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바위주름

바위주름Petrospongium rugosum (Okamura) Setchell & N.L.Gardner, 1924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분류체계 : Chromista크로미스타계 > Ochrophyta대롱편모조식물문 > Phaeophyceae갈조강 > Ectocarpales솜털목 > Petrospongiaceae바위주름과 > Petrospongium바위주름속 >
  • 종설명(Description)

    •   식물체는 원형으로 암갈색 또는 밤색을 띠고 표면이 매우 주름져있다. 식물체의 크기는 10 cm 이상 되며 두께는 0.5~1.5 mm이다. 식물체의 두께는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얇아진다. 식물체들이 성장하면서 다수의 개체가 서로 접근하여 뭉쳐 자란다. 조간대 암반에 생육한다.
      [1]

    •   엽체는 암갈색 또는 밤색이고 건조하면 흑색으로 변한다. 개체가 단독일 때는 다소 원형인 가죽질의 각상이고 직경이 1~2cm 또는 10cm이며, 여러 개체가 뭉쳐 자라기도 한다. 두께는 0.5~1.5mm이며 어린 개체는 이면에서 많은 모상근을 형성하여 암석에 착생한다. 봄부터 가을까지 주로 관찰된다.(Choi et al., 2016 편집 인용)
      [2]

    •   캐나다, 미국, 중국, 러시아, 멕시코, 일본, 뉴질랜드
      [1]

    •   남해안, 제주도
      [1]

    • 출처

      [1]. 해양갈조식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2].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 [3]. 해양갈조식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4].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 참고문헌

      1. 제주의 바닷말, 이용필, 2008, 아카데미서적, 1-477 pp.

      2. 한국의 해양식물, 부성민 & 고용덕, 2012, 정행사, 1-233 pp.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1132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2233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11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rbcL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3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Investigation of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from 19 Species of Marine Macroalgae in Korea In the present work, we have collected 19 species of macroalgae (9 Phaeophta and 10 Rhodophyta) f rom all around of Korea: Dictyopteris divaricata, D. prolifera, Myelophycus cavus, Papenfussiella kuromo, Petalonia zosterifolia, Petrospongium rugosum, Rugulopteryx okamurae, Sargassum fulvellum, S. muticum, Callophyllis japonica, Gloiopeltis tenax, Gracilaria longissima, Gracilaria vermiculophylla, Grateloupia asiatica, Grateloupia lanceolata, Grateloupia sparsa, Grateloupia turuturu, Grateloupia sp, and Polyopes affinis. The macroalgal species were extracted by 70% ethanol (EtOH) for 24 h and evaluated its inhibitory effects on ${alpha}$-glucosidase. Among ethanol extracts, Myelophycus cavus showed the most effectively inhibitory activity ($IC_{50}$, 2.17 ${mu}g/ml$) against ${alpha}$-glucosidase, followed by Sargassum fulvellum (<$IC_{50}$, 8.13 ${mu}g/ml$), Dictyopteris prolifera ($IC_{50}$, 16.66 ${mu}g/ml$), Rugulopteryx okamurae ($IC_{50}$, 50.63 ${mu}g/ml$), and Petrospongium rugosum ($IC_{50}$, 101.62 ${mu}g/ml$). Furthermore,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assay showed no cytotoxicity on mouse pre-adipocytes cell line (3T3-L1).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me edible macroalgae merit further evaluation for clinical usefulness as anti-diabetic functional foods. Jeong, So-Young,Qian, Zhong-Ji,Jin, Yeong-Jun,Kim, Gi-Ok,Yun, Pil-Yong,Cho, Tae-Oh Korean Society of Pharmacognosy 상세보기
        Investigation of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from 19 Species of Marine Macroalgae in Korea In the present work, we have collected 19 species of macroalgae (9 Phaeophta and 10 Rhodophyta) f rom all around of Korea: Dictyopteris divaricata, D. prolifera, Myelophycus cavus, Papenfussiella kuromo, Petalonia zosterifolia, Petrospongium rugosum, Rugulopteryx okamurae, Sargassum fulvellum, S. muticum, Callophyllis japonica, Gloiopeltis tenax, Gracilaria longissima, Gracilaria vermiculophylla, Grateloupia asiatica, Grateloupia lanceolata, Grateloupia sparsa, Grateloupia turuturu, Grateloupia sp, and Polyopes affinis. The macroalgal species were extracted by 70% ethanol (EtOH) for 24 h and evaluated its inhibitory effects on ${\alpha}$-glucosidase. Among ethanol extracts, Myelophycus cavus showed the most effectively inhibitory activity ($IC_{50}$, 2.17 ${\mu}g/ml$) against ${\alpha}$-glucosidase, followed by Sargassum fulvellum (<$IC_{50}$, 8.13 ${\mu}g/ml$), Dictyopteris prolifera ($IC_{50}$, 16.66 ${\mu}g/ml$), Rugulopteryx okamurae ($IC_{50}$, 50.63 ${\mu}g/ml$), and Petrospongium rugosum ($IC_{50}$, 101.62 ${\mu}g/ml$). Furthermore,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assay showed no cytotoxicity on mouse pre-adipocytes cell line (3T3-L1).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me edible macroalgae merit further evaluation for clinical usefulness as anti-diabetic functional foods. Jeong, So-Young,Qian, Zhong-Ji,Jin, Yeong-Jun,Kim, Gi-Ok,Yun, Pil-Yong,Cho, Tae-Oh The Korean Society of Pharmacognosy 상세보기
        제주 자생 해양 녹조류와 갈조류 추출물로부터의 항고혈압 활성 제주 연안에 서식하는 해양 녹조류와 갈조류의 항고혈압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해조류로부터 메탄올과 물을 이용하여 상온($20^{circ}C$)과 $70^{circ}C$에서 각각 4가지 종류의 추출물을 제조하여 스크리닝하였다. 결과, 녹조류에서는 비교적 낮은 ACE 저해활성을 보였으나, 갈조류에서는 70ME 잇바디괭생이모자반, 말미역, 바위주름, 넓패, 톳, 다시마 및 70AE 감태에서 ACE 저해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70AE 감태의 가수분해물은 $2.33{sim}3.56{mu}g/mL$$IC_{50}$값을 보여 매우 높은 ACE 저해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해조류의 ACE 저해활성이 수용성 추출물뿐만 아니라 메탄올 추출물에서도 나타나는 것은 해조류 유래 fucoxanthin, phlorotannin 및 polyphenol계 화합물 등에 의한 영향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차선희,안긴내,허수진,김길남,이기완,송춘복,김소미,전유진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317건, 1/64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AL0000062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바위주름
      Petrospongium rugosum
      대한민국 2011-06-02
      MABIK AL0000062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바위주름
      Petrospongium rugosum
      대한민국 2011-06-02
      MABIK AL0000062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바위주름
      Petrospongium rugosum
      대한민국 2011-06-02
      MABIK AL0000062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바위주름
      Petrospongium rugosum
      대한민국 2011-06-02
      MABIK AL0000062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바위주름
      Petrospongium rugosum
      대한민국 2011-06-02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