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미역치

미역치Paracentropogon rubripinnis (Temminck & Schlegel, 1843)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Chordata척삭동물문 > Teleostei > Scorpaeniformes쏨뱅이목 > Synanceiidae쑤기미과 > Paracentropogon >
  • 종설명(Description)

    •   몸은 긴 계란형으로 측편하고 몸의 뒷부분에 매몰된 작은 비늘이 있다. 하지만 때때로 전혀 없는 것도 있다. 몸은 소형으로 등지러미 가시부가 잘 발달되어 있다. 등지느러미의 6~8번째 가시의 하반부에 검은색 반점이 있다. 두 눈 사이는 약간 튀어나왔고 한쌍의 융기선이 형성되어있다. 머리는 경사가 심하고 눈 아래에는 2개의 날카로운 가시가 발달되어 있는데 뒤의 것은 매우 크고 뒤쪽으로 향하며, 그 뒤끝은 둔의 뒤 가장자리 아래까지 이어진다. 양턱과 서골, 입안의 천정에는 폭 넓은 융털 모양의 이빨 띠가 있다. 모든 지느러미는 붉은 색을 띠지만 등지느러미만 약간 어두운 색을 띤다. 산란기는 7~8월 경이다. 탐식성이 강한 어류로 요각류, 단각류 등 작은 동물플랑크톤을 비롯한 새우, 곤쟁이류, 어린 물고기, 갯지렁이 등 닥치는 대로 잡아먹는다. 연안 정착성 어류로 연안의 해초가 많고 바위가 많은 얕은 바다 또는 뻘과 모래가 섞인 내만의 얕은 바다, 잘피밭 및 암초역에서 서식한다.

    •   연안 정착성 어류로 얕은 바다의 잘피밭 또는 해초가 많은 암초디재에 서식한다. 산란기는 여름이며 부성란을 산란한다. 주로 단각류와 새우같은 작은 무척추동물과 치어를 섭시간다. 독이 있는 등지느러미 가시를 이용하여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한다.
      [1]

    •   몸과 머리는 측편되었고, 머리 앞쪽은 경사가 심하며, 주둥이는 짧다. 양턱에는 치열이 있다. 전새개골에 4개의 가시가 있는데, 1개는 강하고 나머지 3개는 피부에 묻혀 있다. 비늘은 피부에 묻혀 있고, 측선은 등쪽에 있으며 흰 점으로 나타난다. 측선공비늘 수는 17∼20개, 척추골 수는 24∼27개이다. 몸은 회색과 적갈색이 섞여 불규칙한 무늬를 이룬다. 극조부의 제6, 7기조 아랫부분에 검은 반점이 있다. 전장 약 10 cm.
      [2]

    •   일본 남부 해역

    •   남해, 동해

    • 출처

      [1]. Kim YS, Han KH, Kang CB, Kim JB. 2004. Commercial Fishes of The Coastal & Offshore Waters in Korea, Second Edition. Hangul Press.

      [2].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 [3]. Kim YS, Han KH, Kang CB, Kim JB. 2004. Commercial Fishes of The Coastal & Offshore Waters in Korea, Second Edition. Hangul Press.

      [4].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 참고문헌

      1. (1) Masuda, H., K. Amaoka, C. Araga, T. Uyeno and T. Yoshino, 1984. The fishes of the Japanese Archipelago. Vol. 1. Tokai University Press, Tokyo, Japan. 437 p

      2. (2) 원양어류도감.

      3. (3) 한국연근해 유용어류도감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2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동해 남부 연안해역 통발에서 채집된 어류 군집의 계절변동과 연간변동 본 연구는 동해 남부 연안해역 통발에서 채집된 어류 종조성의 계절 및 연간변동을 조사하였다. 어류 시료는 2005년에서 2008년까지 계절별로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24과에 속하는 32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붕장어 (Conger myriaster), 미역치 (Paracentropogon rubripinnis), 꼼치 (Liparis tanakae), 쌍동가리 (Parapercis sexfasciata), 먹장어 (Eptatretus burgeri), 청어 (Clupea pallasii pallasii)였으며, 이들 6종은 총채집개체수의 91.9%를 차지하였다. 어류 군집의 출현종수, 개체수, 생체량, 다양도는 계절변동을 나타내었는데, 출현종수와 개체수는 2008년 8월에 가장 높았고, 생체량과 다양도는 2005년 8월에 가장 높았다. ANOSIM 분석 결과, 2008년 어류 종조성은 다른 년도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반면 계절별 채집 종조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박주면,허성회 한국어류학회 상세보기
        남해 앵강만 잘피밭 어류의 월별 종조성 변화 경남 남해 앵강만 잘피밭에서 2013년 10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소형 지인망을 이용하여 월별 어류군집의 특징 및 종조성을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총 6목 22과 35종 3,174개체, 3,137 g이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살망둑이었으며, 다음으로 베도라치, 그물코쥐치, 날개망둑, 미역치 순으로 채집되었다. 앵강만 잘피밭을 이용하는 어류들은 시기를 달리하여 출현하였으며, 채집된 대부분의 어류는 크기가 작은 유어였다. 우점종의 출현 양상을 고려할 때 유어는 수심이 얕은 잘피밭을 성육장으로 이용하고 성장함에 따라 보다 깊은 수심의 잘피밭으로 서식지를 이동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앵강만 잘피밭에서는 남해안 잘피밭에서 수행된 선행연구들에서는 보고되지 않은 날 매퉁이, 쑤기미, 꼬치고기 그리고 흰점꺼끌복이 채집되었다. 이승환,이용득,신민규,곽우석 한국어류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300건, 1/60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PI0000003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미역치
      Paracentropogon rubripinnis
      대한민국 경상남도 통영시 2011-05-28
      MABIK PI00000238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미역치
      Paracentropogon rubripinnis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사하구 2011-04-27
      MABIK PI0000025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미역치
      Paracentropogon rubripinnis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사하구 2011-04-27
      MABIK PI0000026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미역치
      Paracentropogon rubripinnis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사하구 2011-04-27
      MABIK PI0000029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미역치
      Paracentropogon rubripinnis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사하구 2011-04-27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