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넓은미역쇠

넓은미역쇠Punctaria latifolia Greville, 1830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1
분류체계 : Chromista크로미스타계 > Ochrophyta대롱편모조식물문 > Phaeophyceae갈조강 > Ectocarpales솜털목 > Chordariaceae민가지말과 > Punctaria넓은미역쇠속 >
  • 종설명(Description)

    •   식물체는 연한 황갈색의 대나뭇 잎 모양으로 외가닥이며 모자반류의 식물체에 여러 개가 모여난다. 피층과 수조직 구분이 없고 식물체의 표면쪽에 있는 세포에만 엽록체가 있다. 다실포자낭은 피층세포에서 만들어지며 식물체의 표면에서 조금 불거지고 사각형 모양의 무늬로 나타난다. 단실포자낭은 알 모양이며 식물체의 표면 안으로 잠긴다. 조하대의 모자반류에 붙어 자란다.
      [1]

    •   유럽, 아일랜드, 대서양,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 호주, 뉴질랜드
      [1]

    •   추자도
      [1]

    • 출처

      [1]. 해양갈조식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 [2]. 해양갈조식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 참고문헌

      제주의 바닷말, 이용필, 2008, 아카데미서적, 1-477 pp.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1121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2332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11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갈조류 추출물에 의한 인간 암세포 성장 억제 및 세포 사멸 유도 본 연구는 해양자원의 대표적인 갈조류 중 미역(Undaria pinnatifida), 미역쇠(Petalonia binghamiae), 넓은 미역쇠(Punctaria latifolia)를 추출한 시료들을 이용하여 위암, 유방암 세포에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성장 억제효과가 가장 뛰어난 시료가 apoptosis 발현을 유도시키는지 확인하였다. AGS, MDA-MB-231, SK-BR-3 세포에 미역, 미역쇠, 넓은 미역쇠 추출물 0, 50, 100, 200 μg/ml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뒤 MTT assay를 통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모든 추출물들이 AGS, MDA-MB-231, SK-BR-3 세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 하였다. MTT assay 실험 결과에서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가 가장 좋은 넓은 미역쇠 추출물이 apoptosis를 유도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AGS, MDA-MB-231, SK-BR-3 세포에서 DAPI staining을 수행 하였고, 넓은 미역쇠 추출물 200 μg/ml에서 세포질 응축이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넓은 미역쇠 추출물이 AGS, MDA-MB-231, SK-BR-3 세포에서 apoptosis를 유도하여 암세포 성장을 억제한 것으로 사료된다. 넓은 미역쇠 추출물이 apoptosis 발현 기전에 영향을 주는지 보기 위해 Western blotting을 수행하여, Bcl-2 family 단백질인 Bax와 Bcl-2의 발현 그리고 DNA 복구 단백질인 PARP의 발현을 확인 하였다. AGS, MDA-MB-231, SK-BR-3 세포에 넓은 미역쇠 추출물 0, 200 μg/ml로 24시간 처리한 결과, pro-apoptotic protein 인자인 Bax와 DNA 복구 단백질 PARP 분절이 증가 하였고, anti-apoptotic protein 인자인 Bcl-2 발현은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미역, 미역쇠, 넓은 미역쇠 추출물은 인간 위암세포인 AGS와 유방암 세포인 MDA-MB-231, SK-BR-3에서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그 중 가장 효과가 우수한 넓은 미역쇠가 미역, 미역쇠보다 뛰어난 항암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갈조류 추출물의 기능성 식품 및 항암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보여 주고 있으며, 특히 넓은 미역쇠 추출물의 항암효과에 대한 연구가 in vivo에서도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추강식,이해님,신성아,김형진,박영석,김상기,정지윤 한국생명과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135건, 1/27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AL0001286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넓은미역쇠
      Punctaria latifolia
      대한민국 2011-11-27
      MABIK AL0001286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넓은미역쇠
      Punctaria latifolia
      대한민국 2011-11-27
      MABIK AL0001286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넓은미역쇠
      Punctaria latifolia
      대한민국 2011-11-27
      MABIK AL0001286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넓은미역쇠
      Punctaria latifolia
      대한민국 2011-12-26
      MABIK AL0001286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넓은미역쇠
      Punctaria latifolia
      대한민국 2011-12-26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