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닌스아도시해면Haliclona neens (Topsent, 1918)
외형은 덩어리 모양으로, 크기는 폭 4 × 2 ㎝ 두께는 1.3 ㎝로 성장한다. 대공은 시료의 표면에 산재되어 있으며, 그 직경은 0.1 ~ 0.6 ㎝이다. 색상은 살아있을 때에는 연보라색을 띠며, 액침 후 베이지색을 띤다. 질감은 전체적으로 푹신푹신하며 잘 부서진다. 표면은 얇은 막을 가지고 있으며, 매끈하다. 피층은 일정한 골격의 배열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내층은 등방성 그물구조를 가지고 있다. 생태적 특징은 조간대의 바위나 암반 밑의 그늘진 곳에 서식하고 있으며 여과식자로 알려져 있다.
조간대의 바위나 암반 밑의 그늘진 곳에 서식하고 있다.
[1]
덩어리 모양으로 성장하며, 대공은 표면에 산재되어 있다. 살아있을 때에는 연보라색을 띠며, 액침 후 베이지색을 띤다. 푹신푹신하며 잘 부서진다. 얇은 막을 가지고 있으며, 매끈하다. 일정한 골격의 배열의 가지고 있지 않다.
[1]
북대서양, 기니제도, 알보란 해
제주도 서귀포
출처
[1]. 우리바다 해양무척추동물 인벤토리(2017년)
[2]. 우리바다 해양무척추동물 인벤토리(2017년)
참고문헌
1. (of Reniera neens Topsent, 1918) Topsent, E. (1918). Eponges de San Thomé. Essai sur les genres Spirastrella, Donatia et Chondrilla. Archives de Zoologie expérimentale et générale, Paris. 57(6): 535-618. page(s): 536-537.
2. (2) 강동원 (2008) 한국산 해변해면목과 단골해면목(보통해면강 : 각질해면아강)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한남대학교 생명과학과 박사학위논문
NCBI (Haliclona neens)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