2 | 2 | 2 | ||
NCBI (Fusinus ferrugineus)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