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전통지식 이미지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17건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알송이 모자반, Sargassum confusum을 이용한 Pb 및 Cr의 생물학적 흡착 및 탈착 우리나라 인근 해역에서 가장 쉽게 채취할 수 있는 해조류 중의하나인 S. confusum을 이용한 Pb 및 Cr의 생체홉착 실험을 수행하였다. 두 중금속 모두 흡착 평형에는 15분 안에 도달하였으며, 평형 흡착량은 각각 197.5mg Pb/g biomass 및 133.1mg Cr/g biomass이었다. Pb 및 Cr의 생물학적 흡착은 Langmuir모델에 더 잘 적용되었다. Pb 흡착시에 Ca가 500mg/L 존재하여도 $20\%$ 정도 흡착량이 감소하였고, Mg는 Pb 흡착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Pb 및 Cr 흡착 후에 0.1 M HCI, 0.1 M$HNO_3$ , 및 0.1 M EDTA를 이용하여 탈착시 Pb의 탈착율은$93\%$ 이상이었으나, Cr의 탈착율은$30\%$ 이하였다. Pb 흡착 후에 0.1 M HCl, 0.1 M$HNO_3$ , 0.1 M EDTA 및 0.1 M NaOH를 이용하여 탈착실험을 수행하고 다시 재흡착을 시키는 과정을 6회 반복한 결과 최대 누적 흡착량은 761.4mg/g biomass였고, HCl 및$HNO_3$ 를 이용한 경우에 Pb의 탈착 및 S. confusum의 재생에 있어 매우 효과적이었다.서근학,안갑환,조문철,조진구,진형주,홍용기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해조류 첨가가 두부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두유에 해조류 마쇄물을 10% 혼합하여 두부를 제조하고 일반두부와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모자반, 미역, 다시마를 첨가한 두부는 일반두부에 비하여 수율과 단백질, 회분 함량이 각각 19.6~20.6%, 3.1~7.1%, 10.8~21.4% 증가하였고 두유청의 탁도는 감소하였다. 해조류 첨가 두부의 견고성은 0.36~0.52kg으로 일반두부의 0.70kg에 비하여 낮았으나 탄력성, 응집성, 부서짐성은 현저히 증가하였고 껌성도 증가하였다. 해조류 첨가로 두부의 색도중 L값은 낮아졌고 a값은 미역과 다시마 첨가구에서, b값은 톳 첨가구에서 가장 낮았다. 해조류 첨가 두부는 응고제 첨가량의 증가로 Ca 함량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Fe, Zn, Mn은 감소하였다. 두부의 조직감은 다시마와 꼬시래기, 톳을 첨가한 두부가, 맛은 꼬시래기를 첨가한 두부가 양호하였다. 김동한,임미선,김영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상세보기 모자반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과 열 및 pH 안정성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 해조류인 모자반의 항균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paper disc법과 MIC(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test를 이용하여 식품의 부패 및 식중독 관련 미생물 16종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물추출물에서는 항균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에탄올 추출물은 4 mg/mL 농도에서 실험에 사용된 모든 그람 양성균, Saccharomyces cerevisiae와 Candida tropicalis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는데, 특히 Bacillus subtilis, Clostridium perfringens, Listeria inoccua 및 Listeria monocytogenes 및 C. tropicalis에 대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그람 음성균, Candida albicans 및 곰팡이 2종에는 항균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모자반 에탄올 조추출물에 대한 MIC test를 실시한 결과, 0.0063% 농도에서 C. perfringens와 C. tropicalis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며, 0.0125% 농도에서 L. monocytogenes의 생육을 억제하였다. 또한 0.025% 농도에서 B. subtilis, L. inoccua 및 Lactobacillus plantarum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열 및 pH 안정성 실험결과, $121^{\circ}C$ 에서 15분간 열처리와 pH 2-10 처리에도 항균활성이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모자반 에탄올 추출물은 열과 pH에 비교적 안정하다고 사료된다.윤소영,이소영,김꽃봉우리,송유진,이소정,이청조,박나비,정지연,곽지희,남기완,안동현 한국식품과학회 상세보기 평생이모자반 젖산 추출물이 성장기 암컷흰쥐의 골 형성에 미치는 영향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 lactic acid extract of Sargassum horneri (ExSL) as a calcium supplement on bone formation in 48 female Sprague-Dawley rats for 4 weeks of their growth phase. The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ased on diet: two calcium-sufficient and two calcium-deficient diets. The normal control group (NC) was fed AIN-93G; the NCS group was fed the same diet containing 1% extract; the calcium-deficient control (DC) diet was based on AIN-93G; and the DCS group received the same calcium-deficient diet plus 1% extract. Bone formation in the rats was evaluated using the wet weight, length, diameter,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of the femur. Serum parameters were also examined. The food intake among the group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P<0.05). The NCS group gained the most body weight, while the DC group gained much less weight than the other groups. The feeding efficiencies of the groups that received the extract (NCS and DCS)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s (NC and DC). The calcium intakes of all groups depended on the amount of calcium in the feed; the NCS and DCS diets contained 12.15 mg more calcium than the NC and DC diets. The calcium absorption was lower in NCS than in DC and DCS, but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NC (P<0.05). The BMDs in the calcium-sufficient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while in the calcium-deficient groups the BM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DCS than in DC (P<0.05). The serum calcium and phosphorus levels in all groups were not associated with markers of bone growth related to the extract. The osteocalcin content and alkaline phosphatase (ALPase) activity were higher in the calcium-deficient groups than in the normal groups (P<0.05). Ultimately, the osteocalcin content and ALPase activity were lower in DCS compared to DC.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ExSL promotes bone formation and calcium absorption in growing rats. 전준영,이수영,김병목,정인학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자외선 조사에 의해 노화된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쌍발이모자반 추출물의 항노화 효능 Purpose: Ultraviolet (UV) irradiation causes extrinsic aging of human skin. It is believed that UV irradiation caused aging phenomena such as skin erythema, wrinkle formation, and skin elasticity reduction. Methods: The effect of Sargassum patens extract on COL1A1 and MMP1 production in 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s was investigated as a potential cosmetic raw material. Results: In this study, I assessed how Sargassum patens extract affected COL1A1/COL3A1/MMP1/ SODs/Catalase mRNA expression and protein production of Collagen, type I and MMP1. Quantitative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demonstrated that the Sargassum patens extract increased the mRNA levels of COL1A1/COL3A1/SOD2/CAT genes. Additionally, when compared to UVA-treated dermal fibroblasts, collagen and type I protein increased in Sargassum patens extract-treated conditions. Furthermore, MMP1 mRNA and secreted MMP1 protein expression were reduced by Sargassum patens extract treatment. According to these findings, Sargassum patens extract increased antiaging and antioxidative effects in dermal fibroblasts. Conclusion: Therefore, I identified the antiaging effects of Sargassum patens extract, and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Sargassum patens could be a pharmaceutical ingredient for skin antiaging. Based on this, I expected to conduct additional research on Sargassum patens extract for cellular mechanisms. 심중현 한국피부과학연구원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232건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해조류 가공식품의 제조방법 2004-0054184 김광래 원문정보 녹색 갈조류 성형물이 함유된 해조음료와 그 제조방법 2001-0009133 대한민국 원문정보 발효 푸코잔틴 제조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008-0021725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원문정보 아포-9''-푸코잔티논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2012-0102646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원문정보 해양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아밀라제 저해제 2009-0096473 한국식품연구원 | (주)에스.앤.디 원문정보 -
전통지식
검색결과 1건
전통지식 목록 - 학명, 국명, 지역, 주용도, 구전 전통지식 학명 국명 지역 주용도 구전 전통지식 Sargassum fulvellum 모자반 제주특별자치도 식용 물로 씻어서 건조시켜 보관하고 , 무치거나 볶아서 식용한다.
제주도 음식에서 뼈를 넣어 끓이는 국을 만들 때 주로 넣는데 , 모자반이 기름기를 제거하고 포만감을 주는 역할을 한다.
칼슘이 풍부하여 골다공증 예방에 좋다.
ᄆᆞᆷ국: 제주도의 대표적인 하객 접대용 잔치 음식으로 , 돼지 뼈를 짙게 우려낸 국물에 모자반, 돼지고고 , 쪽파를 곁들여 끓인다. 일부 지역에서는 매밀가루를 곁들이기도 한다.
-