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바지락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 (A. Adams & Reeve, 1850)

  • 해양생물평가등급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Mollusca연체동물문 > Bivalvia이매패강 > Venerida백합목 > Veneridae백합과 > Ruditapes바지락속 >
  • 종설명(Description)

    •   진흙 또는 진흙과 자갈이 섞여 있는 곳에 서식한다.
      [1]

    •   패각은 긴 난형으로 색체가 다양하다. 표면에는 방사상의 무늬와 성장맥이 교차하여 포목상의 무늬를 띤다. 각정은 앞쪽으로 치우쳐 있고 인대가 발달하였다. 내면은 흰색을 띤다. (Han et al., 2018)
      [2]

    •   일본, 필리핀, 인도, 캐나다
      [1]

    •   한국 전역
      [1]

    • 출처

      [1]. 우리바다 우리생물 -서천

      [2].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Ⅰ(2019년)

    • [3]. 우리바다 우리생물 -서천

      [4].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Ⅰ(2019년)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33133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33333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1333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COI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47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를 이용한 가열 조리된 어패류에서의 heterocyclic amines 함량 분석 국내에서 주로 섭취되는 어패류(고등어, 삼치, 조기, 대합, 바지락, 꼬막, 백합)를 가열조리 하였을 때 형성되는 HCAs를 분리, 동정하여 그 함량을 모니터링 하였다. 추출 및 정제는 고체상 추출 방법을 사용하였고 정성, 정량을 위한 분석장비는 LC/MS를 사용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생선류에서는 고등어(2.2-1,1117.7 ng/g), 삼치(9.1-443.6 ng/g), 조기(17.5-179.5 ng/g)순으로 HCAs가 많이 검출되었으며 특히 고등어 muscle에서 많은 양(1,1117.7 ng/g, Harman)이 검출되었다. 조개류 중에서는 대합(12.2-196.4 ng/g), 꼬막(2.2-76.2 ng/g), 바지락(1.7-25.8 ng/g), 백합(1.5-2.7 ng/g)순으로 많이 검출되었으며 대합의 Norharman(196.4 ng/g)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15종의 HCAs 중 ${beta}$-carbolines에 속하는 Norharman과 Harman이주로 검출되었으며 그 밖에 PhIP, Trp-P-1. Trp-P-2 등의 발암가능성이 있는 물질들이 검출되었다. 조리방법 측면에서 보면 간장을 이용한 조림방법보다는 직접적인 가열을 통한 구이방법이 많은 양의 HCAs를 형성시켰으며 구이 중에서도 muscle만 있는 부위에서의 검출함량보다는 muscle과 skin이 함께 있는 부위에서 검출함량이 더 많았다. 가열 조리한 어패류 분석방법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해 본 결과 정량한계는 0.8-23.9 ng/mL, 검출한계는 0.2-7.2 ng/mL이었으며 회수율은 15.7-74.7%이었다. 이재환,백유미,이광근,신한승 한국식품과학회 상세보기
        곰소만 해역의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에서 분리한 대장균 (Escherichia coli)의 항균제 내성 및 병원성 유전자의 보유성 In total, 151 Escherichia coli isolates from Ruditapes philippinarum in Gomso Bay were analyzed for their susceptibility to 18 different antimicrobial agents and for genes associated with virulence. For virulence genes, each strain of the isolates was positive for the enterotoxigenic E. coli (ETEC)-specific heat-stable toxin (estA), enteroinvasive E. coli (EIEC)-specific invasion-associated locus (iaa) gene and enteropathogenic E. coli (EPEC)-specific attaching and effacing (eae) gene. According to a disk diffusion susceptibility test, resistance to ampicillin was most prevalent (23.2%), followed by resistance to amoxicillin (22.5%), ticarcillin (20.5%), tetracycline (18.5%), nalidixic acid (12.6%), ciprofloxacin (10.6%), streptomycin (9.9%), and chloramphenicol (6.6%). More than 35.8% of the isolates were resistant to at least one antimicrobial agent, and 19.9% were resistant to four or more classes of antimicrobials; these were consequently defined as multidrug resistant.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ranges for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of the 15 different antimicrobial agents of 54 E. coli strains were confirmed by varying the concentrations from $32-2,048{\mu}g/mL$. Overall, these results not only provide novel insights into the necessity for seawater and R. philippinarum sanitation in Gomso Bay but they also help to reduce the risk of contamination by antimicrobial-resistant bacteria. 김태옥,엄인선,박광호,박권삼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황금추출물의 항균활성 식품 가물로부터 분리.동정 된 V. parahaemolyticus에 대하여 황금추출물의 항균력을 검토하였다. 바지락 72건 가검물 중에서 66건(91.7%)이 양성으로서 높은 검출율을 보였다. 슬라이드 응집법으로 혈청형을 확인한 결과 분리 된 V. parahaemolyticus 66균주 중에서 혈청형을 결정할 수 없는 UT(untypeable) K-group이 46균주로서 69.7%였으며, 확인된 혈청형 중에서는 serotype K-I group이 7균주로서 10.6%의 검출율을 나타내었고, K-IV group 5균주(7.6%), K-II, V, VII group이 각각 2균주(3.0%)이 었으며, K-VI, VIII group 1균주(1.5%)의 순으로 분리되었고, K-III와 IX group 혈청형은 검출되지 않았다. 식품에 있어서 생육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시판되는 바지락을 시료로 분리균주들을 각각 접종한 다음35$^{\circ}C$에서 120시간동안 배양하여 얻은 생육곡선에서 V. parahemolyticus균주들 모두가 유도기, 대수기, 정지기, 사멸기를 거치는 전형적인 S자 모양의 생육곡선을 보였다. 식품에 대한 황금추출물의 항균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판되는 바지락을 시료로 하여 증기 멸균한 후, 동량의 멸균생리식염수를 넣고 황금추출물의 농도가 0, 500, 1000, 5000 ppm (mg/kg)이 되도록 균질화시킨 시료에 분리균주들을 각각 접종한 다음, 35$^{\circ}C$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얻은 생육저해곡선에서 V. parahaemolyticus 균주들 모두가 유도기를 거친 다음인 6시간이 경과된 후 황금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시험균주의 균수 차이를 보였고, 식품중의 Vibrio parahaemolyticus에 있어서 생육이 억제되는 황금추출물 유효저해농도는 1000ppm이었다. 세포형태변화를 관찰하기 위한 투과형전자현미경(TEM) 상에서 황금추출물 처리로 인한 V. parahaemolyticus균주들의 세포막기능의 파괴로 세포내용물들이 용출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조성환,김영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상세보기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과 생체지표유전자를 이용한 서해안 갯벌 건강도 평가 갯벌의 건강 수준에 대한 평가는 갯벌에 서식하는 생물의 건강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생체지표유전자의 발현 분석을 통하여 갯벌에 서식하는 생물의 건강 수준을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heat shock protein 70 (Hsp70), heat shock protein 90 (Hsp90), glutathione S-transferases (GST) 및 thioredoxin (TRX)과 같은 생체지표유전자를 이용하여 서해안 갯벌의 건강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들 유전자는 스트레스, 면역 및 항산화 관련한 유전자들로서 이들 유전자의 발현을 통해 생물의 건강 정도를 관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의 8개 정점에서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을 수집했다. 유전자의 발현은 RT-qPCR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Hsp70, Hsp90, GST 및 TRX 유전자들의 발현이 8개 정점에서 차별적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Hsp90 및 GST의 발현 또는 Hsp70 및 TRX의 발현은 유사하였다. 이것은 각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화학적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분석에 적합한 유전자를 선택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 결과는 Hsp70, Hsp90, GST 및 TRX 유전자는 갯벌의 건강을 평가하기 위한 생체지표유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을 시사한다. 최희찬,최윤석,강한승,이윤 한국해양생명과학회 상세보기
        실험실에서 사육한 말똥성게 Strongylocentrotus pulcherrimus (A. Agassiz)의 식성과 성장 고가의 식품으로 이용되는 말똥성게의 생식소의 소비가 증가됨에 따라 연안의 말똥성게 자원은 계속 감소하고 있어 이 종류에 대한 양식 기술개발은 중요한 연구 과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말똥성게를 실내에서 양식할 경우 먹이로서 신선한 해조류를 대치할 수 있는 육상식물을 조사하였다. 해조류 6종류 (미역, 구멍갈파래, 지충이, 개지누아리, 모자반, 곰피), 육상식물 5종류 (시금치, 상치, 무우잎, 배추, 케일), 동물성 먹이 2종류 (바지락. 쇠고기)를 대상으로 말똥성게의 선택적 및 비선택적 식성과 영양 효과를 비교한 결과, 말똥성게의 먹이로서 육상 식물의 이용이 가능하였다. 미역을 공급한 경우 말똥성게의 체중의 성장은 가장 높았으나 생식소지수는 시금치, 무우잎 또는 상치를 공급할 경우가 미역의 경우보다 더 높았다. 시금치와 무우잎의 공급은 생식소가 성장하는 계절에 적합하고, 각이 성장하는 시기에는 상치 또는 배추가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무우잎은 식용으로 이용하지 않고 버려지므로 무우잎을 이용한 말똥성게의 양식은 매우 경제적일 것이다. HUR Sung Bum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31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즉석 미역 된장국 및 그 제조방법 2002-0071161 여수대학교산학협력단 | 주식회사 보양 원문정보
        갯벌어장 쏙류의 구제방법과 바지락, 갯벌참굴을 복합적으로 조성하는 양식시설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패류의 복합식 채묘환경 조장방법 2011-0029556 김수민 | 김영길 원문정보
        잘피 종묘장을 이용한 패류 양식장 조성 방법 2011-0122103 주식회사 마린에코텍 원문정보
        주꾸미 또는 오징어 양념용 짜장소스 제조방법 1020190074892 최재영|장설매 원문정보
        바지락 유생 및 치패 중간육성장치 1020190136560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원문정보
      • 전통지식

        검색결과 1

        전통지식 목록 - 학명, 국명, 지역, 주용도, 구전 전통지식
        학명국명지역주용도구전 전통지식
        Ruditapes philippinarum 바지락 경상남도 식용,약용,문화용 계절과 관계없이 바지락을 잡아서 빈대떡, 칼국수, 된장찌개, 조개탕 등을 만들어 먹는다.
        바닷가에서 바지락을 잡아 껍질을 까서 조개젓으로 담가서 먹는다.
        반지락(바지락)은 도다리나 노래미와 함께 미역국에 넣어서 끓여 먹는다.
        바지락을 통째로 삶아서 국물을 먹으면 숙취 해소와 간 보호에 좋다.
        바지락은 껍질을 까서 말려두었다가 명절이나 제사 때 사용하였다.
    • 자원정보

      검색바

      총 607건, 1/122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MO0000350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대한민국 2010-10-07
      MABIK MO0000350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대한민국 2010-10-07
      MABIK MO0000350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대한민국 2010-10-07
      MABIK MO0000350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대한민국 2010-10-07
      MABIK MO0000350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대한민국 2010-10-07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