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3건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Mactra quadrangularis (Mactridae) Abstract
The whole mitochondrial genome sequence of Mactra quadrangularis (Reeve, 1854) was determined. It had a total length of 16,848 bp and it contained 12 protein coding genes, 2 ribosome RNA genes, and 22 transfer RNA genes. The base composition was 25.75% A, 20.82% G, 11.53% C, and 41.90% T, respectively. Furthermore, state codon of ND4 was ATT; ND1 and CYTB were ATA; COX1 was GTG; ND5, COX2, ND4L, ND6, ND2, COX3, ATP6, and ND3 were ATG. Phylogenetic analysis demonstrated that M. quadrangularis was most closely related to Mactra chinensis. The mitochondrial genome will provide reference for the further investigation and research of M. quadrangularis.
Guan, Chen,Zhao, Xin-Yu,Zhang, Huan-Xin,Chen, Jun,Qu, Tong-Fei,Hou, Cheng-Zong,Tang, Xue-Xi,Wang, Ying TaylorFrancis 상세보기 양식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에 대한 Vibrio tapetis의 병원성과 PCR법에 의한 진단 'Brown ring disease (BRD)'의 원인균인 Vibrio tapetis (NCIMB 13622)의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에서의 병원성을 조사하고, 바지락 조직 내의 균의 존재를 PCR법으로 진단하였다. 실온에 12시간 노출시킨 바지락 개체당 1.0 $ ime$ $10^7 cells과 1.0 $ ime$ $10^4 cells의 V. tapetis를 멸균주사기를 사용하여 인위감염 시켰을 때의 누적폐사율은 각각 67.5%와 7.5%로 나타났다. 폐사개체에서 BRD의 특징적인 증상인 패각내면의 chonchiolin 침착에 의해 형성되는 갈색반점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PCR법에 의해 균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10종의 Vibrio균을 대상으로 PCR법의 검출 특이성을 조사한 결과 V. tapetis에 대해서만 414 bp의 특이밴드가 검출되었다. 또 V. tapetis를 개체당 1.0 $ ime$ $10^4 cells과 1.0 $ ime$ $10^8 cells 접종시킨 다음 사육하면서 경시적으로 균의 동태를 조사한 결과 개체당 1.0 $ ime$ $10^4 cells을 접종하였을 때는 1일 후에는 아가미에서만 특이밴드가 검출되었고, 3일 후에는 모든 조직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한편 개체당 1.0 $ ime$ $10^8 cells을 접종하였을 때 1일 후에는 아가미와 소화관, 3일 후에는 모든 조직에서 검출되었으며, 5일과 7일 후에는 외투막과 발, 9일 후에는 아가미와 발에서 검출되어, 검출장기로는 아가미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PCR법으로 태안과 고창 지역의 바지락, 동죽, 굴 및 피뿔고둥의 조직내 V. tapetis의 존재를 검사한 결과 바지락과 피뿔고둥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은 반면 굴과 동죽에서 각각 23.1%, 와 9.4% 검출되어 바지락 이외의 다른 패류의 진단에도 유용한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박성우,이경희 한국어병학회 상세보기 개량조개 과 4종의 정자미세구조 본 연구는 개량조개과에 속하는 동죽, Mactra veneriformis, 개량조개, M chinensis, 북방대합, Spisula sachalinensis, 왕우럭, Tresus keenae을 대상으로 정자의 미세구조를 조사하였다. 조사한 4종 모두 primitive type의 정자를 가지고 있었다. 첨체모양은 4종 모두 유사한 형태로 첨체의 앞쪽은 전자밀도가 낮은 부분 (elp)이고, 첨체의 뒤쪽은 전자밀도가 높은 부분 (edp)로 나누어지는 변형된 모자모양이다. 4종의 정자의 핵 모양은 상대적으로 차이가 있어 구분이 가능하며, 특히 Mactra 속의 2종은 핵의 모양이 서로 유사하다. 그리고 정자의 중편부를 구성하고 있는 미토콘드리아수는 4종 모두 4개로 나타났다. 개량조개 과 조개의 정자형태는 종 특이성을 가지고, 특히 첨체는 다른 과의 조개류와 다른 과수준의 특이성으로 판단된다. 김진희,유명숙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1건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잘피 종묘장을 이용한 패류 양식장 조성 방법 2011-0122103 주식회사 마린에코텍 원문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