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섬기린초Phedimus takesimensis (Nakai) 't Hart, 1995
바닷가 바위지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겨울에 줄기와 잎이 고사하지 않는다. 꽃은 7-8월에 핀다.
[1]
줄기는 여러 대가 모여나며, 높이 20-50cm, 아래쪽은 붉은빛을 띠고, 겨울에 지상부가 마르지 않는다. 잎은 어긋나며, 주걱 모양, 길이 4.5-6.0cm, 너비 1.0-1.5cm,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잎 앞면은 노란빛이 도는 녹색, 뒷면은 잿빛이 도는 녹색이다. 꽃은 줄기 끝의 산방꽃차례에 20-30개가 달리며, 노란색이다. 꽃받침은 5장이며, 선형이다. 꽃잎은 5장이며, 피침형, 길이 6-7mm이다. 수술은 10개이며, 꽃밥은 노란빛이 도는 붉은색이다. 암술은 5개이다. 열매는 골돌이다.
[1]
한국 특산식물
[1]
경북(울릉도)
[1]
관상용으로 이용한다.
[1]
출처
[1]. 박만규. 1974.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정영호, 김정희. 1989. 한국산 돌나물속 가는기린초절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19(40): 189-227.
이우철. 1996. 한국식물명고.
Park, K.R. 2007. Crassulaceae. In: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Ed. C.W. Park).
[2]. 박만규. 1974.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정영호, 김정희. 1989. 한국산 돌나물속 가는기린초절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19(40): 189-227.
이우철. 1996. 한국식물명고.
Park, K.R. 2007. Crassulaceae. In: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Ed. C.W. Park).
경제적가치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1 | 1 | 3 | 1 | 1 |
생태적가치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1 | 3 | 1 | 1 | 2 |
학술적가치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1 | 1 | 1 | 1 | 1 |
NCBI (Phedimus takesimensis)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