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보어밴키해변해면

보어밴키해변해면Halichondria bowerbanki Burton, 1930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 해양생물평가등급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Porifera해면동물문 > Demospongiae보통해면강 > Halichondrida해변해면목 > Halichondridae해변해면과 > Halichondria해변해면속 >
  • 종설명(Description)

    •   선박 평형수에 의해 캘리포니아 동부로부터 유입된 해양 외래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자연암반에서는 관찰되지 않는다. 주로 항만의 부두 벽이나 폐타이어, 로프 등 인공구조물에 부착한다.
      [1]

    •   외형은 덩어리 모양으로, 여러 개의 불규칙한 긴 가지가 사방으로 뻗는다. 가지는 가늘고 서로 다른 길이이며 그 끝에 대공이 열린다.
      [1]

    •   노르웨이, 영국, 프랑스, 모나코
      [1]

    •   동해안, 서해안, 남해안
      [1]

    • 출처

      [1]. CBD-CHM Korea

    • [2]. CBD-CHM Korea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33333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33323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3333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COI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해양 교란생물로 인한 굴과 우렁쉥이 양식장의 피해 현황 조사 The Korean aquaculture industry was generally began in the 1970s and has gradually increased. Now, the number of households is about 7,068 and the scale of an aquaculture farm is about 248,014 ha; the value of all production in the industry is estimated to be about 1602.2 billion won. The aquaculture industry is very valuable and important for future food resources. However, the aquaculture industry was damaged by several marine ecological disturbance causing organisms. The Ascdiella aspersa colonized on the shell of scallop and then scallops were detached from rope. The patterns of damage in the aquacultures were observed in Tongyeong (oyster), Geojedo (oyster), and Gangneung (sea squirt) in June, 2017, as well as in Tongyeong (oyster) in November, 2017 by SCUBA divers. The species Halichondria bowerbanki, Bugula neritina, Mytilus galloprovincialis, Balanus amphitrite, Ascidiella aspersa, Ciona intestinalis, Didemnum sp, Styela plicata in Tongyeong, M. galloprovincialis, A. aspersa, C. intestinalis, D. vexillum, S. plicata in Geojedo, and M. galloprovincialis in Gangneung were all usually found in their farms. The marine ecological disturbance causing organisms gave rise to a reduced number of aquaculture products. 박주언,이택준,김동현,김필재,김동건,신숙 한국환경생물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135건, 1/27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IV0014906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보어밴키해변해면
      Halichondria bowerbanki
      대한민국 2010-11-12
      MABIK IV0014906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보어밴키해변해면
      Halichondria bowerbanki
      대한민국 2010-11-12
      MABIK IV0014906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보어밴키해변해면
      Halichondria bowerbanki
      대한민국 2010-11-12
      MABIK IV0014906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보어밴키해변해면
      Halichondria bowerbanki
      대한민국 2010-11-12
      MABIK IV0014906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보어밴키해변해면
      Halichondria bowerbanki
      대한민국 2010-11-12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