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매물고둥

매물고둥Neptunea despecta (Linnaeus, 1758)

  • 해양생물평가등급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Mollusca연체동물문 > Gastropoda복족강 > Neogastropoda신복족목 > Buccinidae물레고둥과 > Neptunea매물고둥속 >
  • 종설명(Description)

    •   중형종으로 나탑은 6층이며 나탑이 비교적 높은 편이다. 각 층마다 어께 가장자리에 한 개의 굵은 나륵이 둘러져 있으며, 각정으로 갈수록 나륵의 굵기가 약해진다. 패각 표면에는 가는 나륵과 굵은 종륵이 교차하고, 각구는 넓고 안쪽은 백색을 띤다. 수관구는 열려있으며 왼쪽으로 조금 휘어져 있다. 채색은 옅은 황갈색이다.

    •   수심 10~1,200m 저질바닥에 서식한다.

    •   동해

    •   일본, 북극해, 북대서양

    • 참고문헌

      [1]. Linnaeus, C. 1758.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The system of nature through the three kingdoms of nature, according to classes, orders, genera, species, with characters, differences, synonyms, places.]. Impensis Direct. Laurentii Salvii. Holmiae [Stockholm]. 1(10) [iii], 824 p.
      [2]. Okutani, T. 2000. Marine mollusks in Japan. Tokay University Press, Tokyo. pp. 1-1173.
      [3]. https://conchology.be/?t=263&family=BUCCINIDAE%20BUCCININAE%20COLINI&fullspecies=Neptunea%20%28Despecta-group%29%20%20despecta&shellID=3166 (사진출처)
      [4]. Fraussen K. & Terryn Y. 2007. The family Buccinidae. Genus Neptunea. In: A Conchological Iconography [Directed by Guido T. Poppe & Klaus Groh]. ConchBooks, Hackenheim. 159 pp., 154 pls.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33333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333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3333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3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한국 서해산 암컷 갈색띠매물고둥, Neptunea (Barbitonia) arthritica cumingii의 난자형성과정 중 난황 형성의 미세구조적 연구 및 성 성숙 갈색띠매물고둥, Neptunea (Barbitonia) arthritica cumingii의 난자 형성과정 중 난황 형성, 생식주기 및 군성숙도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 관찰에 의해서 조사하였다. 초기 난황 형성 단계의 난모세포에서 골지복합체와 미토콘드리아가 지방적 및 난황 과립의 형성에 관여되었다. 후기 난황 형성 단계의 난모세포에서는 조면소포체와 다포체가 세포질 내에서 단백질성 난황 과립 형성에 관여되었다. 성숙 단계 난모세포에서 성숙 난황 과립은 주소체(중앙중심), 표면층, 그리고 이들을 둘러싼 한계막의 3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산란기는 5월과 8월 사이이고, 주 산란은 수온이 대략 $18{sim}23^{circ}C$ 로 상승하는 6월과 7월 사이에 일어나고 있다. 암컷의 생식주기는 초기 활성기( $9{sim}10$ 월), 후기 활성기( $9{sim}2$ 월), 완숙기( $2{sim}6$ 월), 부분 산란기( $5{sim}8$ 월), 회복기( $6{sim}8$ 월)의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군성숙도는 각고 $51.0{sim}60.9mm$ 에서 53.1%이었고 각고 61.0mm 이상에서는 100%를 나타내었다. Chung, Ee-Yung The Korean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y 상세보기
        한국 서해안 갈색띠매물고둥, Neptunea (Barbitonia) arthritica cumingii의 연령과 성장 본 연구는 2007년 10월부터 2008년 9월까지 전라북도 군산시 고군산군도에서 통발어구로 채취된 갈색띠매물고둥을 조사하였다. 갈색띠매물고둥의 뚜껑에 나타난 윤문은 년 1회 형성되며 주 윤문 형성시기는 7월에서 8월로 조사되었으며, 초륜 형성기간은 12개월 (1년) 로 나타났다. 각고 (SH) 에 대한 각폭 (SW) 의 성장식은 SW = 0.5757 SH + 0.222 ( $R^2$ = 0.8 0.8723), 총중량 (TW) 의 상대성장식은 TW = 0.0002 $SH^{2.8162}$ ( $R^2$ = 0.9 0.9121) 과 같이 나타낼 수 있었다. 연령 (t) 에 대한 각고 (SH) 와 총중량 (TW) 의 von Bertalanffy 성장식은 다음과 같다. $$SH_t=173.964(1-e^{-0.164(t+1.173)})$$ $$TW_t=407.952(1-e^{-0.164(t+1.173)})^{2.8162}$$ 안정은,최종덕,류동기 한국패류학회 상세보기
        갈색띠매물고둥, Neptunea cumingii Crosse에 의한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Ino) 치패의 피식 어린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에 대한 포식자 (불가사리류 제외) 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자 경북 울진 연안 3개 해역 (양정, 죽진 및 봉평)에서 SCUBA diving을 이용하여 2014년 2월부터 12월까지 총 9회에 걸친 직접 관찰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수심 10 m 이내 (최대 15 m)의 해역에서 상대적 암반 구성 비율이 가장 높은 죽진 해역 (60.3%)에서 어린 북방전복을 포식하고 있는 총 6개체의 갈색띠매물고둥 (Neptunea cumingii)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갈색띠매물고둥이 어린 북방전복에 대한 포식자라는 새로운 사실을 제시하고 있다. 변주영,문형태,손민호,황철희,이종욱,김대익 한국패류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0건, 1/1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등록된 자원정보가 없습니다.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