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눈알고둥

눈알고둥Lunella correensis (Récluz, 1853)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Mollusca연체동물문 > Gastropoda복족강 > Trochida > Turbinidae소라과 > Lunella눈알고둥속 >
  • 종설명(Description)

    •   패각은 전체적으로 둥글다. 나탑은 낮은 원추형으로 단단하며 나층은 5층이다. 보통 각정은 마모되어 진주층이 노출되며 작은 구멍이 나 있다. 각 층은 옆으로 벌어져 둥글게 부풀어 있으며, 봉합은 깊고 명확하다. 각 층에는 세밀한 나륵과 방사륵으로 달리는 성장륵이 교차하여 헝겊의 직조 모양을 나타낸다. 패각은 전면에 황갈색 또는 녹갈색의 각피에 덮여 있는데 개체에 따라 주연에 넓고 검은색 띠를 갖는 것도 있다. 제공은 닫혀 있다. 뚜껑이 닫히면 눈알 모양을 하는데, 석회질로 반구형이고 밖은 둥글고 미세한 과립이 분포하고 있다. 각고와 각폭이 각각 25mm 정도 되는 중소형의 복족류이다. 온대성종으로 조간대 하부 진흙이 섞인 암석지대에서 발견되는데, 암반에 고인 물이나 자갈 틈에서 주로 서식한다. 경우에 따라 무리를 이루고, 살아 있는 개체의 패각에는 흔히 녹조류가 덮혀있다.

    •   조간대의 암반 지대에 서식한다.
      [1]

    •   나층은 5층이며 갈색이다. 각정은 대부분 마모되어 진주층이 노출되며 작은 구멍이 나 있다. 체층에는 둔한 각이 있다. 각구는 크고 원형이며 외순은 얇고 저순은 다소 두껍다. 축순은 백색의 활층이 두껍게 발달하였다. 뚜껑은 석회질로 반구형이고 밖은 둥글고 미세한 과립이 분포하고 있다. 생패는 표면에 부착된 녹조류로 녹색의 비로드 모양을 보인다. (Min et al., 2004, 편집 인용)
      [1]

    •   일본, 중국, 대만

    •   서해, 남해, 제주도

    • 출처

      [1].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Ⅰ(2019년)

    • [2].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Ⅰ(2019년)

    • 참고문헌

      original description (of Turbo correensis Récluz, 1853) Récluz C. (1853). Description de coquilles nouvelles (Genres Turbo, Triton et Mitra). Journal de Conchyliologie. 4: 49-54., available online at http://biodiversitylibrary.org/page/15859412. Nakano T., Takashashi K. & Ozawa T. (2007) Description of an endangered new species of Lunella (Gastropoda: Turbinidae) from the Ogasawara Islands, Japan. Venus 66(1-2):1-10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4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해양동물 눈알고둥으로부터 새로운 렉틴 성분의 분리 및 정제 The whole body extract of Lunella coronata coreensis agglutinated nonspecifically human and other animal erythrocytes. A new lectin was purified by the following procedures: 0.15 M NaCl extraction, salt fractionation, gel filtration, anionic and cationic ion exchange column chromatographies. Through these purification procedures, specific activity of LCC-I was increased from 276 to 9714.3 units/mg, And on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LCC-I exhibited one major band. A molecular weight of LCC-I was assumed to be 20,000 by sodium dodes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he purified lectin was relatively stable at various pH and heat. Among the tested sugars, lactose and lactulose inhibited lectin activity at a concentration of 6.25 mM, respectively. 소명숙,서영아,전경희,정시련 대한약학회 상세보기
        해양동물 눈알고둥 렉틴의 림프구 분열효과 및 면역화학적 특성 Developing new substance for immunosuppressor or immunomodulator from natural products is extremely important in the present biomedicine. In this paper, we focused our efforts on the mitogenicity and immunochemical properties of the two lectins (LCC-I, LCC-II) obtained from marine animal Lunella coronata coreensis. Immunochemical techniques were employed to elucidate the structural and/or functional similarities between the LCC lectins. Molecular weight of the LCC lectins, LCC-I and LCC-II were estimated to be around 60 KD and 66-70 KD, respectively. LCC lectins were mitogens for murine splenic lymphocytes, and the optimum mitogenic doses were 31.25 $\mu\textrm{g}$/ml and 3.91 $\mu\textrm{g}$/ml, respectively. LCC-II lectin was a good mitogen toward human peripheral lymphocytes at a concentration about 31.25 $\mu\textrm{g}$/ml. 소명숙,전경희,정시련 대한약학회 상세보기
        제주 연안에 서식하는 고둥류의 생식주기 제주연안에 서식하는 고둥류 구멍밤고둥, Chlorostoma argyrostoma turbinata, 밤고둥, Chlorostoma argyrostoma lischkei, 명주고둥, Chlorostoma xanthostigma, 눈알고둥, Lunella coronata coreensis, 울타리고둥, Monodonta labio을 대상으로 생식주기를 탐색하였다. 이를 고둥류는 우리나라 전연안의 조간대 지역에 분포하며 해조류가 풍부한 플에 주로 서식 한다(권 등, 1993). 그리고 고둥류는 조간대의 군집분포와 분류학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중략) 김병호,나오수,이치훈,송영보,오성립,이영돈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상세보기
        눈알고둥 (Lunella coronata coreensis)의 성 성숙 1998년 7월부터 1999년 6월까지 전라북도 부안군 대항리 앞바다의 조간대에서 매월 채집한 눈알고둥, Lunella coronsta coreenisis의 생식소발달, 생식세포형 성, 생식주기, 생식소지수, 육중량비 및 군성숙도를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눈알고둥은 자웅이체였으며, 생식소는 패각 내의 후반 나선부에 위치하는 간장의 표면에 넓게 분포하였다. 난소와 정소는 각각 수많은 난자형성소엽과 정자형성소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생식소지수의 월별 변화는 수온이 상승하는 3월 ($23.86{\pm}3.73$)부터 서서히 증가하여 7월 ($49.76{\pm}6.47$)에 최고치를 나타낸 후, 9월($15.58{\pm}2.33$)에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육중량비의 월별 변화는 $25.2{\%}{\~}32.3{\%}$로, 생식소지수의 월별 변화와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각고 $5.9 mm$ 이하의 개체군은 재생산에 전혀 참여하지 않았으며, $7.0{\~}7.9 mm$의 개체군은 암수 각각 $84.6{\%}$$91.7{\%}$가 재생산에 참여하였고, 8.0 mm 이상의 개체군은 $100{\%}$ 참여하였다. 생식소의 발달, 생식세포형성과정, 조직분화과정 및 세포학적 특성에 따라, 생식주기는 초기활성기 (12월${\~}$4월), 후기활성기 (1월${\~}$7월), 완숙기 (5월${\~}$8월), 산란기 (7월${\~}$9월) 및 회복기 (9월${\~}$3월)등의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되었다. 산란은 수온이 $24.8^{\circ}C$ 이상인 7월과 9월 사이에 일어나며, 주산란은 8월이었고 성숙란의 직경은 $150{\~}160 {\mu}m$이었다. 이주하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2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눈알고둥의 뚜껑을 이용한 보석체의 제조방법 1020110114174 우춘영 원문정보
        눈알고둥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1020120065814 오평원|우춘영 원문정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868건, 1/174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MO0000070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눈알고둥
      Lunella correensis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2011-01-20
      MABIK MO0000070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눈알고둥
      Lunella correensis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2011-01-20
      MABIK MO0000070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눈알고둥
      Lunella correensis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2011-01-20
      MABIK MO0000070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눈알고둥
      Lunella correensis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2011-01-20
      MABIK MO0000070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눈알고둥
      Lunella correensis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2011-01-20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