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두드럭갯민숭달팽이Homoiodoris japonica Bergh, 1882
타원형의 몸은 일반적으로 노란색을 띤다. 외투막은 넓어 발을 충분히 덮는다. 외투 등면에는 불규칙한 크기의 결절들이 빽빽히 덮고 있다. 결절의 색은 몸과 같은 색이거나 짙은 갈색, 검은색을 띠기도 한다. 촉각은 끝이 뾰족한 층판 구조로 촉각 덮개에 숨길 수 있으며 촉각 덮개 주위는 결절로 둘러싸여 있다. 등 뒤쪽에는 5개의 깃털모양의 아가미가 항문을 아가미를 둘러싸고 있다.
강원도 강릉, 동해, 경상북도 울릉도, 독도, 포항, 경상남도 통영, 남해, 전라남도 신안 가거도, 홍도, 우이도, 전라북도 군산, 충청남도 보령, 태안
일본, 중국, 홍콩
참고문헌
[1]. Lee JS, Min DK. 2002. A catalogue of molluscan fauna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18(2), 93-217.
[2]. 길현종, 정대위, 남은정, 김형근, Ángel Valdés. 2020. 한국의 갯민숭달팽이. 국립생물자원관. 인천. pp. 1-313.
[3].
NCBI (Homoiodoris japonica)
COI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