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민숭대나무갯지렁이

민숭대나무갯지렁이Maldane cristata Treadwell, 1923

  • 해양생물평가등급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Annelida환형동물문 > Polychaeta다모강 > Not assigned > Maldanidae대나무갯지렁이과 > Maldane민숭대나무갯지렁이속 >
  • 종설명(Description)

    •   조하대 60~100m 범위의 모래펄에서 채집기록이 있다.
      [1]

    •   몸은 길이 약 60mm, 폭 1.8mm 정도이다. 꼭지판은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는 두 개의 옆자락과 한 개의 뒷자락이 있다. 용골은 꼭지판 중앙에 높게 솟아 있고 활 모양으로 굽어 있다. 목덜미기관은 한 쌍으로 길이가 짧고 용골의 좌우에 있다. 각 마디에는 가시가 있는 긴 앞쪽 고리와 가시가 없는 짧은 뒤쪽 고리가 있다. 등가시는 바늘 모양으로 뾰족한데 가장자리가 있는 것과 작은 톱니가 있는 것이 있다. 배가시는 첫째마디가시에는 없고 이후의 마디부터는 갈고리가시가 있다.
      [1]

    •   인도양(페르시아만, 오만만), 태평양(일본, 캘리포니아), 대서양(멕시코만)
      [1]

    •   서해(황해), 남해(거제만)
      [1]

    • 출처

      [1]. 백의인, 1989. 한국동식물도감 - 제31권 동물편(갯지렁이류). 문교부, 국정교과서주식회사. 764pp.

    • [2]. 백의인, 1989. 한국동식물도감 - 제31권 동물편(갯지렁이류). 문교부, 국정교과서주식회사. 764pp.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33333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33333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3333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한국 연안의 하계 대형저서동물의 공간분포 우리나라 연안해역의 하계 대형저서동물의 공간분포를 파악하고 군집구조와 저서환경요인간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하여, 2017년 8월 총 117개 정점에서 대형저서동물 군집과 저서환경요인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대형저서동물의 총 출현종수는 613종이었으며, 평균 서식밀도는 1,228 개체/m2, 평균 생물량(습중량)은 110.9 g WW/m2으로 나타났다. 남해의 완도해역과 동해 해역에서 많은 출현종수를 보였으며, 출현종수가 많은 정점에서 동시에 높은 밀도를 보였다. 우리나라 전해역에서 최우점종으로 출현한 종은 고리버들갯지렁이인 Heteromastus filiformis 이며, 이종은 대부분의 정점에서 출현하였다. 상위 우점종 중 동해해역의 비교적 수심이 깊은 정점들에서 높은 밀도로 출현한 종은 양손갯지렁이류인 Magelona johnstoni 및 대나무갯지렁이류인 Maldane cristata 이며, 각각 3위 및 9위의 우점순위를 차지하였다. 특징적으로 얼굴갯지렁이류인 Pseudopolydora kempi와 Rhynchospio sp.는 낙동강 하구에 위치한 정점에서만 높은 밀도로 출현하는 양상을 보였다. 집괴분석 결과 지리적으로 3개의 정점군으로 구분되었으며, 수심이 깊고 니질함량이 많은 정점군인 동해해역(정점군 A), 니질함량과 유기물함량이 많지만 비교적 수심이 얕은 정점군인 남해해역(정점군 B), 니질함량과 유기물함량이 적은 정점군인 서해해역(정점군 C)으로 구분되었다.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는 분급도, 실트함량, 니질함량, 유기물함량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Sand 함량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남해해역에서 비교적 높은 밀도로 출현하는 Theora lata와 Eriopisella sechellensis는 유기물함량과 비교적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Sand 함량과 비교적 높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연안의 하계 대형저서동물의 공간분포는 수심, 퇴적상, 퇴적물의 유기물 함량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정호,임현식,신현출,류종성 한국해양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535건, 1/107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NA0000025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민숭대나무갯지렁이
      Maldane cristata
      대한민국 2010-05-31
      MABIK NA0000025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민숭대나무갯지렁이
      Maldane cristata
      대한민국 2010-12-16
      MABIK NA0000025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민숭대나무갯지렁이
      Maldane cristata
      대한민국 2010-12-16
      MABIK NA0000025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민숭대나무갯지렁이
      Maldane cristata
      대한민국 2010-12-16
      MABIK NA0000025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민숭대나무갯지렁이
      Maldane cristata
      대한민국 2011-02-20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