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명주매물고둥Neptunea constricta (Dall, 1907)
각고(Height) 98.0mm, 각폭(Width) 49.9mm. 패각은 중대형의 방추형으로 껍질은 얇다. 나탑은 원추형. 나층은 8층이 관찰 되였으나 태각의 윗부분은 깨져 있다. 각 나층의 견부는 둥글면서 약한 각이 져 있고 견부 아래쪽은 약간 부풀어 있으며, 체층에서는 더욱 둥글고 심하게 부풀어 있어 견각이 거의 없다. 봉합은 깊고 명확하다. 패각 표면은 담갈색으로 황갈색의 각피로 덮여 있고, 각피에는 나륵을 따라 매우 짧고 가느다란 각피모가 촘촘히 나 있으나, 성체에서는 대부분의 각피는 벗겨져 없어지고 상층의 일부에만 남아 있는 것이 많다. 체층은 급격히 커져서 각고의 3/4을 차지하고 중간부가 심하게 부풀어 견각과 주연이 모두 둥글게 보인다. 각정으로부터 4-5번째 층에서부터 낮고 평평한 나륵이 나타나는데 차체층에서는 8줄 내외, 체층에서는 40줄 정도가 있으며, 그 사이사이에 가는 나륵이 끼어 있다. 각구는 크고 난형이며 외순은 얇고 밖으로 팽대되어 있다. 각구 내면은 적자색을 띠는 유백색이다. 내순은 유백색 활층으로 되어 있고, 활층은 얇으나 체층과의 경계가 뚜렷이 구별된다. 수관취는 뒤로 약간 비틀리며 굽어 있고 수관구는 넓게 열려 있다. 뚜껑은 다갈색으로 얇고 앞쪽은 굵으며 끝이 부리 모양으로 되어 왼쪽으로 꼬부라져 있다. 수심 200-600m의 깊은 곳에 서식한다. 수심 200~600m의 깊은 진흙에 서식한다.
조하대 수심 200~1,000m의 진흙기질에 서식한다.
[1]
패각은 대형으로 담갈색 또는 황백색을 띤다. 봉합이 깊어 각 층의 구별이 뚜렷하고, 각 층은 둥글게 부풀어 있다. 내면은 흰색을 띠며, 수관구는 좌측으로 약갈 기울어져 넓게 열려 있다.
[1]
일본
강원도
출처
[1].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2].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참고문헌
1. Fraussen K. & Terryn Y. (2007). The Family Buccnidae. Genus Neptunea. In: A Conchological Iconography [Directed by Guido T. Poppe & Klaus Groh]. ConchBooks, Hackenheim, 159 pp., 154 pl.
2. (2) 한국동식물도감 제33권 동물편(연체동물 II) (1992) 교육부, 382pp, Pl. 98, Fig. 168a, b.
3. (3) 민덕기, 한국패류도감, 도서출판 한글, 2004.
4. (4) 한국연근해 유용연체동물도감
NCBI (Neptunea constricta)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