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명주개량조개

명주개량조개Mactra antiquata Spengler, 1802

  • 해양생물평가등급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Mollusca연체동물문 > Bivalvia이매패강 > Venerida백합목 > Mactridae개량조개과 > Mactra개량조개속 >
  • 종설명(Description)

    •   명주개량조개는 연갑강, 이매패강, 개량조개과, 개량조개속에 속하는 연체동물의 일종으로 형태적 특징에서 껍질 길이 76.6mm, 높이 60.6mm 정도이다. 형태는 앞뒤로 다소 긴 삼각형이며 각질은 얇다. 각정은 껍질 중앙에 위치한다. 짙은 황색 명주실 같은 각피로 덮여 있는데 쉽게 마모되며 촘촘한 성장맥이 규칙적으로 나타난다. 앞, 뒤쪽 등선이 직선상이며 넓고 평탄하다. 껍질 안쪽 면은 옅은 황백색이고 각정 부분은 보라색을 띤다. 개량조개(Mactra chinensis)와 비슷하나 각정부가 높고 보라색이며 방사상의 갈색 띠가 없는 점이 다르다. 생태적으로 수심 10~50m 근방의 모래밭에 서식한다고 알려져 있다.

    •   일본, 중국, 호주 연안

    •   우리나라 서해 남부 연안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33133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33223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13232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3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Cytochrome P450 유도제에 노출시킨 명주조개 (Coelomactra antiquata) 약물대사효소계의 in vitro 반응 강원 북부 연안에 많은 명주조개 (Coelomactra antiquata)의 중장선으로 미크로좀을 만들고, cytochrome P45O (CYP)의 유도제로 알려진 phenobarbital (PB), 3-methylcholanthrene (MC) 및 $￿eta$ -naphthoflavone (BNF)을 DMSO에 녹여 함께 30 $^{circ}C$ 의 수조 상에서 in vitro로 배양하면서 약물대사효소계의 CYP 함량과 7-othoxyresorufin-O-deethylase (EROD) 활성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비교를 위한 sham구는 미크로좀에 DMSO만을 첨가하여 같은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그 결과, sham구의 CYP 함량은 배양 6시간이 지나서는 처음 수준의 $91%$ 로 줄었으며, 0.1 mM과 0.2mM, 0.4mM 및 1.0 mM BNF 배양구는 배양 4 $~$ 6시간 후에 최대값이 되었는데 각각 처음 보다 $116%$ , $114%$ , $126%$ 및 $132%$ 로 되었다. PB와의 배양에서는 0.1 mM과 0.4 mM 및 1.0 mM 배양구는 배양 4 $~$ 6시간 후에 최대 값이 되었고 각각 처음의 $112%$ , $114%$ 및 $114%$ 로 되었으며, MC와의 배양에서도 0.1 mM과 0.4 mM 및 1.0 mM 배양구는 배양 4시간 후에 최대값이 되어 각각 $116%$ , $130%$ 및 $132%$ 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EROD 활성의 변화도 sham구는 배양 7시간 후에도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BNF의 0.1 mM과 0.4 mM 및 0.8 mM 배양구는 배양 7시간 후에 각각 처음의 $120%$ , $123%$ 및 $115%$ 로 되었고, PB의 0.1 mM과 1.0 mM 배양구는 배양 3시간 후에 최대로 되어 각각 $121%$ 및 $136%$ 로 증가하였으며, MC와의 배양에서는 0.1 mM과 0.4 mM 및 0.8 mM 배양구는 배양 5시간 후에 최대값이 되어 각각 $204%$ , $198%$ 및 $191%$ 로 증가하였다. 이처럼 BNF나 PB, MC는 명주조개에서도 미크로좀의 CYP 함량과 EROD 활성을 증가시키는 유도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MC에 의한 유도효과가 가장 강했고 BNF, PB의 순이었고, 대체로 약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유도 효과도 큰 경향을 보였다. 전중균,이미희,심원준,이수형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유기주석화합물이 명주조개 (Coelomactra antiquata)의 약물대사효소계에 미치는 영향 강원 북부연안에 많이 서식하는 명주조개 (C. antiquafa)를 대상으로 중장선의 미크로좀을 in vitro로 유기주석화합물 (TBTO, TBTC, TPTC)과 배양하여 약물대사효소계의 cytochrome P450 (CYP)과 7-ethoxyresorufin-O-deethylase (EROD)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이들 화합물은 모두 명주조개의 약물대사효소계를 짧은 시간 내에 저해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미크로좀을 0.4 mM 농도의 TBTC, TBTO 및 TPTC와 20분간 배양한 후의 CYP 함량은 첨가하기 전에 비해 각각 $52%$ , $72%$ 및 $40%$ 로 줄었는데, 이것으로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서 저해 정도는 차이가 있었고 butyltin화합물보다는 phenyltin화합물의 저해 정도가 더 컸다. 그리고 EROD 활성의 경우도 0.4 mM의 TBTC, TBTO 및 TPTC와 20분 간 배양하였더니 각각 $100%$ , $92%$ 및 $85%$ 로 butyltin 화합물보다 는 phenyltin 화합물의 저해가 더 컸다. 한편, TBTC, TBTO 및 TPTC 모두는 패류 중장선의 CYP와 EROD 활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였으며, 그리고 두 효소는 모두 오염물질에 노출된 패류의 좋은 생체지표 (bioindicator)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전중균,이미희,김도진,심원준,오재룡,이수형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유기염소화합물인 DDT, PCB-153 및 TCDD에 in vitro 노출시킨 명주조개 미크로좀의 CYP 및 EROD 활성 반응 Thirty three species in six subfamilies of Staphylinidae are recognized from Ulleung-do through the survey in 2001. Among them, Thirty one species are newly reported from Ulleung-do. Two species, Anotylus Zewisius (Sharp) and Megarthrus uino Cuccodoro,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전중균,이미희,이지선,이경선,심원준,신영범,이수형 한국환경생물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3건, 1/1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MO0018806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명주개량조개
      Mactra antiquata
      대한민국 2016-10-06
      MABIK MO0019029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명주개량조개
      Mactra antiquata
      대한민국 2014-06-04
      6649 해양연체동물자원 gDNA 명주개량조개
      Mactra antiquata
      대한민국 2016-10-06 70 μL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