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비틀이고둥Pirenella cingulata (Gmelin, 1791)
크기가 작은 고둥류이다. 패각은 단단하며 나탑은 높은 원추형이다. 나층은 12층으로 각 층이 전혀 부풀지 않았으나 각정에서 체층으로 내려오면서 점점 굵어진다. 봉합은 굵고 뚜렷하고 봉합구에는 가느다란 융기선이 한 줄씩 있다. 각 층에는 3줄의 과립형 나륵이 발달해 있다. 각 층의 나륵은 위의 두 줄은 황백색, 아래 한 줄은 황갈색이며 가운데 나륵 상하에 있는 봉합구는 흑갈색이다. 외순은 얇지만 밖으로 약하게 젖혀져 있다. 내순은 흑갈색 활층이 나타난다. 패각의 높이는 약 25mm, 폭은 9mm 정도이다. 식용으로 이용하는데, 해안지방 어시장에서 판매하기도 하며, 좌판에서 삶아서 팔기도 한다. 껍질은 공예품으로 이용된다. 조간대 중부와 하부의 진흙 갯벌이나 하구역 또는 간석지에서 흔히 발견된다. 물이 얕게 고인 모래 섞인 갯벌 바닥에 수백 개체가 모여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물이 빠진 바닥에 노출되어서도 잘 견디는데, 물이 빠지면 기질을 얕게 파고들거나 그늘진 곳에 피해 있다.
게집골뱅이
일본, 중국, 대만, 필리핀, 베트남, 싱가폴, 브루나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인도-서태평양
남해, 장흥
| 경제적가치 |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 2 | 2 | |||
| 생태적가치 |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 2 | 2 | 2 | 2 | |
| 학술적가치 |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 2 | 2 | 2 | ||
NCBI (Pirenella cingulata)
COI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