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다시마

다시마Saccharina japonica (J.E.Areschoug) C.E.Lane, C.Mayes, Druehl & G.W.Saunders, 2006

  • 해양생물평가등급
분류체계 : Chromista크로미스타계 > Ochrophyta대롱편모조식물문 > Phaeophyceae갈조강 > Laminariales다시마목 > Laminariaceae다시마과 > Saccharina다시마속 >
  • 종설명(Description)

    •   식물체는 한 개의 납작한 줄기이고 부착기는 나무 뿌리와 같은 형태이다. 엽체의 가장자리에는 물결 모양의 주름이 존재하거나 없다. 다시마는 일본 홋카이도에서 애기다시마와 함께 1968년에 강원도에 도입되어 주문진 일대에서 양식을 시작하였다. 이후 주문진 연안에 자연산 군락이 형성되었고 현재는 우리나라 모든 연안의 조하대에 해조숲을 형성하는 중요한 종이다.(Kim et al., 2017b)

    •   다시마는 일본 홋카이도에서 애기다시마와 함께 1968년에 강원도에 도입되어 주문진 일대에서 양식을 시작하였다. 이후, 주문진 연안에 자연산 군락이 형성되었고 현재는 우리나라 모든 연안의 조하대에 해조 숲을 형성하는 중요한 종이다.

    •   외연도, 금갑, 만리포, 백령도

    •   일본

    •   식용, 산업적(알긴산 등), 의료용 자원(갑상선질환, 치질)으로 이용

    •   수종, 항고혈압, 항혈액응고, 항종양, 항바이러스, 항돌연변이, 항산화

    • 참고문헌

      [1] 유용한 서해의 바닷말
      [2]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3] 부성민, 이욱재, 황일기, 금연심, 옥정현, 조가연. 2010. 한국의 조류(Algae). 제2권 2호, 해산 갈조류 II. 국립생물자원관, 인천 205 pp.
      [4] 정문기, 박만상. 1955. 한국해조목록. 해무청중앙수산검사소. 서울. 42 pp.
      [5] Areschoug, J. E. 1851. Phyceae capenses, quarum particulam primam, venia ampliss. philos. facult. Upsaliens., praeside J. E. Areschoug... pro gradu philosophico p.p. Johannes Conradus Carlberg gothoburgensis. In auditorio Gustaviano die vii maj mdccli. H.A.M.S. pp. 1-32. Upsaliae [Uppsala]
      [6]Lane, C. E., C. Mayes, L. D. Druehl, G. W. Saunders. 2006. A multi-gene molecular investigation of the kelp (Laminariales, Phaeophyceae) supports substantial taxonomic re-organization. Journal of Phycology 42, 493-512.
      [7] Kang N, Han EJ, Shin EJ, Han HJ, Lim JS, Lim DH and Ahn G. 2018. Effects of sterilization process on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Saccharina japonica. J Chitin Chitosan 23, 44-50.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21112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33331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1122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68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Aspergillus oryzae 심부배양에 의한 다시마의 항산화능, 총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증대 The current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submerged fermentation of Saccharina japonica as sole substrate using Aspergillus oryzae. In this study we used 2% S. japonica powder as fermentation media for A. oryzae. Fermentation period was optimized by monitoring the fermented sample at regular intervals for a period of 7 days. Results found that a fermentation period of 5 days was effective with maximum desirable characteristics such as total sugar,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Under optimum fermentation period, fermented extracts showed enhanced antioxidant activity as determined by different assays such DPPH radical scavenging, ABTS scavenging and phosphomolydenum assay. This study provides the information for the enhancement of bioactive molecules in an eco-friendly manner and also paves way towards the development of wide range of seaweed-based functional foods. Rafiquzzaman, S.M.,Kong, In-Soo,Kim, Jin-Man The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상세보기
        다시마 뿌리로부터 유기산을 이용한 다당과 미네랄 추출 국내에서는 다시마 뿌리가 아직 활용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시마 뿌리에서 탄수화물과 미네랄 등을 추출하는 공정을 개발하고 이들의 특성을 측정하였다. 해조류의 다당류 추출은 수율을 높이기 위해서 염산을 많이 사용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식품에 이용하기 위해 구연산과 같은 유기산을 사용해 추출하였다. 유기산은 추출 효율이 강산에 비해 낮으므로 최적의 추출 조건을 찾는 연구를 하였다. 추출온도, 추출시간, 유기산의 농도, 시료 입자 크기 등을 변화시키며 다당 수율을 측정하는 실험을 하였다. 시료 입자가 작을수록 추출 온도가 높을수록 수율은 증가하였다. $100^{\circ}C$에서 구연산 농도 0.2 wt%로 4.0시간 추출했을 때 수율은 19%였다. 다시마뿌리 추출액의 K/Na 비가 약 3으로 칼륨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다시마 뿌리에서 추출한 후코이단은 미역에서 추출한 후코이단과 비교해 당의 조성은 비슷하였으나, 분자량은 더 작았다. 천지연,차성한,이정식,김영숙,박권필 한국화학공학회 상세보기
        다시마(Saccharina japonica) 분말을 첨가한 죽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효과 Saccharina japonica is a type of seaweed rich in dietary fiber, iodine, calcium, and selenium. We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ruel made with S. japonica powder, and identified the best ratio of powder to gruel to maximize its health effects. The gruel was prepared with rice, glutinous rice, GABA (${\gamma}-aminobutyric$ acid)-enriched sea tangle fermented in lactic acid (0.3%), and various amounts (0-10% gruel volume) of S. japonica powder. The pH, color, viscosity, spreadability, antioxidant activities, and sensory evaluation of the gruel were investigated. Spreadability and pH decreased, whereas viscosity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creased, with increasing powder content. In addition, color lightness decreased significantly, whereas redness and yellowness increased. In sensory tests, color, aroma, and texture were rated highest for gruel with 5% powder. On the other hand,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considered optimal in gruel with 7% powder. 이연지,김원석,이배진,전유진,김용태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살균다시마 물 추출물 및 효소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Saccharina japonica (SJ) has been widely used as a functional food in South Korea due to its beneficial biological role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oxidant effect of the sterilized SJ (SSJ). First we prepared the water extract (WSSJ) and the enzymatic extracts (CSSJ and TSSJ) from SSJ. The enzymatic extracts (CSSJ and TSSJ) showed the improved the extraction yields (48.9± 0.9% and 46.4±1.2%), compard to WSSJ (34.6±0.3%). Also, WSSJ, CSSJ and TSSJ exhibited the scavenging effects against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s. In addition, the extracts led to the reducing power as well as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Moreover, the extracts increased the cell viability by reducing the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 hydrogen peroxide?treated hepatocytes.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SSJ has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may be used as a potential source of natural beneficial functional foods. 한의정,안긴내,박수연,엄주형,김민주,이가람,임지선,임동환,안창범 한국키틴키토산학회 상세보기
        상황버섯 균사체로 발효한 다시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To develop new functional materials, Saccharina japonica (S. japonica) was cultivated with Phellinus linteus (P. linteus) mycelia by solid culture. S. japonica was fermented with P. linteus mycelia. The variou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extracts of fermented S. japonica with P. linteus mycelia (FSPM)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to the antioxidant capabilities of unfermented S. japonica and P. linteus mycelia.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FSPM extracts were evaluated using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SPM showed stronger free radical scavenging abilities than P. linteus mycelia or S. japonica alon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ermentation of S. japonica changes its chemical nature and could provide beneficial antioxidant effects. 김연숙,박표잠,정재현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233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알긴산 추출 방법 및 상기 알긴산 올리고머를 이용한 아토피 치료 조성물 2010-0040752 강성식 | 듀얼라이프 주식회사 원문정보
        해조류 가공식품의 제조방법 2004-0054184 김광래 원문정보
        녹색 갈조류 성형물이 함유된 해조음료와 그 제조방법 2001-0009133 대한민국 원문정보
        갈조류 건조장치 2013-0050797 도담푸드 주식회사 | 이상로 원문정보
        에스트로겐 유사활성 추출방법 및 에스트로겐 유사활성 물질 2011-0023308 (주)아이에스푸드 원문정보
      • 전통지식

        검색결과 1

        전통지식 목록 - 학명, 국명, 지역, 주용도, 구전 전통지식
        학명국명지역주용도구전 전통지식
        Saccharina japonica 다시마 강원도 식용,약용 6~7월에 바다에서 다시마를 채취해 말렸다가 튀겨 먹고, 연한 것은 데쳐서 쌈으로 먹거나 콩나물과 함께 무쳐서 먹는다.
        봄부터 가을까지 채취할 수 있고, 말려두었다가 국수 국물을 내는 데 사용하고, 삶은 국물을 김장할 때 사용한다.
        말려둔 다시마를 기름에 튀겨 먹으면 산후조리에 좋고, 차로 끓여 마신다.
    • 자원정보

      검색바

      총 445건, 1/89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AL0000643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다시마
      Saccharina japonica
      대한민국 2011-03-05
      MABIK AL0000643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다시마
      Saccharina japonica
      대한민국 2011-03-05
      MABIK AL00006438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다시마
      Saccharina japonica
      대한민국 2011-03-05
      MABIK AL0000643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다시마
      Saccharina japonica
      대한민국 2011-03-05
      MABIK AL0000644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다시마
      Saccharina japonica
      대한민국 2011-03-05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