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돌가시나무

돌가시나무Rosa lucieae Franch. & Rochebr. ex Crép., 1871

분류체계 : Plantae식물계 > Angiospermae피자식물문 > Dicotyledoneae쌍자엽식물강 > Rosales장미목 > Rosaceae장미과 > Rosa장미속 >
  • 종설명(Description)

    •   바닷가 양지바른 돌밭과 초지에 자라는 반상록 덩굴나무이다. 꽃은 5-7월에 피며,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1]

    •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가시가 많으며,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며, 두껍고, 작은 잎 7-9장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타원형 또는 넓은 난형, 길이 1-2cm, 너비 0.8-1.5cm,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 앞면은 윤이 나며, 뒷면은 연한 녹색이다. 양면에 털이 없다. 턱잎은 녹색이며, 가장자리에 이 모양 톱니가 있고, 샘털이 난다. 꽃은 가지 끝의 원추꽃차례에 1-5개씩 달리며, 흰색, 지름 3cm쯤이다. 열매는 장미과이며, 난상 원형, 길이 1cm쯤이고, 붉게 익는다.
      [1]

    •   대만, 일본, 중국
      [1]

    •   강원,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1]

    •   관상용, 식용, 약용으로 이용한다.
      [1]

    • 출처

      [1]. 현진오. 2003. 여름에 피는 우리꽃 386.
      이창복. 2003. 원색 대한식물도감.
      Lee, S. 2007. Rosa L.. In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Park CW (ed.).

    • [2]. 현진오. 2003. 여름에 피는 우리꽃 386.
      이창복. 2003. 원색 대한식물도감.
      Lee, S. 2007. Rosa L.. In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Park CW (ed.).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3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우리나라 해안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군락 분류 우리나라에 발생하는 해안 식생의 식생 구조에 대하여 식물사회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102개 조사구에 대한 식생자료의 분석은 ZM 학파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국내 해안에 발생하는 식물 군집 구분은 총 11개의 군락으로 순비기나무-돌가시나무 군락, 갯메꽃 군락, 통보리사초-갯그령 군락, 갯잔디 군락, 해홍나물 군락, 방석나물 군락, 나문재-가는갯는쟁이군락, 칠면초 군락, 천일사초 군락, 갈대 군락, 산조풀 군락이 구분되었다. 각 군락 들은 발생지역과 환경에서 다양성을 보였다. 식생 자료에 대한 주성분분석 (PCA) 결과 식물사회학적 군락 분류 결과를 지지하였다. 이용호,오영주,이욱재,나채선,김건옥,홍선희 한국환경생물학회 상세보기
        한반도 해안임연군락의 분포특성 우리나라의 해안사구에 분포하고 있는 해안임연군락의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전추정법에 의해 이미 추출된 우리나라 해안임연군락의 단위식생 및 식물사회학적 체계를 토대로 이루어졌으며, 분류된 각 단위식생들에 대한 분포특성 분석은 각 단위식생으로 합성된 조사구의 위도와 온도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우리나라 해안임연군락의 분포는 해당화군락, 순비기나무군락, 순비기나무-해란초군집, 순비기나무-돌가시나무군집 및 순비기나무-띠군집의 순으로 북쪽에서 남쪽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각 단위식생들의 연속 분포와 중첩 분포의 경향성이 인정되었다. 그리고 한반도의 해안임연군락에 대한 분포유형 결정은 일본, 북한 및 중국의 해안임연식생에 대한 식생학적, 지리적 및 생물기후학적 정보가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정용규,김원 한국생태학회 상세보기
        제주도 도순천·악근천 하구해안의 식생과 멸종위기종 II급 솔잎란(Psilotum nudum) 서식지 특성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제주도 서귀포시에 위치한 도순천·악근천 하구해안의 식물상 및 식생의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관속식물은 94과 249속 313종 37변종 3품종 2아종의 총 355종류가 조사되었으며, 귀화식물은 15과 27속 30종 1변종으로 31종류가 조사되었다. Numata식의 생활형에서는 반지중식물(H)이 77종 21.75%, 지하기관형(Radicoid form)은 단립식물(R5)이 200종 56.34%, 산포기관형은 중력산포형(D4)이 161종 45.35%로 구성비율이 가장 높았다. Raunkiaer의 생활형을 분석한 결과 지표식물(ch), 1년생식물( Th)은 한반도 보다 높은 비율로 분포하고 있으나 반지중식물(H)은 낮았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 3종(식재종 1종포함), IV등급 2종, III등급 17종, II등급 2종, I등급 32종의 총 57종류가 자란다. 법적보호식물은 멸종위기종 II급인 솔잎란이 도순천 하구 암벽에 25개체가 조사되었으며, 콩짜개덩굴, 마삭줄, 석위 등과 혼생하고 있다. 식생의 특징은 하구의 암벽식생, 해안암벽식생, 사구식생, 하천의 하도식생, 전이지역 식생의 5개 식생유형과 곰솔군락, 보리밥나무군락, 순비기나무군락, 돌가시나무군락, 돌가시나무-상동나무군락, 상동나무군락, 우묵사스레피나무군락, 송악군락, 갯완두군락, 우산잔디군락, 천일사초군락, 번행초군락, 팽나무-구실잣밤나무군락, 콩짜개덩굴군락, 겨이삭군락, 석창포군락, 버들참빗군락의 총 17개 군락이 조사되었다.

        최영은,,김정문,,김창환,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2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AK1954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돌가시나무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1020240049152 애경산업(주) 원문정보
        돌가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20210016015 애경산업(주) 원문정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32건, 1/7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TP0000203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돌가시나무
      Rosa lucieae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2018-04-10
      MABIK TP0000231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돌가시나무
      Rosa lucieae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2020-05-29
      MABIK TP0000231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돌가시나무
      Rosa lucieae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2020-05-29
      MABIK TP0000230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돌가시나무
      Rosa lucieae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2020-05-29
      MABIK TP0000231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돌가시나무
      Rosa lucieae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2020-05-29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