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전통지식 이미지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이미지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7건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이배체 및 삼배체 전복(Haliotis discus hannai) 치패에서 주요 열충격 단백질 유전자들(heat shock protein genes)의 발현 특징 Basal and heat shock-induced mRNA expression patterns of major heat shock protein (HSP) genes, including those encoding heat shock protein (HSP) 90, HSP70, HSP70-12A, heat shock inducible protein 70 (HSIP70), heat shock binding protein 1 (HSPBP1), HSP60, and HSP40 were examined in the gill and hepatopancreas of 1-year-old diploid and triploi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juveniles. Under non-stimulated conditions at 19℃, triploid abalones displayed, in general, higher mRNA levels of various HSPs (HSP70, HSIP70, HSPBP1, HSP70-12A, and HSP60 in the gill and HSIP70, HSPBP1, and HSP60 in the hepatopancreas) than did communally cultured diploids. Conversely, only the hepatopancreatic expression of HSP70-12A was higher in diploids than in triploids. However, the fold changes in gene expression in response to an acute thermal challenge (elevation from 19 to 30℃) were generally greater in diploids than in triploids, such that the difference in basal expression was diminished, weakened, or even reversed after heat shock treatment. However, unlike other HSP genes, the basal expression of HSP60 (higher in 3N) was more pronounced after heat shock treatment. Coll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riploid abalones have different capacities for not only basal expression but also the heat-induced expression of HSPs in an HSP member-dependent manner. 박철지,김은정,남윤권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전복(Haliotis discus hannai) 용 배합사료내 오징어분 및 해조류 대체원으로서 대두박이 전복 치패의 성장과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We examined the effect of substituting squid meal and macroalgae with soybean meal in a commercial diet on the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We randomly distributed 2310 juvenile abalone into 33 rectangular plastic containers and fed them five experimental diets in triplicate as follows. The control diet (Con) consisted of 12% squid meal, 8% corn gluten and 20% soybean meal as protein source, wherein 10% ${\alpha}$ -starch, 20% wheat flour, and 5% dextrin were carbohydrate source. The experimental diets, 50% squid meal (SM50), 50% squid meal and 50% macroalgae (SM50+MA50), and 100% squid meal and 50% macroalgae (SM100+MA50) were substituted with the same respective amounts of soybean meal. The fifth experimental diet consisted of the control diet plus 1% diatom powder (DP). We prepared two domestic (Domestic A and B) and two imported (China and Japan) abalone feeds. Finally, we prepared Undaria and sea tangle. We found that the weight gain of abalone fed the Con, DP, and China and Japan diets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abalone fed Undaria and sea tangle. We conclude that the substituting squid meal and macroalgae with soybean meal in abalone feed has limited benefits, but supplementing diets with 1% diatom powder is effective in improving weight gain.김병학,김희성,조성환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Anti-allergic effects of a nonameric peptide isolated from the intestine gastrointestinal digests of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in activated HMC-1 human mast cell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intestine gastrointestinal (GI) digests of abalone [Halioti s discus hannai (H. discus hannai)] modulate inflammatory responses and to elucidate the mechanisms involved. The GI digests of the abalone intestines were fractionated into fractions I (>10 kDa), 11 (5-10 kDa) and III (<5 kDa). Of the abalone intestine GI digests (AIGIDs), fraction III inhibited the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PCA) reaction in mice. Subsequently, a bioactive peptide [abalone intestine GI digest peptide (AIGIDP)] isolated from fraction III was determined to be 1175.2 Da, and the amino acid sequence was found to be PFNQGTFAS. We noted that the purified nonameric peptide (AIGIDP) attenuated the phorbol-12-myristate 13-acetate plus calcium ionophore A23187 (PMACI)-induced histamine release and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terleukin (IL)-1 beta and IL-6 in human mast cells (HMC-1 cells). In addition, we also noted that AIGIDP inhibited the PMACI-induced activation of nuclear factor-kappa B (NF-kappa B) by suppressing I kappa B alpha phosphorylation and that it suppressed the production of cytokines by decreasing the phosphorylation of JNK. The findings of our study indicate that AIGIDP exerts a modulatory, anti-allergic effect on mast cell-mediated inflammatory diseases.
KO, SEOK-CHUN,LEE, DAE-SUNG,PARK, WON SUN,YOO, JONG SU,YIM, MI-JIN,QIAN, ZHONG-JI,LEE, CHANG-MIN,OH, JUNGHWAN,JUNG, WON-KYO,CHOI, IL-WHAN Spandidos Publications 상세보기 염증성 피부질환 개선 기능 소재로서 둥근전복(Haliotis discus) 유래 항균펩타이드 Ab4-7의 항염증 효과 서해안에 서식하는 해양생물인 전복은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으며, 항생제 개발 및 화장품 원료 등 다양한 산업에 활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자원이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서해안의 다양한 해양 생물 중에서 전복을 선택하였으며, 전복에서 분리한 항균펩타이드(AMP)를 이용하여 항균펩타이드 유도체인 Ab4-7를 규명하고 생리활성을 연구하였다. Ab4-7의 항염증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염증이 유도된 RAW 264.7에 Ab4-7을 처리한 결과, 염증성 사이토카인, TLR4, TNF-α, IL-1β, COX-2, iNOS 등을 억제하고 항산화와 관련된 유전인자인 HO-1의 mRNA 발현을 증가시켰다. Ab4-7의 강력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바탕으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Ab4-7이 extrocellular matrix metalloproteinase (ECM) 분해에 관여하여 다양한 염증성 피부질환을 유도하는 유전자인 matrix metalloproteinase (MMPs)를 조절하는 효과를 RT-PCR을 통해 확인하였다. Ab4-7은 강력한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를 통한 MMPs 관련 유전인자 조절을 통해 다양한 염증성 피부질환 치료제의 기능성 재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최수철,서정길,황준호,이기영,이인아 대한화장품학회 상세보기 양식 전복에 공생하는 한국산 옆새우 3종(갑각강, 단각목) 한국의 양식 전복에 공생하는 3종의 단각류가 발견되어 이들을 보고한다 이들 단각류는 볼록손참옆새우(Ampithoe valida Smith), 사마귀멜리타옆새우(Elasmopus rapax Costa), 두발가락멜리타옆새우(Melita rylovae Bulycheva)이며, 이 중에서 사마귀멜리타옆새우는 한국 미기록종으로서 상세히 기재하였고 다른 두 종은 주요 형질을 기재하였다. 이들 단각류가 공생한 전복은 Haliotis discus hannai Inc, H. discus discus Reeve, H. diversicoior aquatilis Reeve, 그리고 H. siebolidii Reeve이다. 관찰한 단각류와 전복들 사이에는 종 특이적 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Shin Myung-Hwa,Kim Il-Hoi,Lee Kyung Sook The Korean Society of Systematic Zoology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5건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전복 내장 유래의 항알러지 효과를 가지는 펩타이드가 함유된 약학 조성물 1020150166255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원문정보 전복류 품종 구별을 위한 유전자 마커 및 그를 이용한 방법 1020210123286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원문정보 칼모듈린 인트론 다형성을 이용한 전복류의 치패단계 종 판별법 1020150096283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원문정보 칼모듈린 인트론 다형성과 제한효소를 이용한 전복류의 치패단계 종 판별법 1020150096289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원문정보 발효축산폐수를 이용한 배양액에서 배양된 미세조류를첨가한 패어류의 사료 개발 기술 1020040007380 김미경 원문정보 -
전통지식
검색결과 1건
전통지식 목록 - 학명, 국명, 지역, 주용도, 구전 전통지식 학명 국명 지역 주용도 구전 전통지식 Haliotis discus 둥근전복 강원도 식용,약용 계절과 관계없이 바다에서 전복(둥근전복)을 잡아 생으로 초장을 찍어 먹거나 물회로 만들며, 죽을 쑤어서 보양식으로 먹는다.
가을에 잡은 전복(둥근전복)에서 살을 발라내 죽을 쑤어 먹으면 황달에 좋다.
문어, 해삼과 함께 넣고 끓여서 보신용으로 먹으며 해신탕이라고 부른다.
전복(둥근전복)을 채취해 성게, 해삼, 홍합과 함께 수제비를 만들어 먹는다.
둥근전복을 닭, 참문어와 함께 푹 달여 먹으면 보양이 된다. -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검색결과 1건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목록 - 학명, 국명, 생리활성, 원료등록, 특징/이용 학명 국명 생리활성 원료등록 특징/이용 Haliotis discus 둥근전복 항산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