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그물바구니Hydroclathrus clathratus (C.Agardh) M.Howe, 1920
▵ Type locality : In mari Australi, ut [?] ad Ravak, in sinu 'Baie de Chien Marin', sec. Gaudichaud.
가시적인 직립지(거품 형태의 엽체)를 형성하는 배우체 세대와 현미경적 사상체인 포자체를 갖는 이형세대교번을 한다. 배우체는 동형이나 자웅이주로 자성배우체에서는 유주자와 복실포자낭과 배우자낭을 형성한다. 웅성배우체의 복실포자낭에서는 운동성의 웅성배우자를, 유주자낭에서는 유주자를 형성하여 방출하고, 유주자는 발아하여 다시 직립하는 웅성배우자로 발달한다. 자성배우체의 복실포자낭에서 방출된 유주자는 발아해서 다시 직립성 자성배우체를 형성하고, 배우자낭에서 방출된 운동성 자성배우자는 웅성배우자와 수정 후 발아하여 사상의 포자체로 발달한다. 포자체는 사상의 포복성으로 단실포자낭과 다실포자낭을 형성하며, 단실포자낭에서 방출된 단실포자는 배우체로 발달하나, 다실포자낭에서 방출된 다실포자는 발아하여 다시 사상의 포자체로 발달한다. [3]
식물체는 갈색 내지 황갈색으로 반구형 또는 거품 모양으로 기질 위를 포복한다. 엽체는 막질로, 내부는 매어있으며, 엽체 표면에 다양한 크기의 구멍을 무수히 많이 형성한다. 어린 개체는 반구형으로 주름과 구멍이 적고, 성장하면서 엽체 표면에 주름과 구멍이 점점 많아져 부정형의 구멍이 많은 거품 모양으로 된다. 구멍은 대개 원형이며 가장자리가 엽체 안쪽으로 말아진다. 횡단면에서 엽체는 1층의 작고 색소가 있는 피층세포층과 크고 부정형인 거품 모양의 투명한 2~4층의 수층세포로 구성된다. 지름 10cm 내외로 성장한다.[2]
조간대 하부~조하대 수심 5m에 주로 생육하며, 암반 또는 유절산호말류 위에 붙어 자란다. 5~7월에 성숙한 개체들을 관찰할 수 있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기후변화지표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 기후변화로 인해 계절활동, 분포역, 개체군의 크기 변화가 뚜렷하거나 뚜렷할 것으로 예상되는 종으로 지표화하여 정부에서 지속적인 조사·관리가 필요한 종
전해역
동남아시아, 태평양, 유럽, 대서양, 북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카리브해, 서대서양,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인도양, 서남아시아, 호주, 뉴질랜드, 태평양
참고문헌
[ 출처 ]
[1]. 해양갈조식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2].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 참고문헌 ]
1. 제주의 바닷말, 이용필, 2008, 아카데미서적, 1-477 pp.
2. 제주 우도의 해조류 다양성, 김명숙, 강정찬, 김병석, 양미연 & 이형우, 2022, 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332 pp.
3. Toste, M.F., Parente, M.I., Neto, A.I. & Fletcher, R.L. (2003). Life hystory of Hydroclathrus clathratus (Scytosiphonaceae, Phaeophyta) in the Azores. Cryptogamie. Algol. 24(3): 209-218.
경제적가치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1 | 1 | 2 | 1 |
생태적가치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3 | 2 | 3 | 2 |
학술적가치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1 | 1 | 3 |
NCBI (Hydroclathrus clathratus)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